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xtremely Low Birth Weight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출생 체중 1,000 g 미만의 초극소 미숙아의 생존율 향상과 연관된 산과 및 치료인자 (Evaluation of Perinatal and Management Factors Associated with Improved Survival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 박성은;전가원;최창원;황종희;구수현;김유진;이장훈;장윤실;박원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2호
    • /
    • pp.1324-1329
    • /
    • 2005
  • 목 적 : 최근 1,000 g 미만의 초극소 미숙아의 생존율이 괄목할 만큼 향상되었고 이는 또한 신생아 집중치료술 평가의 지표로 간주되고 있어 초극소 미숙아의 생존율이 얼마나 향상되었는 지를 평가하고 생존율 향상과 연관된 주산기 및 치료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출생 체중 1,000 g 미만의 초극소 미숙아들을 대상으로 1994년부터 1999년까지를 1기(n=100)로, 2000년부터 2004까지를 2기(n=166)로 분류하여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두 시기의 임상양상을 비교하였다. 결 과 : 1기에 비해 2기에서 평균 재태연령과 출생 체중($27{\pm}2$주, $841{\pm}121g$ vs. $26{\pm}2$주, $794{\pm}143g$)이 유의하게 낮았으나 생존율이 60%에서 75%로 현저히 향상되었다. 또한 재태연령과 출생 체중을 보정한 분석에서 두 시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합병증으로는 기관지폐이형성증, 균혈증이 확인된 패혈증과 3도 이상의 뇌실내 출혈로 2기에서 낮은 빈도를 보였다. 대상 환아들의 생존율 향상과 연관된 주산기 및 치료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두 시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임상인자를 로짓회귀분석을 한 결과 산전 스테로이드 치료, 비강 지속성 기도 양압 치료기간과 3도 이상의 뇌실내 출혈의 부재가 포함되었다. 결 론 : 본원의 초극소 미숙아들의 생존율이 최근 향상된 것은 덜 침습적인 치료 방법을 중요시 여겼던 신생아 중환자실팀의 임상적 관리의 향상을 바탕으로 산전 스테로이드 치료 증가, 비강 지속성 양입기도 사용 증가와 3도 이상의 뇌실내 출혈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Intussusception in Neonate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ight Cases in a Single Center

  • Ahn, Yong-gi;Lim, Gina;Hwang, Eun Ha;Oh, Ki Won;Cho, Min Jeng
    • Neonatal Medicine
    • /
    • 제28권1호
    • /
    • pp.29-35
    • /
    • 2021
  • Purpose: Intussusception is the most common cause of bowel obstruction in children; however, it is rarely diagnosed in newborn infants.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clinical features of intussusception in newborn infants. Methods: Medical records of eight patients diagnosed with intussusception during the newborn period at Ulsan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rch 2007 and March 2020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Among the eight cases, two occurred in the intrauterine period and six occurred in the postnatal period. Intrauterine intussusception presented with symptoms of bowel obstruction within 1 to 2 days after birth, and ileal atresia was diagnosed simultaneously through exploratory laparotomy. All the postnatal patients were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median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25+6 weeks and 745 g, respectively). Four cases were diagnosed preoperatively using abdominal ultrasonography. One patient was diagnosed by exploratory laparotomy because the clinical symptoms were nonspecific and difficult to differentiate from those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a more prevalent complication in preterm infants. The site of intussusception in all six patients was the small bowel. Meckel's diverticulum (one case) and meconium obstruction (two cases) were found to be the lead point. Conclusion: Neonatal intussusception tends to show different clinical features according to its period of occurrence. Intussusception, especially in preterm infants, has nonspecific clinical features; therefore, clinicians should always be cautious of this disease for its early diagnosis.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에서 예방적 indomethacin 투여효과 (Effect of prophylactic indomethacin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 이보련;김수진;구수현;전가원;장윤실;박원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9호
    • /
    • pp.959-965
    • /
    • 2006
  • 목 적 :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환자 치료의 질적, 양적 성장으로 인해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의 생존률은 많은 향상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동맥관개존증 및 뇌실내출혈과 연관된 이환율 및 사망률은 높은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에서 동맥관개존증과 뇌실내출혈을 예방하기 위한 시도된 약물 중 indomethacin의 예방적 투여에 대한 효과와 부작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6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재태연령 29주, 출생체중 1,000 g 미만의 초극소 저출생체중아 8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Indomethacin을 생후 6시간 이내에 24시간 간격으로 0.1 mg/kg를 투여받은 예방군 28명과 대조군 56명으로 분류하여 두 군의 인구학적 및 주산기 인자, 동맥관개존증과 뇌실내출혈의 발생율 및 합병증과 사망률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결 과 : 인구학적 및 주산기 인자로서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은 각각 예방군에서 $25.1{\pm}1.3$주, $746{\pm}132g$이었으며 대조군에서는 $25.2{\pm}1.6$주, $738{\pm}142g$으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 외에 성 비, 부당경량아, 쌍생아의 비율,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 분만 방법,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산전 스테로이드 투여, 호흡곤란증후군의 유무, 융모양막염의 여부에서도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Indomethacin의 예방효과가 있을 것이라 기대했던 동맥관개존증과 3도 이상의 고도의 뇌실내출혈의 발생 비율에서는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첫 번째 치료적 indomethacin이 투여된 빈도는 예방군에서 더 많았고 indomethacin 투여된 시간은 예방군에서 유의하게 늦었다. 사망률은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합병증과 관련된 인자로 폐출혈, 기흉, 기관지폐이형성증, 미숙아 망막증, 괴사성 장염의 발생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자발성 회장 천공의 발생은 대조군에서는 없었던 반면에 예방군에서는 10.7%로 나타났고, 괴사성 장염에서 천공된 경우를 합한 경우에도 예방군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또한 완전장관영양에 도달한 시기는 예방군에서 $31.5{\pm}17.1$일이었고, 대조군에서는 $22.1{\pm}7.6$일로 예방군에서 유의하게 늦었다. 태변이 배출되는 데까지 걸린 기간과, 위장관 출혈의 발생빈도, 신 기능의 손상 정도의 평가에서는 두 군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에서 출생 후 저용량 indomethacin을 예방적으로 사용하여 뇌실내출혈이나 동맥관개존증의 비율을 감소시키진 못하였고, 오히려 장관 천공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장관영양의 진행이 늦어지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1999년도 한국 신생아외과 현황 -대한소아외과학회 회원대상 전국조사(제 2 차)- (Current Status (1999) of Neonatal Surgery in Korea)

