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O-PM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7초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Hallikar Breed of Cattle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 Kumar, S. Naveen;Jayashankar, M.R.;Nagaraja, C.S.;Govindaiah, M.G.;Saravanan, R.;Karthickeyan, S.M.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5호
    • /
    • pp.622-626
    • /
    • 2006
  •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Hallikar, the native cattle breed of Karnataka, was undertaken using 19 cattle specific, highly polymorphic microsatellite markers recommended by FAO. The genomic DNA was subjected to PCR amplification and alleles were resolved through six per cent denaturing PAGE with a 10 bp DNA ladder followed by silver staining. Genotyping of animals was done based on allele size. The number of alleles ranged from three to nine with allele sizes ranging from 102 bp to 294 bp. These alleles were distributed in the frequency range between 0.0306 and 0.8673 in the population. The mean observed number of alleles was $6.368{\pm}1.4225$. The mean observed and expected heterozygosities were $0.7515{\pm}0.1734$ and $0.7850{\pm}0.1381$, respectively. The high heterozygosity observed implies presence of higher genetic variability within Hallikar breed. The PIC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values ranged from 0.2322 (ETH152) to 0.8654 (ETH225). The percentage of polymorphic loci obtained was 100 as all the 19 microsatellite markers were found to be polymorphic. Except for ETH152, all the other loci had high PIC values, indicating that these markers are highly informative for characterization of Hallikar breed. The population was tested for Hardy-Weinberg equilibrium at 19 microsatellite loci, and at 74 per cent of the loci the population was found to be in disequilibrium.

Characterization of Indian Riverine Buffaloes by Microsatellite Markers

  • Sukla, Soumi;Yadav, B.R.;Bhattacharya, T.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1호
    • /
    • pp.1556-1560
    • /
    • 2006
  • Six breeds of riverine buffalo viz. Murrah, Mehsana, Jaffrabadi, Nagpuri, Nili-Ravi and Bhadawari were characterized using FAO-recommended cattle specific microsatellite markers. Among the total of twenty microsatellite markers screened to explore genomic variability of six buffalo breeds, only ten were polymorphic in nature. Four out of ten polymorphic microsatellite loci were rated as informative. The numbers of alleles detected ranged from 2 to 7, with a mean of $5.5{\pm}0.07$ per microsatellite marker. The most polymorphic marker was BM1818 with a total of 7 alleles present at this locus. One breed specific marker was found in each of Mehsana (BM1818) and Bhadawari (ILSTS030) and four were found in Jaffarabadi (BM1818, ILSTS030, ILSTS054 and ILSTS011). Genetic distance (Ds) between the Mehsana and Bhadawari breed was the maximum (0.29), followed by Murrah and Mehsana (0.27), and Nili-Ravi and Bhadawari (0.26). The lowest Ds was found between the Jaffrabadi and Nagpuri breeds which was only 0.05. The highest divergence time of 1318 years was established between Mehsana and Bhadawari breeds whereas it was found to be lowest (272 years) between the Jaffrabadi and Nagpuri breeds.

에디공분산 방법을 이용한 산지 증발산량 경년변화 연구 (Study on interannual variation of mountainous evapotranspiration data using eddy covariance method)

  • 김지훈;김기영;이연길;정성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1-191
    • /
    • 2018
  •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한 기상이변으로 인해 가뭄의 심도와 지속시간이 길어져 이로 인한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 물 관리에 필요한 증발산량 자료 생산과 특성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는 국가 물 관리 및 가뭄 분석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010년 국토교통부에서는 "국가수문관측망"에 증발산량 관측소를 포함하여 증발산량 자료가 정기적으로 생산될 수 있게 하였다. 계획수립 이후 일정기간 동안은 관측 방법과 품질관리 방법 등의 체계화되지 않아 전국적으로 확대되지 못하다가 최근에 와서 확대 설치되고 있다. 현재에는 증발산량 관측소가 한강수계 4개소, 금강수계 2개소, 영산강수계 3개소에서 운영되고 있다. 국토교통부 증발산량 관측소는 에디공분산 방식으로 구축되어 있으며, 자료는 30분 간격으로 생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마천 관측소의 3개년(2015년~2017년) 자료로 산지 증발산량의 경년 변화를 분석하였다. KoFlux 표준화 프로그램(spike 제거, 밀도 보정 등)으로 자료를 처리하였으며, 자료 보충(Gap-filling)은 FAO-PM, MDV, Kalman Filter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설마천 관측소에서 증발산량을 산정하여 산지 증발산량의 경년변화를 분석한 결과, 증발산량은 강수량과 순복산량의 규모에 따라 상이하였다. 또한 비교적 강수량이 적은 해에 증발산 비율이 커지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가뭄 시 증발산을 왕성하게 하는 환경이 조성되어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남녀 대학생에 있어서 휴식대사량 예측공식의 정확도 평가 (Accuracy of Predictive Equations for Resting Metabolic Rate in Korean College Students)

