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O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41초

온도인자를 활용한 비정상성 기준증발산량 대체모형 개발 (Nonstationary Surrogate Model for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Based on In-situ Temperature Data)

  • 김호준;응웬 티 흐엉;강동원;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96-96
    • /
    • 2021
  • 수문기상인자 중 하나인 증발산량은 수자원 계획 및 관리 시 고려되며, 특히 물수지 모형 등의 입력자료로 활용된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각국 기상청 및 국제기구에서는 직접 관측이 아닌 FAO56 Penman-Monteith(PM)을 통해 증발산량을 산출하고 있다. FAO56 PM 방법은 복사(radiation), 대기온도(air temperature), 습도(humidity), 풍속(wind speed) 등의 기상인자로부터 기준증발산량(reference evapotransipiration)을 추정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FAO56 PM 방법은 많은 기상인자를 요구하므로 미계측 유역을 포함한 일부지역에 대한 증발산량 자료 구축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기준증발산량의 특성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므로 비정상성(nonstationary)을 고려한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인자 기반의 대체모형(surrogate model)을 개발하여 기준증발산량의 비정상성을 고려하고자 한다. 한강유역에 위치한 관측소를 대상으로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기준증발산량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Bayesian 추론기법을 통해 매개변수를 시간에 따라 추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대체모형으로 산정된 증발산량을 활용해 가뭄지수인 EDDI(evaporative demand drought index)를 제시하였다. 가뭄 모니터링 및 조기 경보 안내를 위해 개발된 EDDI를 활용하여 기존 가뭄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초단기 가뭄(flash drought)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은 미계측 지역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수자원분야에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AO 수산 가이드라인과 국내 수산경영학 교과와 내용 구성의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Curriculum Contents between FAO Technical Guidelines and Korean Fisheries Management)

  • 이동호
    • 수산경영론집
    • /
    • 제47권3호
    • /
    • pp.93-110
    • /
    • 2016
  • Most of the changes that make paradigm shift have been involved international level problems related to environment, resource and structure problems in these days. Resolving those common issues 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UN FAO) has played most important role in fisheries with publishing the series of the technical guidelines for responsible fisheries papers. The guidelines for responsible fisheries have introduced for applying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considering overall changes in fisheries domains. And also have objectives that establishing the discipline of fisheries worlds. Although these papers are remarkable, there is still few research or education contents of them in Korea.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is a kind of social science that influenced by environmental, social changes so called paradigm shift. So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has the edu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 accommodation or adaptation of them with grasping the phenomenon continuously. The aims of this study are exploring the FAO's the technical guidelines for responsible fisheries documents and contents of college's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and finding out the overall systematic topics and themes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contents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did not including the concept of responsible fisheries even were out of date in using statistical data. And there is some missing issues that including fisheries policy, resource management, and related law should be enhanced. This study suggests the framework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with comparing analysis on FAO's document and college's course of study in Korea. The proposed framework of major topics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that still needed to be improved should be a milestone of understanding and debating the core factors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research.

Pt Deposits on Bi-Modified Pt Electrodes of Nanoparticle and Disk: A Contrasting Behavior of Formic Acid Oxidation

  • Lee, Hyein;Kim, Young Jun;Sohn, Youngku;Rhee, Choong Kyun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2권3호
    • /
    • pp.323-329
    • /
    • 2021
  • This work presents a contrasting behavior of formic acid oxidation (FAO) on the Pt and Bi deposits on different Pt substrates. Using irreversible adsorption method, Bi and Pt were sequentially deposited on Pt electrodes of nanoparticle (Pt NP) and disk (Pt disk). The deposited layers of Bi and Pt on the Pt substrates were characterized with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transmission microscopy and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The electrochemical behaviors and FAO enhancements of Pt NP and Pt disk with deposited Bi only (i.e., Bi/Pt NP and Bi/Pt disk), were similar to each other. However, additional deposition of Pt on Bi/Pt NP and Bi/Pt disk (i.e., Pt/Bi/Pt NP and Pt/Bi/Pt disk) changed the electrochemical behavior and FAO activity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shapes of the Pt substrates. With Pt/Bi/Pt NP, the hydrogen adsorption was suppressed and the surface oxidation of Pt was enhanced; while with Pt/Bi/Pt disk, the opposite behavior was observed. This difference was interpreted as a stronger interaction between the deposited Bi and Pt on Pt NP than that on Pt disk. The FAO performance on Pt/Bi/Pt NP is much better than that on Pt/Bi/Pt disk, most likel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eposited Pt and Bi depending on the shapes of Pt substrates. In designing FAO electrochemical catalysts using Pt and Bi, the shape of a Pt substrate was concluded to be critically considered.