  • 김우기;김상윤;김신곤;김인구;김재천;김현학;박귀원;박우현;송영택;오수명;유수영;이두선;이명덕;이성철;이석구;서정민;정상영;정성은;정을삼;정풍만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7권1호
    • /
    • pp.46-53
    • /
    • 2001
  •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neonatal surgery in Korea, a survey was made among the 36 memb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The response rate was 75 % (26 surgeons in 20 hospitals). Five hundred fifty three neonatal surgical patients treated in 1999 were analyzed. Regional numbers of patient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regional population in most areas. Ano-rectal malformations (17 %), pyloric stenosis (16 %), Hirschsprung's disease (13 %), atresia/stenosis of the gut (11 %), esophageal atresia (8 %) were the most common anomalies treated. The majority of operations were done within the first week of life. Seventy one per cent of cases were major life threatening or so-called neonatal index cases. Over-all mortality was 8 per cent. Higher mortality was observed in patients with diaphragmatic hernia (26 %), gastro-intestinal perforation (18 %), NEC (18 %), and esophageal atresia(14 %). Higher mortality was observed in patients with extremely low birth weight (33%) and low birth weight (18 %). Associated anomalies were observed in 20 %. Prenatal ultrasound was performed in 36 per cent with sensitivity of 20 %. Result of this study was compared to the previous report (1994) and that of Japan (1998).

  • PDF

Clinical Factors Affecting Lipid Metabolism and Optimal Dose of Heparin in Preterm Infants on Parenteral Nutrition

  • Lim, Mi Sun;Choi, Chang Won;Kim, Beyong Il;Yang, Hye R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6권2호
    • /
    • pp.116-122
    • /
    • 2013
  • Purpose: Preterm infants on parenteral nutrition are at a relatively high risk for hypertriglyceridemia because they have immature lipoprotein lipase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factors affecting lipid metabolism in preterm infants receiving parenteral nutrition an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intravenous heparin on serum triglycerides to determine the adequate heparin dose to prevent hypertriglyceridemia in preterm infants. Methods: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review was conducted among preterm infants receiving parenteral nutrition between January 2006 and February 2011. In 75 patients, 110 determinations were performed within 28 days postnatal age. 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including laboratory parameters, the dose and the duration of lipid administration, and the amount of intravenous heparin, were analyzed. Results: Serum triglycerides were higher in the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infants than in the appropriate for gestational age infants ($185.5{\pm}134.9$ mg/dL vs. $126.9{\pm}101.9$ mg/dL, p=0.019). Birth weight, gestational age, and body weigh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rum triglyceride level (r=-0.289, p=0.002; r=-0.208, p=0.029; r=-0.287, p=0.002, respectively). The serum triglyceride level was statistically lower in preterm infants receiving 1 U/mL of heparin than in those receiving 0.5 U/mL heparin or no heparin. Conclusion: Preterm infants receiving parenteral nutrition, particularly SGA and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tend to have hypertriglyceridemia. Thus, administration of 1 U/mL of heparin rather than 0.5 U/mL or none may be helpful to prevent hypertriglyceridemia in preterm infants.