  • 이가희;김명희;김은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62-47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curacy of predictive equations for resting metabolic rate (RMR) in Korean college students. Subjects were 60 healthy Korean college students (30 males, 30 females) aged 18-25 years. RMR was measured by indirect calorimetry. Predicted RMRs were calculated using the Harris-Benedict, Schofield (W)/(WH), FAO/ WHO/UNU(W)/(WH), Owen, Mifflin, Cunningham, Liu, IMNA and Henry (W)/(WH) equations. The accuracy of the equations was evaluated on basis of accurate prediction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se RMR was predicted within 90% to 110% of the RMR measured), mean difference, RMSPE, mean % difference, limits of agreement of Bland- Altman method between predicted and measured RMR. Measured RMR of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1833.4{\pm}307.4kcal/day$ and $1454.3{\pm}208.0kcal/day$, respectively. All predictive equations underestimated measured RMR. Of the predictive equations tested, the Harris-Benedict equation (mean difference: -80.4 kcal/day, RMSPE: 236 kcal/day, mean % difference: -3.1%) was the most accurate and precise, but accurate prediction of the equation was only 42%.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thnicity-specific predictive equation from Korean people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predicted RMR for Korean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4) : 462${\sim}$473, 2009)

미역의 아미노酸 및 비타민에 對한 營養學的 硏究 (Studies on the Nutrition of Amino Acids and Vitamins in Undaria pinnatifida (Harvey) Suringar)

  • 이현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01-210
    • /
    • 1965
  • Leuconostoc mesenteroides P-60, Lactobacillus arabinosus 17-5, Streptococcus faecalis R have been successfully use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sixteen amino acids in Undaria pinnatifida (Harvey) Suringar hydrolysate by alkaline and hydrolysis for succesive two hours from two to twelve hours, by means of microbiological assay. And thiamine and riboflavin were fluorometrically determinated by thiochrome and lumiflavin in powder (80mesh) of Undaria pinnatifida (Harvey) Suringa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rginine contents was the highest in hydrolysate for two hours, but longer the hydrolysis, the more content Undaria pinnatifida was decreased. 2) The adequate contents of other amino acids were obtained by hydrolysis for six hours. 3) Growth check and improve of Lactobacillus were not identified in determination by microbiological assay for Undaria pinnatifida. 4) The following values were obtained in Undaria pinnatifida hydrolysate six hours: asparatic acid 466, arginine 230, lysine 317, histidine 74, isoleucine 242, methionine 202, phenylalanine 256, proline 231, threonine 231, tyrosine 161, valine 415, glycine 302, leucine 414, glutamic acid 625, cystine (5 hrs.) 53 and tryptophan (8 hrs.) 90mg per nitrogen one gram. 5) Protein score was 81 (limiting factor was isoleucine) and essential amino acids pattern was of satisfactory results. And methionine contained was higher than FAO value or milk value. 6) Sulphur contained amino acids (methionine plus cystine) contained in Undaria pinnatifida were 225mg/N-g. That was satisfactory results. 7) Absorption spectrum of wave length were not different 1% HAc from buffer-sol. (pH 6.8) in dilution for determination of riboflavin. Both methods might be suitable. 8) Thiamine and riboflavin contained in Undaria pinnatifida were ($B_1,\;82.51{\pm}1.1){\gamma}/N-g\;and\;(B_2,\;115.29{\pm}1.5){\gamma}/N-g.$.

  • PDF

서울시 유통 다랑어류, 새치류 및 심해성 어류의 총수은 및 메틸수은 축적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Commercial Tuna, Billfish, and Deep-sea Fish in Seoul Metropolitan City)

