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ye blinking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눈의 깜박임에 대한 연구 : I (A Study of Eye Blinking : I)

  • 공명옥;김연민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0
    • /
    • 1985
  • Eye blinking in case of three visual tasks is studied; wall hard-copy and color monitor. The eye blinking is checked by eye-status detector. The data observed are (1) the average number of eye blinking (2) the average time of eye blinking for three minutes in case of all three visual tas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times (or numbers) of eye blinking are different among three tasks. (2) The average time (or number) of eye blinking of wall is different from hard-copy and color monitor tasks. (3) But the average time (or number) of eye blinking of hard-copy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color monitor.

  • PDF

닫힌 눈(eye-closed) EEG신호를 이용한 높은 비율BCI 맞춤법 시스템 (High-rate BCI spelling System using eye-closed EEG signals)

  • 웬충하오;양다린;김종진;정완영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1-36
    • /
    • 2017
  • 이 연구는 비동기 매커니즘을 바탕으로 닫힌 눈(eye-closed) 및 이중 블링크 (double-blinking) EEG를 사용하여 BCI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신호 처리 모듈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VK-가상 키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26개의 영문자와 특수 기호로 구성됩니다. "눈 닫기"이벤트는 "선택"(select)명령을 유발하는 반면, "이중 블링크"(DB) 이벤트는 "실행 취소"(undo) 명령에 따라 실행합니다. 3개의 이벤트 그룹 ("열린 눈"(eye-open, "닫힌 눈" (eye-closed)및 "이중 블링크"(double-blinking)에 대한 EEG 신호 분석과 관련된 3 등급 벡터 보조 분류 (SVM) 기계가 제안되었습니다. 결과는 제안된 BCI가 평균 92.6 %의 전체 정확도와 5 글자 / 분의 맞춤법 비율을 달성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 연구는 실제 BCI 맞춤법을 구현하기의 실현 가능성과 신뢰성으로 인해 정확도와 철자 비율의 향상을 보여주었습니다.

  • PDF

Study of Eye Blinking to Improve Face Recognition for Screen Unlock on Mobile Devices

  • Chu, Chung-Hua;Feng, Yu-Kai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953-960
    • /
    • 2018
  • In recently, eye blink recognition, and face recognition are very popular and promising techniques. In some cases, people can use the photos and face masks to hack mobile security systems, so we propose an eye blinking detection, which finds eyes through the proportion of human face. The proposed method detects the movements of eyeball and the number of eye blinking to improve face recognition for screen unlock on the mobile devic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method is efficient and robust for the screen unlock on the mobile devices.

The Influence of Eye Movement for Acquiring BOLD Signal in V1 : A Study of Simultaneous Measurement of EOG and fMRI

  • Chung, Jun-Young;Yoon, Hyo-Woon;Kim, Young-Bo;Park, Hyun-Wook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77-483
    • /
    • 2007
  • We have measured EOG and fMRI simultaneously to investigate whether eye movement (blinking mechanism) might influenc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signal response in the primary visual cortex. $T2^*-weighted$ Echo-Planar Imaging (EPI) with concurrent electrooculogram (EOG) was acquired in four subjects while they viewed a fixation point and a checkerboard with a flickering rate of 8Hz. With the help of EOG information we divided the experimental blocks into two different conditions: fixation and moving eye. We have compared the fMRI data of these two conditions. Our results have show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conditions. This might suggest that eye blinking does not affect BOLD signal changes in the primary visual cortex. This means further that eye blinking can be ignored in data processing.

스마트폰의 동영상과 게임 사용이 대학생의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ellular Phone Videos and Games on Dry Eye Syndrome in University Students)

  • 박정숙;최미정;마지은;문지현;문효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23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e of cellular phone videos and games on dry eye syndrome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randomized comparison group pre-post design is used. Sixty university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video or a game group. Frequencies of blinking, dry eye symptoms scores and amounts of tears were measured. Thirty subjects watched cellular phone video programmes and the other 30 subjects played cellular phone games for 61 minutes. In addition, frequencies of blinking were measured three times during treatment, once immediately after a treatment and twice at an interval of 20 minutes after subsequent treatments. Results: Post-test scores of frequencies of blinking significantly decreased, dry eye symptoms scores including amounts of tears significantly increased greater than pre-test scores in both group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Frequencies of blink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spect to the time spent using cellular phone. In both groups, the lowest frequencies of blinking were shown after 40 minutes of cellular phone use.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using cellular phone has negative influence on dry eye syndrome and eyes require a resting period after cellular phone use over 40 minutes.

