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ysenck A-유형 성격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원형탈모증 환자의 생활 사건 스트레스, 대처방식, A형 행동 패턴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Life Event Stress, Coping Strategy, and Type A Behavior Pattern of Alopecia Areata Patients - Comparison with Fungal Infection Patients -)

  • 현상배;송수길;이동수;이일수;박경호
    • 정신신체의학
    • /
    • 제8권2호
    • /
    • pp.165-171
    • /
    • 2000
  • 연구목적 : 스트레스가 밀접하게 관련된 원형탈모증 환자들이 경험하는 생활사건, 이와 관련된 스트레스의 양, 이에 대한 대처방식 및 환자의 성격유형을 알아보아 이들 요소가 질병의 발병과 악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비교 분석하여 스트레스와 원형탈모증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 대상은 피부과 외래를 방문한 원형탈모증 환자 43명과 대조군으로 피부진균감염증 환자 36명으로 하였다. 평가 도구로는 생활사건척도(Scale of Life Events), 대처방식척도(Coping Style Checklist)와 Eysenck A-유형성격검사로 세 가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령을 보정한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적용하였다. 결과 : 원형탈모증군에서 생활 사건 수와 생활 사건의 총합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대처 방식과 Eysenck A-유형성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생활 사건에 대한 스트레스 양은 원형탈모증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고 이는 스트레스가 원형탈모증 발생에 기여한다는 기존의 연구들과 일치하는 소견이다. 후 스트레스와 원형탈모증과 보다 직접적인 연관 관계를 명확히 규명하여 궁극적으로 임상적으로 응용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PDF

눈깜작임, 증감뇌유발전위와 성격의 상호관계 (Eyeblinks, EP Augmenting / Reducing and Personality)

  • 이성훈
    • 수면정신생리
    • /
    • 제1권2호
    • /
    • pp.156-162
    • /
    • 1994
  • 목 적 : 눈깜작임은 뇌에서 감각을 조절하는 기능과 관계된 개인의 인지능력과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성격이 눈깜작임과 증감뇌유발전위 등과 상호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를 연구하려고 하였다. 방법 : 44 명의 정상 대학생에게 증감뇌유발전위, 눈깜작임과 Zuckerman 의 감각추구척도와 Eysenck 성격설문지 동을 조사하여 그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증감뇌유발전위에서 빛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눈깜작임이 증가하였다. 대부분의 성격척도에서 눈깜작임과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경증척도만이 정상관관계를 보였다. 눈깜작임과 증감유발전위의 기울기와 가장 강한 정상관관계를 보인 뇌의 부위는 우측 후 측두엽이었다. 결 론 : 감각추구경향이 강할수록 눈을 적게 깜작이었다. 유발전위보다 눈깜작임이 성격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눈깜작임이 더 일차적인 필터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우측 후 측두엽은 여러 뇌 부위 중 시각을 조절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추된다.

  • PDF

사상 유형학의 성격심리학적 고찰 (Sasang Typology from a Personality Perspective)

  • 채한;이수진;고광찬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1-164
    • /
    • 2004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iopsychological traits of each Sasang type from a personality theory perspective. Methods : A review of different theories of personality is provided, in addition to review of ten previous studies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sang types. Results : 1.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Sasang typology and Western theories of personality. 2. The prevalence of Sasang type was 28:36:36 (So-Yang:Tae-Eum:So-Eum), and the majority of the study sample were males in their twenties. 3. The Yin-Yang and Large-Small axes of Sasang typology were comparable to Eysenck's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dimension. So-Yang type showed high extraversion and low neuroticism, and So-Eum type exhibited low extraversion and high neuroticism. Tae-Eum type was extravert and neurotic, and highly distinctive in such physical traits as Body Mass Index and blood triglyceride concentration. 4. We make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on Sasang typology within a biopsychosocial and cognitive framework.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Sasang typology being explicable from a cross-cultural biopsychosocial theory.

