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orporeal

검색결과 489건 처리시간 0.026초

Unexpected Restart Failure of Durable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 A Report of Two Cases

  • Hyo Won Seo;Ga Hee Jeong;Sung Min Kim;Minjung Bak;Darae Kim;Jin-Oh Choi;Kiick Sung;Yang Hyun Ch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3호
    • /
    • pp.315-318
    • /
    • 2024
  • The HeartWare Ventricular Assist Device (HVAD) was widely used for mechanical circulatory support in patients with end-stage heart failure. However, there have been reports of a critical issue with HVAD pumps failing to restart, or experiencing delays in restarting, after being stopped. This case report describes 2 instances of HVAD failure-to-restart during heart transplantation surgery and routine outpatient care. Despite multiple attempts to restart the pump using various controllers and extensions, the HVAD failed to restart, triggering a hazard alarm for pump stoppage. In one case, the patient survived after receiving a heart transplantation, while in the other, the patient died immediately following the controller exchange. These cases highlight the rare but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of HVAD failure-to-restart,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awareness among clinicians, patients, and caregivers, and adherence to the manufacturer's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for HVAD management.

중환자실 간호사 배치수준과 중증 간호행위의 관련성 : 2009~2020년 건강보험 청구자료 분석 (Relationship between Nurse Staffing and Critical Nursing Activities in Intensive Care Units : Analysi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from 2009 to 2020)

  • 고우리;조성현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5-41
    • /
    • 2024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nges in critical nursing activities from 2009 to 2020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staffing and such activities in intensive care units. Methods : A total of 446,445 adult patients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s in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from 2009 to 2020 were identified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base. The Critical Nursing Activities Index was calcul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ical nursing activities: ventilator,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and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Trend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changes in critical nursing activities over 12 years and to assess linear trends across different staffing levels. Results : The annual utilization days for ventilators, ECMO, and CRRT, as well as the Critical Nursing Activities Index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he study period (p-for-trend<.001) in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except for ventilator use in general hospitals. Ventilator, ECMO, and CRRT utilization exhibited a significant upward trend with higher nurse staffing levels (Bonferroni adjusted p-for-trend<.001). The Critical Nursing Activities Inde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ospitals with higher staffing levels compared to those with lower staffing levels (Bonferroni adjusted p <.05). Conclusion :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improved nurse staffing levels in intensive care units. Government policies should ensure that staffing levels align with critical nursing activities among critically ill patients to uphold the quality of care.

족저근막염의 수기요법에 대한 문헌 연구 보고 (Manual Therapy for Plantar Fasciitis: A Review of Clinical Study)

  • 박인화;차윤엽;김민정;허인;김병준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3-63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manual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plantar fasciitis by reviewing exist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pecifically, it seeks to identify various manual therapy techniques and evaluate their applicability in clinical settings. Methods The study reviewed literature from six databases (PubMed, the Cochrane Library,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ScienceON,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up to April 2024. Studies were selected based on criteria includ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volving manual therapy for plantar fasciitis. Results An analysis of ten studies involving 714 patients revealed the use of techniques such as joint mobilization, muscle relaxation, and pressure point techniques. Manual therapy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reducing pain than both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and routine physical therapy alone. However, caution is needed in generalizing these results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studies analyzed. No significant adverse effects were reported. Conclusions Manual therapy demonstrates potential as an effective treatment for plantar fasciitis, offering benefits in pain management and functional recovery. However, further high-quality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linical evidence and establish standardized treatment protocols.

만성 석회화 건염에 대한 다발성 천공술 후 추가적으로 시행한 체외 충격파 치료의 에너지 수준에 따른 결과분석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after Multiple Drilling as a Treatment for Chronic Calcific Tendinitis - An Analysis of Outcome Following Different Levels of Energy)