Transfusion practice in neonates

  • Kim, Do-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1권9호
    • /
    • pp.265-270
    • /
    • 2018
  • Neonates, especially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are among the groups of patients undergoing transfusion frequently. Since they are exposed to higher specific transfusion risks compared to the patients of other age groups, there are many special aspects that must be considered for transfusion therapy in neonates. The transfusion risks in neonates include adverse outcomes specific for preterm infants as well as increased metabolic, immunologic, and infectious complications. To reduce the risks of transfusion-transmitted cytomegalovirus infection and transfusion-associated graft-versus-host disease, leukoreduced and irradiated cellular blood products should be used for all neonates. This review summarizes the risks of neonatal transfusion therapy, specific methods to reduce risk, and current trends and practices of red blood cell and platelet transfusions in neonates, to facilitate decision-making for neonatal transfusion.

Perspectives : Understanding the Pathophysiology of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n Preterm Infants and Considering of the Future Direction for Treatment

  • Young Soo Par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3호
    • /
    • pp.298-307
    • /
    • 2023
  • Remarkable advances in neonatal care have significantly improved the survival of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in recent years. However,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continues to be a major complication in preterm infants, leading to a high incidence of cerebral palsy and cognitive impairment. IVH is primarily caused by disruption of the fragile vascular network of the subependymal germinal matrix, and subsequent ventricular dilatation adversely affects the developing infant brain. Based on recent research,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injury is caused not only by ischemia and morphological distortion due to ventricular dilatation but also by free iron and inflammatory cytokines derived from hematoma and its lysates. The current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posthemorrhagic hydrocephalus (PHH) in preterm infants do not provide strong recommendations, but initiating treatment intervention based on ultrasound measurement values before the appearance of clinical symptoms of PHH has been proposed. Moreover, in the past decade, therapeutic interventions that actively remove hematomas and lysates have been introduced. The era is moving beyond cerebrospinal fluid shunt toward therapeutic goals aimed at improving neurodevelopmental outcomes.

극소 저출생체중아의 영아기 B형 간염 항체 생성률 조사 (Immune responses of hepatitis B vaccination among very low birth weight infant)

  • 김영득;한명기;김애란;김기수;피수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8호
    • /
    • pp.857-863
    • /
    • 2006
  • 목 적 : 의료기술과 신생아학의 발전으로 생존된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질병에 대한 관리가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영아기 B형 간염 항체 생성률과 항체 생성 실패에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과 강릉아산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였던 1,500 g 미만의 극소저출생 체중아 중에서 영아기에 B형 간염 항체에 대해 검사받은 2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아들은 역 연령 약 40주경에 첫 간염 예방접종시행 받았으며 1개월 후, 6개월 후에 간염 예방접종을 시행 받았다. 그러나 모체의 B형 간염 항원이 양성인 13명의 영아들은 출생 시에 임신주수와 출생체중과 관계없이 B형 간염 면역글로불린과 B형 간염 예방접종을 1회 더 시행 받았다. 항체검사는 마지막 간염 예방접종 3-4개월 후에 시행하였고 B형 감염 예방접종후의 항체 양전은 항체의 역가가 ${\geq_-}10mIU/mL$로 정의하였다. 결 과 : 총 243명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들의 B형 간염 예방접종 후 항체 양전율은 84.4%(205/243명)였다. 항체가 음성인 38명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 중에서 재접종이 가능하였던 28명 중 17명(60.7%)에서 항체가 양성으로 전환되었다. 총 243명 중 34.6%(84/243명)을 차지한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의 항체 양전율은 84.5%(71/84명)이었다. 13명의 항체 음성인 초극소 저출생체중아 중 재접종이 가능하였던 10명의 항체 양전율은 80%(8/10명)로 재접종 후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와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항체 양전율은 각각 95.3%, 97.5%으로 향상되었다. 출생시 임신주수별 항체 양전율은 $28^{+0}$주 미만과 $28^{+0}-36^{+6}$주인 영아들에서 각각 83.5%(66/79), 84.8%(139/164명)이었다. 이들 중 항체가 생기지 않았던 영아에서 재접종 후 각 군에서의 항체 양전율은 각각 96%, 94.9%로 향상되었다. B형 간염 보유자에게 태어난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항체 양전율은 76.9%(10/13명)였고 모두에게서 B형 간염의 항원은 음성이였다. 항체 양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첫 B형 간염 예방접종시의 체중이 작을수록 항체 양전율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세 번의 B형 간염 예방접종 후 항체 생성이 되지 않은 극소 저출생 체중아들에서의 재접종은 항체 양전율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 저자들은 극소 저출생 체중아들에게 아직 국내에서 보편적으로 실시되고 있지 않는 예방접종 후 항체검사를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바이다.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시행한 소화기계 수술의 임상적 특성 (Gastrointestinal surgery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Clinical characteristics)