  • 김진아;육동현;박영애;최희진;김연천;김무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76-381
    • /
    • 2013
  • 서울시에서 유통 중인 다랑어류, 새치류 및 심해성 어류의 총 수은 및 메틸수은 축적량의 현황 파악과 사후 관리의 자료로써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소비 패턴에 따라서 시장의 진입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다양한 어종의 채취보다는 비교적으로 많이 판매, 소비되는 품목 즉 상어류, 다랑어류, 새치류, 비막치어 136건을 대상으로 총수은 및 메틸수은의 축적량을 조사하였다. 총수은 분석에 사용된 DMA-80에 대하여 CRM 인증값의 98.8% 회수, 검량선 결정계수($R^2$) 0.9998 이상, 0.003, $0.01{\mu}g/kg$의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를 파악함으로써 기기적 정확성 및 재현성을 확보하였다. GC-${\mu}ECD$를 사용한 메틸수은 분석법은 79.7%-103.1%의 양호한 회수율과 0.9997 이상의 높은 검량선 결정계수($R^2$)를 확보하였으며, 검출한계는 0.006 mg/kg, 정량한계는 0.018 mg/kg의 결과를 보였다. 네 종류의 어종은 통계적 분석에 의해 총수은 및 메틸수은 축적량에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각 어종의 총수은 및 메틸수은 평균량(mg/kg)은 상어류 $1.20{\pm}0.70$, $0.95{\pm}0.51$, 새치류 $0.99{\pm}0.72$, $0.51{\pm}0.40$, 다랑어류 $0.32{\pm}0.31$, $0.20{\pm}0.20$, 비막치어(메로) $0.43{\pm}0.48$, $0.20{\pm}0.17$로 분석되었으며, 과거에 비해 상어류와 새치류에서의 축적량이 많이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석된 메틸수은 수치들과 JECFA의 PTWI값과의 비교 검토값은 상어류 0.00-0.24%, 새치류 0.075-1.813%, 다랑어류 0.025-1.338%로서, 일일섭취량이 설정되어있지 않은 비막치어를 뺀 나머지 세 종류 어종의 합계는 0.1-5.551%였다. 이 결과만을 평가해 본다면, 다랑어류, 새치류, 심해성 어류의 섭취로 인한 메틸수은에 대한 노출량은 아직 안전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축적량이 증가하고 있는 현상을 감안하고, 또한 여러 경로로 메틸수은에 노출되는 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면 좀 더 정확한 노출과 안전성 평가가 이루어질 것이라 생각한다.

일사량 산정 모델에 따른 증발량 분석 (An evaluation of evaporation estimates according to solar radiation models)

  • 임창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12호
    • /
    • pp.1033-104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13개의 일사량 산정모델들로부터 산정된 일사량을 우리나라 5개 기상관측지점에서 측정된 일사량자료와 비교함으로서 이들 일사량 산정모델들의 활용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일사량 산정모델이 증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일사량자료를 필요로 하는 Penman 조합식에 근거한 5개 증발량 산정식들을 적용하여 증발량을 산정하고 증발접시 증발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일부 일사량 산정모델은 기상자료만을 필요로 하며, 반면에 다른 일부 모델은 기상자료뿐만 아니라 고도와 같은 지형 자료를 필요로 한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일조시간과 가조시간의 비(일조시간/가조시간)뿐만 아니라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을 동시에 고려하여 일사량을 산정하는 모델이 관측 일사량과 가장 근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일조시간과 가조시간의 비만을 이용한 Angstrőm-Prescott모델의 계수값을 보정하는 경우 역시 일사량 산정의 정확도를 크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증발량 산정을 위해 일사량모델을 선정하는 경우 입력자료의 존재여부 뿐만 아니라 적절한 일사량을 산정하는 모델형식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관측된 일사량을 적용하여 증발량을 산정하는 경우에 Penman식은 전주, 제주지역에서 증발접시 증발량과 가장 근사한 것으로 나타났고, FAO PM식은 서울과 목포지역에서 그리고 KNF식은 대전지역에서 증발접시 증발량과 가장 근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새치류 및 어류가공품의 총수은 및 메틸수은 함량 (Contents of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Deep-sea Fish, Tuna, Billfish and Fishery Products)

  • 강석호;이명진;김재관;정유정;허은선;조윤식;모아라;박광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2-4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내 유통되고 있는 수산물(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및 새치류) 및 어류가공품의 총수은 및 메틸수은 오염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수산물 101건과 어류가공품 44건을 수거하여 수은분석기 및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전자포획검출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산물은 모두에서 총수은이 검출되었고 메틸수은은 92건에서 검출되어 91.1%의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총수은과 메틸수은의 함량은 각각 새치류 $1.968{\pm}0.505$, $0.496{\pm}0.057mg/kg$, 심해성어류 $0.665{\pm}0.091$, $0.252{\pm}0.033mg/kg$, 다랑어류 $0.577{\pm}0.085$, $0.218{\pm}0.025mg/kg$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황새치의 평균값이 총수은은 1.968 mg/kg, 메틸수은은 0.496 mg/kg으로 가장 높았다. 총수은 대비 메틸수은 함량은 심해성 어류인 쏨뱅이류가 66.5%로 가장 높았다. 어류가공품의 총수은 메틸수은함량은 원육함량 100%인 냉동식품이 가장 높았으며 원재료 함량과 비례하여 나타났다. 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및 새치류를 통한 총수은 및 메틸수은의 주간섭취량은 JECFA에서 설정한 PTWI의 4.72, 5.24%로 조사된 어류를 통한 우리나라 국민들의 노출량은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해성 어류 중 메틸수은 모니터링 (Monitoring Methylmercury in Abyssal Fish)