  • 노규철;장근종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6-74
    • /
    • 2012
  • 목적: 만성 석회화 건염에 대한 보존적 치료방법으로 석회질 다발성 천공술과 체외 충격파 병합 치료의 효과를 비교하고, 체외 충격파 치료의 에너지 수준에 따른 임상적, 방사선학적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환자 선정은 2010년 6월부터 2011년 8월까지 어깨 통증으로 내원 후 극상근 만성 석회화 건염으로 진단받은 환자 9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천공술 후 체외 충격파 치료를 에너지 수준에 따라 고에너지군(제 1군;31명), 저에너지군(제 2군;36명) 및 다발성 천공술 시행군(제 3군;31명) 으로 분류하였다.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견관절 통증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 석회화 건염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시술 전과 후 12주째 임상적 기능향상 및 증상 호전 정도를 ASES, KSS, CSS와 방사선학적 호전 정도를 석회화 결절의 크기 변화로 평가하였다. 결과: 세 군 모두에서 임상적 기능의 개선과 석회화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특히 임상적인 개선이 다발성 천공술만을 시행한 군(3 군)보다 추가적인 ESWT를 시행한 군(1, 2군)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 방사선학적으로 볼 때, 석회화의 크기와 진행 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군간의 비교를 보면, 임상기능 개선의 정도와 석회화의 속도 감소의 차이는 고에너지 군(1군), 다발성 천공술(3군) 사이가 저에너지 군(2군), 다발성 천공술(3군)에서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고에너지 군(1군)과 저에너지 군(2군)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결론: 만성 석회화 건염의 치료를 위해, 추가적인 체외 충격파 치료는 다발성 천공술 단일로 시행했을 때보다 에너지 수준에 관계없이 임상적 기능의 개선과 석회화의 감소에 더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에너지 수준에 의한 체외 충격파 치료의 결과로, 석회화의 감소와 임상 기능 개선 정도에 대한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Northgate SD-3와 Modulith SLX 쇄석기를 이용한 체외충격파쇄석술의 비교분석: 단일 신결석 및 요로결석 2,000례의 치료결과 분석 (Comparison of Northgate SD-3 and Modulith SLX Lithotriptors: Treatment Results with 2,000 Renal and Ureteral Stones)

  • 이준영;정희창;문기학;조철규;박동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85-93
    • /
    • 1999
  • 세대 및 특징이 다른 쇄석기종의 치료효과와 안전성을 비교하기 위해 2세대 Northgate사의 SD-3 쇄석기와 3세대 Storz사의 Modulith SLX 쇄석기로 체외충격과 쇄석술을 시행한 단일요로결석 환자 2000례를 분석한 결과, 치료효과를 판정해 볼 수 있는 요로결석의 위치 및 크기에 따른 성공률과 재시행률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제 3세대 쇄석기인 Modulith SLX와 Northgate SD-3의 치료효과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두 쇄석기종 모두에서 심각한 합병증의 발생은 없었으나, Northgate SD-3에서 Modulith SLX 보다 합병증으로 인한 입원치료를 받은 환자의 수가 많았다. 이상으로 두 기종 사이의 치료효과에는 큰 차이가 없고, Modulith SLX률 이용한 체외충격파쇄석술이 조금 더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두 기종의 장단점을 서로 보완하여 사용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백혈구제거 혈액성 충진액이 체외순환 후 심폐부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ukocyte Depleted Priming Solution on Cardiopulmonary Edema by Extracorporeal Circulation)

  • 김시훈;김영두;진웅;조건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9호
    • /
    • pp.704-710
    • /
    • 2001
  • 심장수술을 위한 심정지 기간 중에 우리 몸의 혈액순환을 대신하는 인공심폐기에 의한 체외순환은 생명유지를 위하여 필수적인 과정이다. 그러나 혈액이 정상적인 혈관 이외의 부위에 노출됨으로서 발생하는 전신성 염증반응과 활성화된 백혈구는 치명적인 심폐부종을 초래하기도 한다. 저자는 이러한 위험을 줄이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인공심폐기를 구성하고 있는 산화기 및 회로르 채우는 충진액을 백혈구를 제거한 혈액성 충진액과 백혈구를 제거하지 않은 혈액성 충진액 및 비혈액성 충진액으로 구분하여 각각 체외순환을 시행한 후에 충진액내의 동종혈액의 백혈구가 심폐부종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실험군은 15마리의 한국산 잡견을 충진액의 성분에 다라 비혈액성 정질용액, 백혈구를 제거하지 않은 동종혈액성 충진액, 백혈구를 제거한 동종혈액성 충진액을 사용한 군으로 각각 다섯 마리씩 세 군으로 나누었다. 세 군 모두에서 2시간의 체외순환 및 연속된 4시간의 마취유지 경과후에 폐조직 일부와 심근조직 일부를 적출하여 습건중량비를 비교하고, 동맥혈 가스분압과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 및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과 호기말 이산화탄소분압의 차이를 관찰하여 각 군간의 폐 환기능을 비교하였다. 결과: 1. 각 군간의 동맥혈 산소분압 및 이산화탄소분압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Pa$CO_2$-Et$CO_2$값으로 판단한 폐 환기능의 정도는 비혈액성 충진액을 사용한 군과 혈액성 충진액을 사용한 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백혈구 제거군이 백혈구를 제거하지 않은 군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P<0.05). 3. 심근 및 폐조직의 습건중량비(Wet/Dry weight ratio)는 비혈액성 충진액을 사용한 군과 백혈구를 제거하지 않은 동종혈액성 충진액을 사용한 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백혈구 제거군이 다른 두 군보다 유의하게 적게 나타났다. 결론: 위와 같은 실험 결과를 통하여 백혈구를 제거한 동종혈액을 사용한 충진액이 체외순환 후 나타나는 폐 환기능의 변화 및 심폐부종의 발생을 경감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심폐기 체외순환에 의한 혈청 전해질 변동에 관한 연구 (A Clinical Study of Changes in Serum Electrolyte Concentration During and After Extracorporeal Circulation with Heart-Lung Machine)

