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2초

외엽형 폐격리증을 동반한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 기형 -1례 보고-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Associated with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1 case report-)

  • 전상협;김병준;이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2호
    • /
    • pp.223-226
    • /
    • 1996
  • 선천성 낭종양 선종양 기형과 외엽형 폐격리증은 각각드문 질환으로 이 두가지 질환이 퐁반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본원에서는 출생 후 호흡시 흥벽 함몰과 빈호흡을 보인 생후 3주된 남아에서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해 우폐하엽의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기형을의심하여 개흥술을시행하였다. 수술소견상 우폐하엽의 낭종성 병변 이외에 독립된 늑막에 둘러싸인채 비정상적인 혈류 공급을 받고 있는 종괴를 발견하여 하행 흉부 대동맥으로 부터 공급되는 2개의 동맥 가지와기정맥으로 유입되는 정맥분지를 결찰한 후 우하엽절제술과 더불어 격리폐를 절제하였다. 병리검사로 상기 두질환의 동반례로확진 하였고 환자는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할 수 있었다.

  • PDF

폐격리증-5례 보고- (Pulmonary Sequestration: Report of 5 Cases)

  • 조대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5권1호
    • /
    • pp.27-34
    • /
    • 1982
  • Pulmonary sequestration Is an unusual congenital malformation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nonfunctioning lung tissue which usually has no communication with the normal bronchial tree and which receives its blood supply from an anomalous systemic artery instead of a pulmonary arterial branch. Two forms of pulmonary sequestration occur: Intralobar sequestration, in which the abnormal pulmonary tissue is incorporated within the normal lung and shares a common covering of visceral pleura, and extralobar sequestration, in which the abnormal pulmonary tissue is separated from the normal lung and has its own pleural investment. Since 1970, five cases of pulmonary sequestration were operated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1. Among five cues, one was male and the others were female. 2. All were intralobar type and involved left lower lobe. 3. There was no operative mortality following left lower lobectomy and ligation of the aberrant artery.

  • PDF

Extralobar Supradiaphragmatic Pulmonary Sequestration Arising from the Retroperitoneum Through a Congenital Diaphragmatic Defect

  • Lee, Soojin;Cho, Jeong Su;I, Hoseok;Ahn, Hyo Yeong;Kim, Yeong Da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3호
    • /
    • pp.224-227
    • /
    • 2021
  • Here, we report the rare case of a 13-year-old girl with a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also known as Bochdalek hernia), which was revealed to be an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that was treated using laparoscopic and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sequestrectomy and repair of the diaphragm defect after detection of a supradiaphragmatic mass connected with the retroperitoneum. The patient showed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t a 1-month follow-up examination.

비정상적 위치에서 발생한 외엽형 및 내엽형 폐 격절증 - 2예 보고 - (Pulmonary Sequestration of Unusual Location, Extralobar and intralobar Type -Report of two cases -)

  • 박해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2호
    • /
    • pp.308-314
    • /
    • 1989
  • Pulmonary sequestration is a congenital malformation characterized by an area of embryonic lung tissue that derives its blood supply from an anomalous systemic artery. Two forms recognized: extralobar and intralobar. Extralobar form is a very rare congenital malformation, usually located in the lower chest, and may be found in newborn infants at the time a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is repaired. Large sequestrated segments may be cause acute respiratory distress in the neonate. The condition is asymptomatic in 15 per cent of patients. This report presents two cases of pulmonary sequestration which misdiagnosed a superior mediastinal tumor and a benign lung tumor. First case was 30-year-old male patient and chief complaints were dyspnea, dry cough and right chest pain. Chest X-ray showed a homogenous increased density of smooth margin at the right superior mediastinal area and suggested a benign mediastinal tumor. And so explothoracotomy was made without other special studies. Second case was 28-year-old male patient. One month ago, he had tracheostomy and right closed thoracostomy due to massive hemoptysis and spontaneous hemothorax. Chest X-ray showed a benign cystic lesion at RLL area. At the time of operation, in first case, a mass of adult fist size was placed medial to the right upper lobe and densely adhesive to trachea, SVC and esophagus. Blood supply of the mass was bronchial arteries of trachea and RUL bronchus and drained to SVC and azygos vein through anomalous systemic veins. There was no bronchial communication on Frozen biopsy. In 2nd case, large cystic lesion contained old blood hematoma was located in RLL and anomalous blood vessel from thoracic aorta was drained to posterior segment of RLL. In operation field, in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was diagnosed, and RLL lobectomy was carried out.