  • 김지은;유혜수;김혜은;박수경;정유진;최서희;서현주;장윤실;서정민;박원순;이석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3호
    • /
    • pp.295-302
    • /
    • 2009
  • 목 적 :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소화기계의 수술적 치료를 받은 극소 저체중 출생아들의 임상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방 법 : 1994년 11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하였던 극소 저체중 출생아 총 1,117명에 대해 서혜부 탈장을 제외한 소화기계의 수술적 치료를 받은 군(37명)과 소화기계 수술을 받지 않은 군(1,080명)으로 나누어 이들에 대해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결 과 : 극소 저체중 출생아 37명(3.3%)이 소화기계 수술적 치료를 받았으며. 이들은 소화기 수술을 받지 않은 군(n=1,080)에 비해 재태 연령($27^{+6}2^{+3}$ vs. $28^{+5}{\pm}$2^{+6}$)과 출생 체중(979${\pm}$241 g vs. 1071${\pm}$271 g)이 더 작았다. 사망률은 소화기계 수술을 받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28% vs. 15%, P<0.001). 또한 생존한 환자 분석에서 담즙 정체증, 미숙아 망막증, 뇌백질 연화증는 소화기계 수술을 받은 VLBWI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기관지폐이형성증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술 적응증으로는 국소성 장천공이 가장 많았고 괴사성 장염에 비해 좋은 예후를 보였다. Period I (1994-2000)과 Period II (2001-2007. 2) 두 기간 동안 ELBWI의 소화기 수술이 크게 증가하였고 생존율이 향상되었다. 결 론 :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소화기계 수술적 치료는 사망률과 이환율 증가와 관계된 중요한 인자이다. 미숙아 치료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소화기계 수술적 치료의 사망률과 이환율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필수적이며 따라서 이들에 대한 좀 더 체계적 연구가 필요하다.

고위험 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fluconazole 예방요법 (Fluconazole prophylaxis in high-risk,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김수영;이순주;김미정;송은송;최영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7호
    • /
    • pp.636-642
    • /
    • 2007
  • 목 적 : 면역력이 약한 미숙아나 저체중 출생아에 여러 가지 침습적 조작으로 인한 항생제 사용이 진균 감염, 특히 칸디다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fluconazole 예방요법이 칸디다 감염율과 사망률을 감소시켰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1,500 g 미만의 극소저체중 출생아들에 대한 예방적 항진균제 사용이 칸디다 감염의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전남대학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1,500 g 미만의 극소저체중 출생아 중 기관내 삽관이나 제대 동정맥 또는 경피적 중심정맥 삽입술을 받은 환아로, 예방적으로 항진균제를 사용하지 않았던 2005년 1월 1일부터 2005년 7월 31일까지 7개월간의 환아를 'fluconazole 비사용군'으로, 사용하였던 2006년 1월 1일부터 2006년 7월 31일까지 7개월간의 환아를 'fluconazole 사용군'으로 하였다. 사용군 29명, 비사용군 28명을 대상으로 진균 감염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임상특성과 칸디다 감염증의 발생빈도, 사망률 및 fluconazole의 약물 부작용을 관찰하였다. Fluconazole은 생후 첫 3일에 시작하여 4주간 예방적으로 투여하였으며 시행 첫 1주일은 체중(kg)당 3 mg을 3일 간격으로, 그 다음 주부터는 격일로 투여하였다. 결 과 : 두 군 사이에 재태주령, 출생체중, 성별, 쌍생아, 분만방식에 차이는 없었다. 산과적 인자인 장기 조기 양막파수, 융모양막염 및 산전 스테로이드 사용 빈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생아 칸디다 감염증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1,000 g 미만 초극소저체중 출생아 빈도와 예방적 항생제 사용, 총정맥내 영양요법, 제대동정맥 삽입술 빈도와 유지기간, 지방유제 투여기간 및 기관내 삽관과 지속적 양압환기 사용기간에 두 군간 차이는 없었으나, 비사용군에 비해 사용군이 경피적 중심정맥 삽입술과 지방유제 사용빈도가 높았고 경피적 중심정맥관 유지기간이 길었다. Fluconazole 사용군과 비사용군 간에 진균감염의 빈도와 사망률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사용군에서 Malassezia 진균혈증이 5명 발생하였지만 칸디다 감염은 1명도 발생하지 않아 비사용군 5명(칸디다혈증 3명, 침습성 칸디다증 2명)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 론 : 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fluconazole의 예방적 투여가 칸디다 감염의 발생빈도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비용-효과 면에서 항진균제의 예방적 투여가 고려될 수 있겠으나, Malassezia 진균혈증의 증가 원인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