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 moniliforme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 자생 석곡 메탄올 추출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Korean Native Dendrobium moniliforme Methanol Extract)

  • 정호경;장지훈;고재형;강병만;여준환;조정희;조현우;빈철구;김성철;정원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31-338
    • /
    • 2014
  • Dendrobium moniliforme (DM) is a valuable and versatile herbal medicine with the anecdotal claims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whitening and anti-wrinkling effects of DM under various conditions with B16F10 melanoma cells and human dermal fibroblasts. The DM extract inhibited melanin contents and tyrosin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untreated group. Treatment of the DM extract effectively suppressed the ${\alpha}$-MSH-stimulated melanin formation, tyrosinase activity and dendrite outgrowth. Moreover, the ${\alpha}$-MSH-induced mRNA expressions of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2 (TRP-2) and protein expression of tyrosinase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by DM treatment. We also investigated the DM increased the production of type I procollagen and inhibited TNF-${\alpha}$-induced mRNA expressions of MMP-1, -3 in the human dermal fibrobla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M may be a great cosmeceutical ingredient for its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ccurrence of Fungal Species and Mycotoxins from Decayed Sugarcane (Saccharrum officinarum) in Egypt

  • Abd-Elaah, Gamalat A.;Samya, Soliman A.
    • Mycobiology
    • /
    • 제33권2호
    • /
    • pp.77-83
    • /
    • 2005
  • Seventy-three fungal species belonging to forty-three genera were isolated from 40 samples of Saccharrum officinarum (collected from Naage-Hamadi canal in Qena Governorate, Egypt). Aspergillus, Trichoderma, Mucor and Pythium were the most common genera on the two isolation media. The dominant species of Aspergillus were A. niger, A. flavus, A. ustus, A. terreus and A. wentii. Some species were dominant on 40 g/l sucrose such as Aspergillus niger, A. flavus, Emericella nidulans, Trichoderma viride, Torula herbarum and Mamaria echinoeotryoides, while the dominant species on 10 g/l glucose were Mucor circinelloides, Aspergillus niger, Torula herbarum and Trichoderma viride. Mycotoxins including aflatoxins $B_1,\;B_2,\;G_1\;and\;G_2$, zearalenone and diacetoxyscirpenol were detected in the examined samples of Saccharrum officinarum. The mycelial growth of A. flavus, A. niger, Fusarium moniliforme and Torula herbarum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Dimethoate concentrations, although 25 ppm was less effective than the higher levels of the insecticide ($75{\sim}200\;ppm$). Dimethoate stimulated the activity of Go-Tin A. niger, F. moniliforme and T. harbarum, while the Go-T activity was inhibited in A. flavus with the Dimethoate treatments.

Incidence of Fusarium and other Molds in Korean Field Crops

  • Ryu, Dojin;Bullerman, Lloyd B.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1호
    • /
    • pp.43-47
    • /
    • 1998
  • The incidence of total molds, Fusarium species, and the estrogenic mycotoxin,zearalenone, in Korean grain samples were investigated . The majority of molds infecting grain were identified as belonging to the genus Alternaria , with an average infection rate of kernels of 43% and 32% in rice and baley, respectively. Fusarium speciens were less common, with average infection rates of 13% and 19% in reice and barley, respectively. A number of field fungi including Curvularia and Dactylaria were also observed. Among the Fusarium speices, 71 of 94 Fusarium isolates were identified as F.semitectum. A few F. moniliforme and F. equiseti were observed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or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In addition, deoxynivalenol was not deteted by ELISA . However, thepresence of molds, including Fusarium species, may pose possbile health hazards to persons consuming those grains.

  • PDF

아스파라거스에서 병원성 및 비병원성 Fusarium균의 상호작용과 비병원성 Fusarium을 이용한 아스파라거스 줄기 및 뿌리썩음병 방제 기작 연구 (Interactions of Virulent and Avirulent Fusarium species on Clonal Asparagus Plantlets and Mechanisms Involved in Protection of Asparagus with Avirulent Fusarium Species Against Stem and Crown Rots)

  • 이윤수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7-57
    • /
    • 1996
  • 병원성 Fusarium에 의한 아스파라거스 감염은 비병원성 Fusarium을 5일과 7일 전에 접종하였을 때 방제효과가 있었다. 비병원성 F. oxysporum은 F. moniliforme에 대하여 방제효과가 있었고, F. solani는 F. oxysproum에 대하여 방제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실험에 사용된 Fusarium 균들은 모두 주근과 측근의 말단 부위, 상처부위, 그리고 표피의 세포벽 사이를 통하여 감염하였다. 경우에 따라 감염하는 동안 appressorium과 유사한 구조를 형성하기도 하였고, 직접 감염하는 경우도 있었다. 병원성 그리고 비병원성 Fusarium 균 모두 공통적으로 생장점 부위를 통하여 감염하였다. 병원성이 강한 Fusarium 균의 경우 비병원성 균들보다 감염의 속도가 빨랐고 더욱 생장이 왕성하였다. F. solani는 생장속도나 기주 조직 침입속도가 매우 느렸다. 기주 감염의 결과 처음에는 cortical rot을 유발시켰고 나중에는 tracheary elements를 감염하고 결국은 조직의 괴사를 유발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비병원성 F. oxysporum은 표피조직에 두터운 균사층을 형성하였고, 이는 병원성 Fusarium 균에 대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여겨진다. F. solani는 측근의 생성을 촉진시켜 표면적을 증대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AVFO와 F. solani를 이용하여 아스파라거스에 발생하는 병원성 Fusarium균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는 생물적 방제가 가능함이 밝혀졌다.