Inhibitory Effects of The Flower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cv. Okhwang 1 on Melanogenesis in B16 F10 Cells

  • Mi-Ji Noh;Hye-Jeong Park;So-Yeon Han;Jeong-Yong Park;Seo-Hyun Yun;Soo-Yeon Kim;Tae-Won Jang;Jae-Ho Par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3-53
    • /
    • 2021
  •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A. distichum), endemic species of Korea,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etals and calyx colors. Recently, A. distichum cv. Okhwang 1, which has the golden flower, designated the first official cultivar improved from A. distichum species. The study on the chloroplast genome of A. distichum cv. Okhwang 1 have been reported, but no studies on bioactivity such a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have been progres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hibition on melanogenesis of the flower from A. distichum cv. Okhwang 1 (FAO).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using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s. Inhibition effects on melanogenesis of FAO were confirmed by expression of tyrosinase-related proteins and mRNAs using immunoblotting and RT-qPCR. Tyrosinase is an enzyme that regulates both stimulation and inhibition of melanogenesis. Stimulated MITF in cellular levels increases the expressions of tyrosinase, TRP-1, and TRP-2 to induce melanogenesis. As a result, FAO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ITF, followed by down-regulated tyrosinase, TRP-1, and TRP-2, which lead to inhibit melanin overproductio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FAO re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marked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elanin-related factors. The present study suggested providing that FAO has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derived from natural.

  • PDF

FAO Penman-Monteith 공식을 이용한 수원지역 포도 수체 증발산량 예측 (Prediction of Evapotranspiration from Grape Vines in Suwon with the FAO Penman-Monteith Equation)

  • 윤석규;허승오;김승희;박서준;김정배;최인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1-117
    • /
    • 2009
  • 포도 증발산량 예측에 FAO PM 공식을 활용하고자, 수원지역에 포도 수체 증발산량을 측정하고 포도 기본 작물계수($K_{cb}$)를 산정하였다. 수원지역에서 엽면적 지수가 2.2로 가장 높은 시기인 8월에 포도 증발산량을 조사한 결과, 캠벨얼리는 평균 $2.41mm\;day^{-1}$, 최고 $2.68mm\;day^{-1}$이고 거봉은 평균 $2.22mm\;day^{-1}$, 최고 $2.55mm\;day^{-1}$ 이었다. 포도 증발산량 측정값과 FAO PM 기준증발산량 계산값을 이용하여 포도 기본작물계수($K_{cb}$)를 산정한 결과, 포도 엽면적 지수가 2.2인 시기에 캠벨얼리에서는 평균 0.49, 최고 0.72이고 거봉에서는 평균 0.45, 최고 0.64로 산정되었다. 수원지역에서 포도 캠벨얼리와 거봉의 시기별 엽면적 지수를 조사한 결과, 4월은 0.15, 5월은 0.5, 6월은 1.4, 7월부터 9월까지 2.2, 10월은 1.5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포도 엽면적 지수를 이용하여 포도 시기별 기본작물계수를 산정한 결과, 캠벨얼리의 경우에 4월은 0.03, 5월은 0.11, 6월은 0.31, 7, 8, 9월은 0.49, 10월은 0.33으로 산정되었으며 거봉의 경우에도 그 크기와 계절변화가 크게 다르지 않았다. 포도 시기별 증발산량은 포도 기본작물계수에 FAO PM 공식으로 기준증발산량 계산값을 곱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산정된 포도 생육시기별 기본작물계수는 포도 생육시기별 증발산량을 보다 정확하게 계산하는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트롤 어선에서 투기된 어류의 생존율에 관한 연구

  • 안희춘;정의철;양용수;박창두;김호상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7-38
    • /
    • 2000
  • 어업에서는 어획대상 이외의 어종이 어획되는 이른바 혼획이 일어나며, FAO의 보고서(Alverson et al. 1994)에 의하면 전세계 어획량의 약 25%가 법률적 또는 경제적 이유로 인하여 선상에서 투기되고 있다. 따라서 UN환경개발회의(1992)에서 선언된 "Agenda 21(21세기를 향한 행동지침)"에서는 어업이 지구환경에 영향을 주는 산업으로 인지되었으며, FAO 총회(1995)에서 채택된 "책임있는 수산업 규범"에서는 세걔의 각 어업국에 비목표 어종의 혼획 및 미성숙 소형어의 투기 감소를 촉구하고 있다.(중략) 투기 감소를 촉구하고 있다.(중략)

  • PDF

수산용 항생제 사용 국제가이드라인 마련

  • 대한수의사회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42권7호
    • /
    • pp.599-605
    • /
    • 2006
  • ‘국가항생제내성안전관리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식약청은 수산용 항생제 사용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인체 위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제 전략을 수립하고자, 관련 국제기구인 FAO/WHO/OIE/Codex와 공동으로 2006년 6월13일부터 6월16일까지 제3차 국제전문가 회의(Joint FAO/WHO/OIE Expert Consultation on Antimicrobial Use in Aquacultur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전문가 회의는 항생제내성에 대한 제1차 Geneva, 제2차 Oslo 회의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Seoul (식약청)에서 개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