  • PDF

선천성 낭성 폐질환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Congenital Cystic Lung Disease)

  • 이상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11호
    • /
    • pp.930-937
    • /
    • 1994
  • Pulmonary sequestration,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CCAM], infantile lobar emphysema[ILE], and bronchogenic cysts are four congenital lesions that show abnormal cystic areas within the lung field in early life. They share similar embryolog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y are sometimes difficult to make differential diagnosis each other, and all require surgical treatment. From 1984 to 1993, 20 patients underwent surgical corrections under these diagnostic categories[10 bronchogenic cyst, 4 pulmonary sequestration, 4 CCAM, and 2 ILE]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Inje University, Pusan Paik Hospital. There were 9 females and 11 males, Ages ranged from 26 days after birth to 69 years. Among them 5 cases of bronchogenic cyst were found out incidentally, but remained all 15 cases were noted as symptomatic cases. Recurrent pulmonary infections, respiratory distress and cough with cystic lesions in chest film we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m. Computed tomography and aortography were available for diagnostic conformation. For all the cases surgical resection were performed: 1 pneumonectomy, 2 bilobectomy, 9 lobectomy, 7 cyst resection and 1 mass[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resection. All surgical treatments were well tolerated with no physical limitation. There was no operative mortality, and only one postoperative complication[empyema thoracis].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ranging from 4 months to 9 years. A clinical awareness of these related lesions is important for prompt diagnosis and effective surgical treatment.

  • PDF

폐격리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Case Analysis of Pulmonary Sequestration)

  • 전양빈;신성호;정태열;김혁;함시영;이철범;정원상;김영학;강정호;지행옥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206-1211
    • /
    • 1998
  • 배경:폐격리증은 흔한 질환이 아니며, 이외 진단을 위하여는 대동맥조영술이나 흉부 CT가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저자는 1990년 1월부터 1997년 9월까지 폐격리증을 가진 13명의 환자를 치험하였다. 결과: 남자가 6명이었고, 여자가 7명이었으며, 그들의 평균 연령은 25.8±14.3세였다. 주증상은 기침과 흉통, 무증상순이었다. 내엽형 폐격리증이 9예이고 외엽형 폐격리증이 3예였으며 한환자의 경우 두가지를 다 가지고 있었다. 내엽형이 외엽형보다 많았으며, 좌측과 우측의 호발차이는 없었다. 그들은 주로 대동맥 촬영술로 진단을 하였으며 영양공급 동맥은 주로 하행 대동맥에서 유래되었다. 치료는 내엽형의 경우는 폐엽 절제술을 하였으며, 외엽형의 경우 격리폐 절제술을 하였다. 결론: 폐격리증을 적절히 치료하기 위하여는 비정상적으로 기시되는 동맥을 발견하기 위하여 대동맥조영술 또는 흉부 CT 촬영을 반드시 해야 한다.

  • PDF

폐국균증을 동반한 내엽형 폐격리증 -1례 보고- (Aspergillosis within an Intralobar Sequestration -A case report-)

  • 박병률;이인규;정수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호
    • /
    • pp.84-87
    • /
    • 1999
  • 폐격리증이란 기형적 동맥에 의해 영양공급을 받는 대생 폐조직의 일부를 일컫는 용어이다. 이는 두 가지로 대별되며 -외협형과 내엽형- 다른 임상양상을 보인다. 본 과에서는 폐국균증을 동반한 내엽형 폐격리증 1례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32세 여자로 특별한 증상은 없었으며, 우연히 낭종성 병변을 지닌 폐종물이 발견되었다. 수술시야에서 하폐인대의 비정상적 동맥을 보어 폐격리증으로 진단하고, 우하엽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 PDF

산전 진찰에서 발견된 흉막액을 동반한 폐격리증 1례 (A Case of Pulmonary Sequestration with Pleural Effusion)

  • 구혜진;박지애;박수은;김영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2호
    • /
    • pp.221-223
    • /
    • 2005
  • 선천성 흉막액을 동반한 외엽형 폐격리증은 매우 드문 선천성 폐기형으로 아직까지 국내에서의 보고는 없다. 저자들은 재태 기간 27주에 시행한 산전 초음파상 좌측 흉막액이 발견되었고, 출생 후 시행한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및 전산화 단층 혈관 촬영술상 선천성 흉막액을 동반한 외엽형 폐격리증으로 진단하였으며, 생후 80일경 수술 후 특별한 문제없이 퇴원하여 현재 외래 추적 관찰 중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폐격리증 15예의 임상양상에 관한 고찰 (Clinical Manifestations of 15 Cases of Pulmonary Sequestration)

