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7초

영상표시단말장치의 작업공간 배열에 따른 전자파 폭로 정도 (The Level of Exposure to Electromagnetic Fields Strength from VD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Working Space VDT)

  • 한상일;이세훈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46-154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workers' exposure level to electromagnetic field(EMF) in accordance with the VDT arrangement in the work place and distance from VDT. Author compared the exposure strength of EMF in line group(workers exposed to EMF from both front and back side) and in shielding group(workers exposed to EMF exclusively from front side). The levels of EMF at 30cm and 50cm from front side and at 30cm from back side of VDT were also measured.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Mean distance between a monitor and a worker in shielding group ($47.7{\pm}8.7cm$)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in line group($44.3{\pm}7.2cm$). Strength of EMF in shielding group [$1.3{\pm}0.7V/m$ (electric field) and $18.2{\pm}11.5mA/m$ (magnetic field) were lower than in line group [$1.4{\pm}0.6V/m$ and $26.6{\pm}11.6mA/m$, respectively] at the workers' position. 2. The strength of EMF was decreased with the distance from VDT. The strength at 70cm from VDT was nearly the same as the background strength in the ordinary office rooms. 3. Working distance from 9 inch monitor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from 14 inch and wider sized monitors. 4. The strength of EMF in extremely low frequency spectrum of color monitors was higher then that of black and white monitor. 5. Metal coated filter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EMF when earth line was connected. Metallic shield was effectively decreased the EMF strength from VDT, but wooden shield was not. From the above results, line type arrangement of VDT in the work place using metallic shield at the back side of VDT, and metal coated filter to monitor with application of earth line were recommended. It is also recommended to maintain workers position to be 60cm or more distance from monitor and 140cm or more between VDTs for minimizing workers' exposure to EMF.

  • PDF

8.2MHz 대역 미약 전계강도 무선기기의 출력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chnical Regulation of Weak Electric Filed Strength Radio Equipment about 8.2Hz Frequency Band)

  • 김선엽;나유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2498-250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8.2MHz 대역의 국내 미약 전계 강도 무선기기의 출력 제한치를 다른 외국의 기준치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의 규정이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낮음을 대략 10-20dB 정도 낮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8.2MHz EAS 시스템의 출력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전계 강도값이 각각 $70.6dB{\mu}V/m$$68.3dB{\mu}V/m$로 측정되었는데, 이러한 값은 국내의 현재기준인 $59.8dB{\mu}V/m$를 초과하는 값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8.2MHz 대역의 국내기준의 사향 검토가 필요하다 사료된다.

58kHz 대역 미약 전계강도 무선기기 기술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chnical Regulation of Weak Electric Filed Strength Radio Equipment about 58kHz Frequency Band)

  • 박형근;김선엽;나유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319-232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58kHz 대역의 국내 미약 전계 강도 무선기기의 출력 제한치를 다른 외국의 기준치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의 규정이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대략 50dB 정도 낮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58kHz EAS 시스템의 출력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전계강도값이 각각 $112dB{\mu}V/m$$108dB{\mu}V/m$로 측정되었는데, 이러한 값은 국내의 현재 기준인 $102.7dB{\mu}V/m$를 초과하는 값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58kHz 대역의 국내기준의 사양 검토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전위계차 센서를 이용한 원격센싱을 위한 ELF 대역 EMI 제거 및 PLN 응용 연구 (Study on EMI Elimination and PLN Application in ELF Band for Romote Sensing with Electric Potentiometer)

  • 장진수;김영철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4권1호
    • /
    • pp.33-38
    • /
    • 2015
  • 분 논문에서는 전위계 센서를 이용한 비접촉식 동작인식거리를 확장하기 위해 1K Hz 이하의 극저주파 EMI를 제거하는 기법과 제스처 동작 시작점 추출을 위한 PLN(Power Line Noice)을 이용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스마트기기 상에 장착된 전위계차 센서 주변에서 발생하는 극저주파대역의 전기장의 세기를 측정하여 효율적인 센서의 배치를 통해 EMI를 제거하는 동시에 60Hz 대역의 PLN 잡음은 오히려 동작 시작점 검출을 위하여 이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후, 접지를 통해 스마트 기기 및 센서의 회로에서 발생하는 전원선 잡음을 제거하고, 스마트 TV와 센서의 사이를 차폐시킴으로써 스마트 기기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잡음을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필터기법을 이용하여 남아있는 미세 잡음을 제거한다. 전위계차 센서를 스마트기기의 비접촉식 원격제어에 활용하기 위한 극저주파대역 EMI의 효과적인 제거 기법 및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전위계차 센서의 비접촉식 응용에 난제중 하나인 동작시작점 검출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여 제스처 인식거리를 실제 응용가능한 3m 이상으로 확장할 수 있음을 보였다.