  • PDF

기능성 음료의 곰팡이 제어를 위한 천연항균제 활성 평가 (Evaluation of Antifungal Activity of Natural Antimicrobials in Fuctional Beverage)

  • 이희석;연지혜;하상도;박철수;우문제;이상훈;김진수;이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2-266
    • /
    • 2009
  • 기능성 음료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고자, 7종류의 천연항균물질($\varepsilon$-Polylysine, 유카추출물, TLS(Vitamin $B_1$ 유도체), BMB-FS(황금추출물), 키토올리고당, KDSP 001, KDSP 002) 곰팡이 성장저해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Aspergillus niger, Penicillium citrimum, Rhizopus oryzae, Fusarium moniliforme, Mucor rouxii, 5 종류의 곰팡이를 상대로 활성을 살펴보았으며, 성장저해활성이 가장 뛰어난 물질의 최소저해농도를 조사하였다. 모든 곰팡이에 대하여 성장 저해활성을 보인 물질은 vitamin $B_1$, 유도체인 TLS 이었으며, 100 ppm 이상의 농도에서는 균사체가 성장하지 못하였다. 황금추출 물 BMB-FS의 경우 F. moniliforme을 상대로 100 ppm이상의 모든 농도에서 성장저해활성을 보였으며 P. citrinum와 M. rouxii의 경우 1,000 ppm이상의 농도가 되어야 균체 성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뛰어난 활성을 보여준 TLS의 최소저해농도(MIC)는 A. niger를 제외한 4가지 곰팡이에 대하여 60ppm으로 나타났으며, A. niger에 대한 MIC는 100ppm으로 분석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기능성 음료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천연보존료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벼종자수반진균의 검정 및 종자발아에 따른 깨씨무늬병균의 전염경로 (Detecting Seed-Borne Fungi of Rice and Transmission of Helminthosporium oruzae in Germinating Seed)

  • 이창은;정후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9-126
    • /
    • 1979
  • 깨씨무늬병에 심하게 이병된 병팔굉 공시종자는 배양 $5\~7$일에 호영, 내외영 및 주병의 $86\~92\%$ 그리고 과피의 $74\~83\%$가 Helminthosporium oryzae에 감염 되어 있음을 보였다. 동균은 종립전면에 분생포자를 형성하였으며 배유의 약10여세포층까지 감염되어 있었으나 배조직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Fusarium moniliforme는 과피, 경유 및 배조직에서 검출되었으며 F. roseum, Trichoconis padwicku, Curvularia spp., Alternaria tenuis, Cladosporium cladosporoides 및 Phoma sp.는$ 3\%$ 이하의 영 및 과피에서 검출되었다. 배양일주일에 $60\~87\%$가 깨씨무늬 병징을 나타냈으며 $13\~40\%$는 외관상 건전하였다. 깨씨무늬병균은 감염된 종자의 제점으로부터 과피를 거쳐 시아및 유근에 전염 발병케 하였다.

  • PDF

Inhibitory Effects of Na-Hypochlorite and Heating on the Mycobiota Associated with Fruits or Juice of Passion (Passiflora edulis Sims) in Uganda

  • Ismail Mady A.
    • Mycobiology
    • /
    • 제34권2호
    • /
    • pp.92-98
    • /
    • 2006
  • A total of 34 species belonging to 21 genera of fungi were recorded on passion fruits of both pure and hybrid origin in Uganda, however, the pure type exhibited wider spectrum (28 species and 16 genera) than the hybrid type (21 & 15). Also, yeasts (unidentified and Rhodotorula mucilaginosa) were also encountered in high numbers. Moreover, the mean count of all mycobiota obtained from the pure type was higher than that of hybrid, despite the bigger size of the later. Members of yeasts and Cladosporium followed by Phoma, Penicillium, Fusarium and Alternaria species dominated on passion fruits of pure origin, while only C. cladosporioides, F. solani and yeasts dominated on the hybrid type. Treatment with Na-hypochlorite exhibited inhibitory effects on the total mycobiotic propagules as well as the dominant species from fruits of both types. The current results, therefore, suggest the use of Na-hypochlorite to control the post-harvest mycobiota associated with passion fruits. Regarding the mycobiota contaminating passion juice, yeasts were found to be the major contaminants with Candida parapsilosis being the most common. Moulds constituted only a minor proportion with Acremonium strictum followed by Fusarium chlamydosporum, F. moniliforme, F. acuminatum and F. solani a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heat-treated juice samples, the counts of the most commonly encountered mycobiota (both yeasts and mold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or completely eliminated. Some unidentified Bacillus species were also recovered from the juice, however, their counts in the heated samples were increased but insignificantly.