  • 박광주;김은숙;김형중;장준;안철민;김성규;이원영;김상진;이두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2호
    • /
    • pp.401-408
    • /
    • 1997
  • 연구배경 : 폐격리증은 드문 선천성 폐질환으로 진단이 지연되거나 오진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술전에 진단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술시 이상동맥으로부터의 출혈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있다. 저자 등은 수술적 치험을 한 폐격리증의 진단과 치료 등에 관한 전반적인 임상적 고찰을 시행하고자 한다. 방 법 : 1991년부터 1996년 5월까지 수술로써 확인된 15예의 폐격리증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소견, 수술전 진단, 방사선 및 수술소견, 예후 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평균연령은 22.5세(범위 5~57세)였고, 남녀비는 9 : 6이었다. 증상은 주로 재발성의 발열, 기침, 흉통, 객담 등의 감염증세를 나타내었으며, 내엽형 3예는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되었다. 단순 흉부 방사선 소견상 10예에서 다낭성 음영으로 나타났고, 5예에서 종괴양 음영이 관찰되었다.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은 12예에서 시행되었는데, 8예에서 다낭성 음영이, 4예에서 종괴양 음영이 관찰되었다. 흉부 자기공명영상은 3예에서 시행되었는데, 2예에서 하행대동맥에서 기시하는 이상동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동맥 조영술은 4예에서 시행되었고, 이상동맥은 2예에서는 하행 흉부대동맥, 1예는 복부대동맥, 1예는 늑간동맥에서 기시하였고, 모두 폐정맥으로 환류 되었다. 수술전 진단에 있어서는 폐격리증으로 진단한 경우는 내엽형 6예였고, 폐종양이 3예, 폐종양이 2예, 기관지 확장증이 2예 그리고 종격동 종양이 2예였다. 수술소견상으로는 내엽형이 12예중 8예는 좌하엽, 2예는 우하엽, 1예는 좌상엽, 1예는 우중엽에 위치하였고, 외엽형 3예중 2예는 좌우 횡격막 상부, 1예는 심낭내에 위치하였다. 수술시 이상동맥은 6예는 하행 흉부대동맥, 1예는 복부 대동맥, 2예는 내흉동맥, 1예는 늑간동맥, 1예는 심낭횡격막동맥에서 기시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4예에서는 정확한 기시부를 확인하지 못 하였다. 수술사망 및 이환률은 없었고, 추적관찰상 모두 특별한 문제없이 지내고 있다. 결 론 : 폐격리증 환자의 임상 양상은 다른 보고들과 유사한 소견을 보였고, 수술전 진단률은 비교적 낮았으며, 특히 외엽형의 경우에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 예에서 합병증 없이 양호한 경과를 보였으나, 향후 더 적극적인 수술전 진단적 접근을 하는 것이 수술시 출혈 등의 합병증 방지 및 적절한 수술방법의 적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내엽성 폐격리증의 임상적 특성과 조직병리학적 소견의 연관성 (Clinicopathological Correlation of In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 조현민;신동환;김길동;이삭;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356-362
    • /
    • 2003
  • 배경: 폐격리증의 발생기전에 대해서는 발생학적 이상에 의한 선천성 질환으로 생각해왔으나 대부분의 내엽성 폐격리증은 유아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고 동반된 선천성 기형이 비교적 드물다는 점에서 후천성 병변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12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수술절제 후 병리소견상 내엽성 폐격리증으로 확인된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환자의 나이 및 성별, 수술 전 증상 및 동반질환의 유무, 다른 선천성 병변의 동반여부, 이학적 소견, 술 전 검사방법 및 처치, 병변의 위치 및 수술 방법, 이상동맥의 기원과 크기 및 개수, 주요병변 및 동반병변의 병리소견, 술 후 합병증 등을 각각 조사하였다. 결과: 남녀 성비는 남자 8명(32%), 여자 17명(68%)으로 여자가 많았으며 나이분포는 1세에서 57세까지로 평균나이는 23세이었다. 호흡기계 임상증상이 있었던 경우가 14예(56%)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증상이 없이 우연히 발견되거나 흉통만을 호소하는 경우도 11예(44%)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수술 전에 폐격리증으로 진단할 수 있었던 경우는 8예(32%)에 불과하였고 그 외에 종격동 종양 혹은 폐종양으로 진단되었던 경우가 8예(32%), 선천성 혹은 후천성 낭종성 질환, 폐농양 혹은 기관지확장증으로 진단되었던 경우가 각각 5예(20%), 4예(16%) 있었다. 수술 시 이상동맥의 존재를 확인하였던 22명의 환자에서 하행 흉부대동맥에서 기시한 경우가 19예(86.4%)로 가장 많았고 흉부 및 복부 대동맥에서 기시한 경우가 2예, 복부 대동맥에서 기시한 경우가 1예 있었다. 수술 당시 연령을 10세 미만과 10세 이상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다른 선천성 기형의 동반여부는 각각 30%, 6.7%로 연령이 어릴수록 많았으나 선천성 원인에 의한 내엽성 폐격리증으로 진단된 경우는 각각 10%, 6.7%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p>0.05). 병리조직소견상 주된 병변은 나이에 관계없이 만성 염증 및 낭종성 변화를 보이고 있었으며 주위조직과의 유착정도도 비슷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내엽성 폐격리증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을 보면 특별한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되거나 호흡기감염과 관계없는 흉통만을 호소한 경우가 44%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수술 전에 종격동 종양 혹은 폐종양으로 진단되었던 경우가 많았다. 10세 미만의 환자에서 다른 선천성 기형의 동반이 많았으나 병변의 조직병리소견 및 선천성 비율을 볼 때 대부분이 후천성 병변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