인물 사진에서의 얼굴 추출과 눈 개폐 여부 검증 (Face detection and eye blinking verification in common photos)

  • 배정호;황영철;차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801-804
    • /
    • 2008
  • 얼굴 추출 과정은 얼굴 인식 과정의 가장 선행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얼굴이라는 객체는 매우 고유동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접근하는 방법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그 결과가 매우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은 배경 속에 들어가 있는 얼굴이라는 객체를 CbCr 분포 맵에 기반을 둔 색상 정보와 세그멘테이션, 레이블링을 통해 추출, 색상 정보와 에지 정보를 이용하여 눈 영역을 검출하고 개폐 여부를 검증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였다.

  • PDF

지능형 졸음 운전 경고 시스템 (Intelligent Drowsiness Drive Warning System)

  • 주영훈;김진규;나인호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23-22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비젼을 이용한 영상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피로도를 측정하여 졸음운전을 판단하는 실시간 비젼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얼굴 영상 분석과 퍼지 이론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졸음 또는 부주의함을 경고함으로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얼굴 탐색 알고리즘 개발을 위해 퍼지 색상 필터와 가상 얼굴 모형을 이용하여 얼굴 위치 및 눈 영역을 보다 빠르게 검출하고, 눈 깜박임의 빈도수(eye blinking frequency)와 눈의 닫힘 지속 기간(eye closure duration)을 측정하는 방법은 제안한다. 그 다음,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퍼지논리를 사용하여 운전자의 피로도를 결정하고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방법은 여러 실험을 통해 그 우수성과 응용 가능성을 증명한다.

안구운동이 대학생의 눈 건강과 동체시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ye Health and Dynamic Visual Activity on Eye Movement in University Students)

  • 김주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91-199
    • /
    • 2020
  • 젊은 세대들은 스마트폰, 텔레비전, 컴퓨터 등 다양한 시각 매체들의 발달로 눈을 많이 사용함으로써 눈의 건강도 약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구운동과 치료적 마사지로 안구근육을 자극하여 눈건강과 동체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대의 대학생 38명을 대상으로 대조군(18명)과 실험군(20명)으로 나누고, 실험군은 안구운동과 치료적 마사지를 매일 30분씩, 주 5회, 4주 동안 실시하였다. 눈 피로도, 눈 뜬 상태 유지 시간, 안구표면온도, 동체시력은 연구 전과 4주 후에 측정하였다. 4주 후 눈피로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눈 뜬 상태 유지 시간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안구표면온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p>.05), 동체시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따라서, 눈의 기능 증진과 눈 건강을 위하여 안구운동과 치료적 마사지를 권장한다. 눈 건강을 회복하고 예방하기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비젼을 이용한 졸음운전 감지 시스템 (Drowsiness-drive Perception System Using Vision)

  • 주영훈;김진규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7권12호
    • /
    • pp.2281-228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e the drowsiness-drive perception system which judges drowsiness driving based on drivers' eye region using single vision system. To do this, first, we use the Haar-like feature and AdaBoost learning algorithm for detecting the features of the face region. And we measure the eye blinking frequency and eye closure duration from these feature data. And then, we propose the drowsiness-drive detection algorithm using the eye blinking frequency and eye closure duration. Finally, we have shown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some experiments.

눈 깜박임 화소 값 기반의 안면과 홍채영역 영상인식용 모듈설계 (Design of Image Recognition Module for Face and Iris Area based on Pixel with Eye Blinking)

  • 강민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1-2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홍채정보로 개인인증을 위한 USB-OTG(Uiversal Serial Bus On-the-go) 영상인식 모듈을 설계한다. 개인인증을 위해 사용자가 스마트 폰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도록 스마트 기기를 안면주위의 여러 장의 안면영상을 획득 후, 눈 깜박임에 의한 화소 값 차로 안면과 홍채영역을 검색하는 영상인식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접한 눈을 뜬 영상과 눈을 감은 영상을 감지한 안면과 홍채 영상의 프레임 화소 값의 차이를 사용한다. 또한, 홍채 영역분할에 의한 동공과 홍채영역 위치를 빠르게 찾을 수 방법을 활용한다. 제안한 빠른 홍채영역의 위치탐색은 눈 영역의 적정한 그리드 크기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안면과 홍채영역의 제한된 영역을 탐색하는 홍채인식 카메라 모듈의 USB-OTG 인터페이스 통한 인접영상의 프레임 차이에 의해 검출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로서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가 홍채 인식을 위해 눈을 깜빡이지 않고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