  • 김성철;장진욱;김현아;이상호;정영지;김지연;안종훈;박은혜;고용석;김동술;김상엽;장영미;강찬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83-389
    • /
    • 2010
  • 심해성 어류 등에 대한 메틸수은 기준규격 설정에 따른 사후 관리 차원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어종은 귀상어, 흑기흉상어, 곱상어, 청새리상어, 악상어, 적어, 은민대 및 체장메기 등 총 492건을 수거하여 메틸수은 함량을 조사하였다. 메틸수은 분석을 위한 분석법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GC-${\mu}ECD$의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0.002 mg/kg과 0.005 mg/kg으로 나타났으며 메틸수은의 검량선은 상관계수가 0.9992로 우수한 직선성을 보였고, 회수율은 84.2-98.5%(평균 93.4%)로 나타났다. 심해성 어류의 메틸수은 함량은 각 어종 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메틸수은 함량[최소값-최대값(평균$\pm$표준편차), 단위: mg/kg]은 귀상어 0.157-2.009($\0.546{pm}0.311$), 청새리상어 0.211-0.878($0.501{\pm}0.154$) 및 곱상어 0.121-0.993($0.482{\pm}0.189$) 등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악상어 0.243-0.658($0.397{\pm}0.090$), 흑기흉상어 0.074-1.958($0.353{\pm}0.418$), 은민대구 0.038-0.807($0.302{\pm}0.201$) 및 적어 0.099-0.511($0.300{\pm}0.094$) 등에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체장메기의 경우 0.037-0.133($0.067{\pm}0.016$)으로 나타나 조사된 어종 중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심해성 어류 중 메틸수은 함량의 노출량 평가를 위해 JECFA의 PTWI와 비교 검토한 결과 상어류 0.7%, 은민대구 1.1% 및 체장 메기 0.3%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극단적인 노출량 평가를 위해서 어종별 메틸수은 최대 함량을 이용하여 산출한 결과도 상어류 2.9%, 은민대구 2.9% 및 체장메기 0.6% 수준으로 나타나 심해성 어류의 섭취로 인한 메틸수은 노출량은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열량제한(熱量制限) 및 무단백식이(無蛋白食餌)가 흰쥐의 체내대사(體內代謝)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rotein Depletion and Protein Calorie Restriction on Metabolic and Enzymatic Activities in Adult Rats)

  • 김경자;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6권3호
    • /
    • pp.1-8
    • /
    • 1973
  • Metabolic responses to the protein-free, high-carbohydrate diet and subsequent food restriction on the same diet at the level of 50% and 75% has been studied on the adult albino rats. The energy source was either corn starch or sugar. In experiment I, adult male rats weighing $509{\pm}8g$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0 rats each. Rats fed on the stock diet served as a control. Rats of restriction group received a protein free diet until they reduced their weight down to 400g and continue on a protein-calorie restriction diet until they reduced their weight down to 300g. In experiment II, 28 adult male rats and the same numbers of female rats weighing $329{\pm}5g$ and $223{\pm}4g$ respectivel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7 males and females in each. Rats fed on a stock diet were sacrificed at the point when others started a protein free diet. These were served as the control. The protein free group received a protein free diet ad libitum for 4 weeks. The 50% restriction group and 75% restriction group were fed on a protein free diet coupled with food restriction at levels of 50% and 75% respectively for 3 weeks. In the result of this study: 1. The rate of body weight changes was similar between the males and the females. Feeding protein free diet ad lib. initiated a rapid weight lost of approximately 25% and protein free diet coupled with food restriction showed 37-43% reduction of their initial weight.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lue of the N concentration in liver, spleen, brain and muscle between controls and experimental groups. 3. Rats fed on protein free diet showed 1/10 value of the control in the nitrogen excretion in urine. However female showed less N excretion than male. 4. Observing blood picture, the effects of protein depletion and calorie restriction were not appeared any remarkable changes. 5. There was no sign of fatty liver which might result from protein depletion and calorie restriction. 6. Following semi-starvation, FAO and HMP-DH total enzyme activity was reduced, but activity per unit weight was relatively sta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