  • PDF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의 성격유형과 교육만족도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types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 김창숙;천세희;조미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43-949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types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898 students in Busan, Gyeongnam, and Ulsan from March 2 to 25, 2014.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struments used personality types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 The personality types was adapted from Korean Eye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that was modified by Lee on the basis of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Eysenck & Eysenck, 1971).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4 questions including extroversion factors(18 questions) and neurotic tendency(26 questions). The questionnaire was score by Likert 5 scale. Cronbach alpha was 0.835 in the study. The neurotic tendency consisted of 26 questions and the higher score showed the higher neurotic tendency. Cronbach alpha was 0.927 in the study. The instrument for satisfaction of education was adapted from Kim and Go and partly modified. The instrument was categorized into dental hygiene department satisfaction(6 questions), major satisfaction(6 questions), facilities satisfaction(4 questions), lecture satisfaction(7 questions), and faculty satisfaction(4 questions). The instrument was scored by Likert 5 scale. Cronbach alpha of education satisfaction was 0.928 in the study. Results: Extroverted students showed 3.70 point which was the highest score in the department satisfaction(p<0.001). Less neurotic students showed 3.68 point which was the highest score in the department satisfaction(p<0.001).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ajor satisfaction and department satisfaction(p<0.01). The personality types that affected the education satisfaction were related to the extroverted students and less neurotic students(p<0.01). Conclusions: The personality types had much influences on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and academic accomplishment.

성격유형에 따른 미디어 의존관계에 관한 연구 (Personality and Individual Media Dependency Goals)

  • 심재웅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5호
    • /
    • pp.203-225
    • /
    • 2011
  • 이 연구는 수용자가 미디어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미디어와 맺는 의존관계 유형이 수용자 개개인의 성격유형에 따라 다를 것이라는 기본적인 가정에서 출발했다. 성격유형은 성격연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그타당성을 인정받고 있는 PEN 모델(Eysenck, 1981)을 이용했다. PEN 모델은 사람의 성격을 정신병리적 성향(Psychoticism), 외향적 성향(Extraversion), 신경증적 성향(Neuroticism)으로 구분한다. 이와 함께, 개인별 미디어 의존관계 이론에 따르면, 개개인은 목적지향적인 존재로 미디어와 의존관계를 형성한다. 의존관계는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자기이해(self understanding), 행동 정향(action orientation), 상호작용 정향(interaction orientation), 사회적 놀이(social play), 개인적 놀이(solitary play)의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이를 토대로 이 연구는 PEN 모델의 세 가지 성격유형과 개인별 미디어 의존 유형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이러한 관계는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함께 분석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을 실시했다. 남자 158명과 여자 179명을 포함해 총 337명이 응답에 참여했다. 분석결과, 외향적 성향(E)은 6가지 미디어 의존유형과 전혀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정신병리적 성향(P)이 낮을수록 자기이해를 위한 목적으로 미디어를 이용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 신경증적 성향(N)이 높을수록 자기이해를 위한 목적으로 미디어를 이용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이러한 성격변인과 미디어의존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자응답자들일수록 세 가지 성격변인이 6가지 미디어 의존관계 변인과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는 경향이 강했다. 이 연구를 통해 특정 개인성격유형은 개인들이 미디어를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과 다양한 형식으로 관련을 맺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 연구가 갖는 함의가 함께 논의됐다.

임상치과위생사의 성격유형과 직업소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sense of vocation of clinical dental hygienist)

  • 조미숙;천세희;김창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689-694
    • /
    • 2014
  • Objectives : The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sense of vocation of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 Methods :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221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the City of Changwon(unified), Busan Gyeongsangnam-do.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19.0 program. Results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 and a sense of vocation was higher for the dental hygienists with a higher level of education attainment, higher monthly salary, higher job satisfaction level, extroverted personality, and the dental hygienists in a low neurotic group(p<0.001).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results among job satisfaction, personality type and the sense of vocation, a sense of vocation and job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the sense of vocation and neurotic tendency have a negative correlation(p<0.01). The results of logistic-regression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nse of vocation are as follows: education attainment(p<0.001), salary(p<0.05), extroversion(p<0.001) and neurotic tendency(p<0.05). Conclusions : Nature of consciousness, depending on the type of professional vocation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