토양조건에 따른 몇가지 식물병원균의 포자발아와 토양정균 현상 (Spore Germination of Some Plant Pathogenic Fungi under Different Soil Conditions in Relation to Soil Fungistasis)

  • 이민웅;최혜정;심재욱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57-164
    • /
    • 1985
  • 인삼 주요 재배지인 금산, 괴산, 풍기 등 3곳의 토양조건과 토양에 따른 미생물분포, 근부병의 발병상태와 관련, 포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괴산 재작지 토양은 Ca와 Mg 함량이 높고, 유기물과 인의 함량은 낮고, K의 함량은 풍기 재작지에 가장 높고 기타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토성은 괴산 초작지가 시르트식양토이고, 기타는 시프트양토이었다. 액체배지에서 균의 포자발아율은 증유수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이 pfeffer액이며 토양침출액은 가장 낮은 발아율을 나타냈다. 세균은 금산 재작지에 많았고 사상균은 금산과 풍기의 재작지에 많았다. 방사균은 괴산과 풍기의 초작지에 많았으며, 기타 지역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토양내 세균과 사상균의 분포가 많은 토양조건에서 Fusarium solani, F. oxysporum, F. moniliforme 및 Alternaria panax의 4종 균에 미치는 정균현상은 일반적으로 미생물수의 다소에 따라 민감하고, 개량물질이 정균현상에 영향을 준 것은 마늘대, 분쇄콩, 인삼잎 등이고, 정균현상을 해소시킨 물질은 밀짚, 보리짚이며 토양조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 PDF

Fusarium spp.에 의한 수확 후 참외 열매썩음병 (Fusarium Fruit Rot of Posthavest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Caused by Fusarium spp.)

  • 김진원;김현진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260-267
    • /
    • 2004
  • 2001년부터 2003년에 걸쳐 수확 후 과일가게에서 판매되는 참외의 썩음증상으로부터 Fusarium spp.를 분리하였다. 병든 과실들은 균사로 덮여 있었고 결국 물러 썩었다. 병의 시작은 주로 과실이 달렸던 부위, 꽃이 달렸던 부위 그리고 열매 표면에 병이 시작되었다. 병이 진전됨에 따라 물러 썩는 열매의 표면에는 흰색에서 분홍빛의 균사로 덮혔다. 이들 병든 과실로부터 분리된 Fusarium spp.를 기존에 보고된 균학적 내용과 비교하여 동정한 결과 Fusarium equiseti, F. graminearum, F. monliforme, F. proliferatum, F. sambucinum, F. semitectum으로 동정되었다. 이들 균의 병원성을 조사하기 위해 건전한 참외에 인위적으로 만든 상처와 무상처에 접종한 결과 접종 이틀후, 상처 접종 부위에 기중균사가 형성되었고, 병이 진전됨에 따라 물러 썩었다. 비록 참외에서 Fusarium spp.가 야기하는 열매썩음병은 국내에서 이미 보고된 바가 있으나, 이와 관련된 종에 대해서는 보고된 적이 없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Fusarium spp.에 의한 수확 후 참외의 열매썩음병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y of Endophytic Fungi from Lagopsis supina

  • Dekui Zhang;Weijian Sun;Wenjie Xu;Changbo Ji;Yang Zhou;Jingyi Sun;Yutong Tian;Yanling Li;Fengchun Zhao;Yuan Ti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4호
    • /
    • pp.543-551
    • /
    • 2023
  • In this study, five endophytic fungi belonging to the Aspergillus and Alternaria genera were isolated from Lagopsis supina.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all fungal fermented extracts against Staphylococcus and Fusarium graminearum was tested using the cup-plate method. Among them, Aspergillus ochraceus XZC-1 showed the best activity and was subsequently selected for large-scale fermentation and bioactivity-directed separation of the secondary metabolites. Four compounds, including 2-methoxy-6-methyl-1,4-benzoquinone (1), 3,5-dihydroxytoluene (2), oleic acid (3), and penicillic acid (4) were discovered. Here, compounds 1 and 4 display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F. graminearum, F. oxysporum, F. moniliforme, F. stratum, Botrytis cinerea, Magnaporthe oryzae, and Verticillium dahlia with diverse MIC values (128-512 ㎍/ml), which were close to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antifungal, actidione (64-128 ㎍/ml). Additionally, compounds 1 and 4 also exhibited moderat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enterica, with low MIC values (8-64 ㎍/ml). Moreover, compounds 1 and 4 displayed selective cytotoxicity against cancer cell lines as compared with the normal fibroblast cell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endophytic fungi from L. supina can potentially produce bioactive molecules to be used as lead compounds in drugs or agricultural antibio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