• 제목/요약/키워드: FAST diagram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2초

THREE-SITE PHOTOMETRIC MONITORING OF THE δ SCT-TYPE PULSATING STAR V1162 ORIONIS : PERIOD CHANGE AND ITS IMPLICATIONS FOR PRE-MAIN SEQUENCE EVOLUTION

  • KIM, SEUNG-LEE;CHA, SANG-MOK;LIM, BEOMDU;LEE, JAE WOO;LEE, CHUNG-UK;LEE, YONGSEOK;KIM, DONG-JIN;LEE, DONG-JOO;KOO, JAE-RIM;HONG, KYEONGSOO;RYU, YOON-HYUN;PARK, BYEONG-GON
    • 천문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199-208
    • /
    • 2016
  • We present photometric results of the δ Sct star V1162 Ori, which is extensively monitored for a total of 49 nights from mid-December 2014 to early-March 2015. The observations are made with three KMTNet (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 1.6 m telescopes installed in Chile, South Africa, and Australia. Multiple frequency analysis is applied to the data and resulted in clear detection of seven frequencies without an alias problem: five known frequencies and two new ones with small amplitudes of 1.2-1.7 mmag. The amplitudes of all but one frequenc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revious results, confirming the existence of long-term amplitude changes. We examine the variations in pulsation timings of V1162 Ori for about 30 years by using the times of maximum light obtained from our data and collected from the literatures. The O − C (Observed minus Calculated) timing diagram shows a combination of a downward parabolic variation with a period decreasing rate of (1/P)dP/dt = −4.22 × 10−6 year−1 and a cyclic change with a period of about 2780 days. The most probable explanation for this cyclic variation is the light-travel-time effect caused by an unknown binary companion, which has a minimum mass of 0.69 M. V1162 Ori is the first δ Sct-type pulsating star of which the observed fast period decrease can be interpreted as an evolutionary effect of a pre-main sequence star, considering its membership of the Orion OB 1c association.

2단 적응 등화기의 직렬 연결에 의한 MMA 알고리즘의 수렴 속도 개선 (Convergence Speed Improvement in MMA Algorithm by Serial Connection of Two Stage Adaptive Equalizer)

  • 임승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99-10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nonconstant modulus 신호를 대상으로 채널의 찌그러짐에 의한 부호간 간섭을 보상하기 위한 MMA (Multiple Modulus Algorithm) 적응 등화기를 가변 적응 스텝 크기를 적용하지 않고 2단의 직렬 연결 형태로 구현하여 수렴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mMMA (modified MMA)에 대하여 다룬다. 적응 등화기는 유한 차수의 탭 지연선에 의한 단일 디지털 필터로 구현되므로, 논문에서는 이를 2단의 직렬 연결 필터로 구현한 후 각 단에서는 MMA와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오차 신호를 얻은 후 필터 계수를 갱신하게 된다. 따라서 첫단에는 빠른 수렴 속도를 결정하며, 두 번째단에서는 첫단의 출력에 포함되어 있는 잔류 isi양을 최소화시키도록 탭 계수를 갱신한다. 이때 1단 시스템과 2단 시스템은 동일한 차수의 필터가 되도록 조정하면서 적응 등화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성능 비교를 위한 지수로는 등화기 출력 신호 성상도, 수렴 특성을 나타내는 잔류 isi, 최대 찌그러짐과 MSE, 채널의 신호대 잡음비에 따른 SER을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2단의 FIR 구조를 갖는 mMMA가 1단의 기존 MMA보다 등화 잡음에 의한 성상도를 제외한 모든 성능 지수에서 우월하며, 수렴 속도는 1.5~1.8배 정도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중실원형단면 조립식 교각의 내진 성능 평가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of Prefabricated Bridge Piers with a Circular Solid Section)