VLF 전자탐사 자료의 해석 (Simple Interpretation of VLF Data)

  • 김희준;남명진;송윤호;서정희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8권2호
    • /
    • pp.184-190
    • /
    • 2005
  • VLF 주파수 평면파에 대한 지하의 반응을 지배하는 요소들을 물리적으로 간단히 설명하고자 하였다. VLF 법은 비록 탐사심도나 사용 주파수의 제한과 같은 심각한 단점들도 있지만, 지금까지 가장 흔하게 사용되어 온 전자탐사법으로 장점 또한 대단히 많다. 자기장 측정 모드의 경우 가볍고 값싼 장비 덕분에 넓은 영역에서 지하의 전도체를 신속하게 탐사하는데 유용하다. VLF 법을 전기장 모드에서 적용하면 비록 단순하지만 정략적 해석이 가능하며, 저렴한 장비와 신속한 현장작업이라는 장점 덕분에 개략탐사용으로 탐사 초기에 적합하다.

60Hz 자기장에 대한 과민 증후군의 자각증상 원인 평가 (Assessment of subjective symptoms by 60Hz magnetic field in electromagnetic hypersensitivity)

  • 양동인;남기창;권민경;김덕원
    • 감성과학
    • /
    • 제13권4호
    • /
    • pp.721-732
    • /
    • 2010
  • 전기기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60Hz 전력선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의 인체영향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와 더불어 60Hz 자기장에 의해 두통, 불면증 등 정신 신경 생리학적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이 자기장 노출에 의한 것인지 심리적 요인 때문인지에 대하여 확실한 원인규명이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장 노출 시 생리학적 변화(심박수, 호흡수, 심박변이도, 뇌파의 알파, 베타파), 자각증상, 자기장 인지 여부를 동시에 측정하여 복합적으로 자각 증상 원인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60Hz 12.5uT의 자기장을 일반인 군(16명)과 EHS 군(15명)을 대상으로 실제 노출 및 가상 노출을 하였다. 그 결과 알반인 군과 EHS 군 모두 60Hz 자기장 노출여부에 따른 생리학적 변화나 자각증상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자기장 인지 정확도에서도 EHS 군이 일반인 군보다 인지를 잘한다고 볼 수 없었다. 그러므로 EHS 유발요인은 60Hz 자기장이 아니라 다른 심리적,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전기장 왜란을 이용한 비접촉 스마트 TV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 (Non-Contact Gesture Recognition Algorithm for Smart TV Using Electric Field Disturbance)

  • 조정재;김영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24-13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4-채널 전위계 센서의 배열을 이용한 비접촉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주변의 전기장 변화에 민감한 전위계 센서를 스마트기기의 제스처인식에 활용하기 위해서 실내 환경에서 극저주파 대역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및 PLN(Power Line Noise)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AC 형태의 입력 데이터 값에 10Hz LPF(Low Pass Filter) 및 H/W 샘플링 속도를 고려한 최대 버퍼 값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형적인 DC 형태의 데이터로 변형한다. 추가적으로 칼만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노이즈를 최소화하며, 센서간의 배열을 고려한 데이터 차분 과정을 통해 목표물의 2차원적 움직임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데이터 값과 peak 값의 시차정보를 이용하여 DTW(Dynamic Time Warping) 제스처 인식 및 보정 알고리즘을 구현하였으며, 다섯가지 동작 시나리오 테스트 결과 95% 이상의 높은 인식률을 보였다.

근로자들의 극저주파 전자파 노출 수준에 따른 인체 영향 평가 (Health Status of Electric Utility Workers Exposed to Extremely Low 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 (ELF-EMF))

  • 박경호;안용호;김태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20-227
    • /
    • 2005
  • Recently, the use of an electrical apparatus has brought up concerns of health risks from exposure to electromagnetic fields. EMF is composed of electric fields and magnetic fields. Heavy exposure to EMF can occur only in the vicinity of high-voltage overhead transmission lines, close to transformers and underground cables, and also close to large electrical machinery. In this thesis I have investigated the hypothe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exposure to ELF-EMF and the risks of leukemia, anemia, cancer.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ELF-EMF emitted from electric power stations and transformer substations affect some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tumor markers of electric utility workers. The hematological test results and tumor markers under investigation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but some of parameters such as RBC, AFP, LD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rom two sample t-test (p<0.05). The exposure group showed increased LDH leve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y two sample t-tests. In addition, the abnormal LDH level in the exposure group was observed to be clinically significant by ${\chi}^2$-test. However, the levels of RBC, AFP observed were not clinically significant by ${\chi}^2$-test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LF-EMF does not affect most blood test parameters except LDH of electric utility work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