  • 김현호;심창수;정철헌;김철환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23-31
    • /
    • 2007
  • 건설여건의 변화에 따라 교량구조물의 급속시공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하부구조에서 교각의 프리캐스트화를 위한 준정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각 설계의 가장 주요한 항목이 내진성능의 확보에 있다. 7개의 프리캐스트 교각을 제작하였고 주요 실험변수는 긴장재의 양, 프리스트레스트의 크기, 이음부의 위치 및 수로 설정하였다. 실험결과 축방향으로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작은 횡변위하에서는 일부 손상이 발생하여도 변형의 복원력을 발휘하였지만 소성힌 지구간의 손상이 많은 경우에는 이러한 복원력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을 통해 관찰된 손상의 형태로부터 판단할 때 조립식 교각의 이음부 설계는 기초부와 교각부 사이의 이음부에 대해서 실시되어야한다. 축방향 긴장재의 양은 RC 교각과 강재비를 일치시키는 것은 지나친 설계가 될 수 있고 주어진 하중조건에 대한 P-M 상관도를 만족시키는 수준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변위연성도 평가를 볼 때 프리캐스트 교각에서 횡철근비는 현재의 철근 콘크리트 교각과 동일한 수준에서 확보되어야 요구연성도를 만족할 수 있다. 에너지 소산능력은 강재비가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었고 이음부의 수가 많은 경우가 다소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였다.

PDSN 영역내의 여러 RN간 멀티캐스트 그룹 메커니즘 기반의 Seamless 핸드오프 알고리즘 (The Seamless Handoff Algorithm based on Multicast Group Mechanism among RNs in a PDSN Area)

  • 신동진;김수창;임선배;오재천;송병권;정태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1호
    • /
    • pp.97-106
    • /
    • 2002
  • 3GPP2가 제안하는 방식에서는 Macro Mobility 지원을 위하여 MIP를 이용하며 PDSN은 FA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하나의 PDSN에서 다른 PDSN으로 MS가 이동할 경우 지원되는 이동성을 Macro Mobility라 하며, PDSN 관리 영역 내의 하나의 RN에서 다른 RN으로 이동 시에 지원되는 이동성을 Micro Mobility라 한다. 3GPP2가 제안하는 방식에서는 PDSN이 FA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이동성 지원이 가능하지만, 이는 Macro Mobility를 지원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Micro Mobility를 지원하기엔 빠르고 Seamless한 핸드오프에 취약하다. 본 논문은 Micro Mobility를 지원하기 위한 멀티캐스트 그룹 메커니즘 기반의 Seamless 핸드오프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MS의 이동방향과 속도를 계산하여, 예상 이동경로에 인접한 RN들을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구성하고, 그룹 join 시점을 최대한 늦춤으로서 망의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기존의 멀티캐스트 연결 방법이 가지고 있는 버퍼 오버헤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RN은 예상 핸드오프 시간 이후의 데이터만을 버퍼링 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Deadlock Freeness 및 Liveness를 검증하기 위해 State Transition Diagram을 작성하고, 페트리네트 모델을 이용 도달성 트리를 작성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분석을 수행하였다.

큐를 이용한 다중스레드 방식의 웹 크롤링 설계 (Multi-threaded Web Crawling Design using Queues)

  • 김효종;이준연;신승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43-51
    • /
    • 2017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광역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봇을 활용하여 단일처리 방식의 시간 지연의 문제점과 병렬처리 방식의 비용증가, 인력낭비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큐를 이용한 다중스레드 방식의 웹 크롤링을 연구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큐를 이용한 다중스레드 방식의 시스템 구성을 바탕으로 독립된 시스템에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분석한다. 연구결과 : 큐를 이용하여 다중 스레드 방식의 웹 크롤러 설계를 제안한다. 또한, 웹 문서의 처리량을 수식에 따라 클라이언트와 스레드 별로 나누어 분석하고, 각각 효율성 비교를 통해 최적의 클라이언트의 개수와 스레드의 개수를 확인 할 수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설계 방식은 분산처리를 기반으로 각각의 독립된 환경에서의 클라이언트는 큐와 스레드를 이용하여 빠르고 신뢰성이 높은 웹 문서를 제공한다. 향후연구 방향 : 특정 사이트를 대상으로 하는 웹 크롤러 설계가 아닌 범용 웹 크롤러에 큐와 다중 스레드를 적용하여 다양한 웹 사이트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탐색 및 수집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