  • 김근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1권4호
    • /
    • pp.404-415
    • /
    • 1978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better measures for safety of open heart surgery under extracorporeal circulation (ECC) with Heart-Lung-Machine by preventing changes in the concentrations of serum electrolytes during and after ECC. For this purpose, the cocentrations of serum electrolytes were measured before, during, and after ECC in 21 patients with congenital and acquired heart diseases who received open heart surger, - under ECC using Heart-Lung-Machine. Also considered was the development of safety measured by which changes in serum electrolyte concentrations were prevented during and after open heart surgery under ECC. The mean values for serum sodium levels were observed to be ; $13.14{\pm}0.47$mEq./L. for the samples obtained before ECC. $139.59{\pm}0.68$mEq./L. for the samples obtained 10 minutes after ECC and $138.0{\pm}0.68$mEq./L. for the samples obt"ined 24 hours after ECC.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rum sodium concentrations were \\'ithin normal range during and until 24 hours after ECC. 2) The concentrations of serum chloride were found to be $105.38{\pm}0.70$105.38$\pm$0. 70 mEq./L. for the samples collected before ECC, $105.07{\pm}1.01$mEq./L. for the Simples collected 24 minutes aiter ECC and $101.95{\pm}1.09$mEq./L. for the samples collectect 24 hours afte ECC. As was tile case with serum sodium levels,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serum chloride levels during and 24 hours after ECC. 3)With proper provisions of potassium chloride solution during ECC, the concentrations of serum potassium were found to be $4.22{\pm}0.06$mEq./L. for the samples removed before EeC, $4.06{\pm}0.14$mEq./L. for the samples removed 10 minutes after ECC and $4.39{\pm}0.07$ mEq./L. for the samples removed 24 hours after ECC. 4)The concentrations of serum calcium were also maintained within normal during and after ECC; $9.15{\pm}0.14$mg/dl for the serum collected before ECC, $8.36{\pm}0.21$mg/dI for the serum collected 10 minutes after ECC and $8.47{\pm}0.14$mg/dl 21 hours after ECC. The maintenance of serum calcium level within normal throughout ECC was achieved by parenteral administrations of calcium gluconate as frequent as required. 5) As were the cases with serum potassium and calcium, the concentrations of plasma bicarbonate was regulated within normal range during and after ECC, only when sodium bicarbonate solution was admini"tered parenterally as it was required; $23.7{\pm}0.50$mEq./L. for the serum collected before ECC. $22.33{\pm}1.09$mEq.lL. for the serum collected 10 minutes after ECC and $25.3{\pm}0.96$mEq./L. for the serum collected 24 hours after ECC.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 t during and after ECC serum sodium and chloride levels remined unchanged without any provision of normal saline, while serum potassium, calcium, and bicarbonate concentrations were kept within normal limits only when these ealectrolytes were administered through parenteral routes. With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serum potassium, calcium, and bicarbonate levels should be determined as often as possible during and after ECC and that in order to maintain serum electrolyte levels within normal these electrolytes in the forms of potassium chloride, calcium gluconate, and sodium bicarbonate shou'd be given parenterally as they were found to be required.

  • PDF

체외충격파쇄석술 적용을 위한 총담관결석의 선택 (Patient's Selection for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for Treatment of Common Bile Duct Stones Resistant to Endoscopic Extraction)

  • 이원홍;손순룡;박천규;김창복;강성호;류명선;이용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8권2호
    • /
    • pp.105-110
    • /
    • 2005
  • 담관 결석은 동통뿐만 아니라 황달이나 담도염 또는 췌장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결석에 대한 내시경적 제거가 실패할 경우 체외충격파쇄석술이 요구될 수 있는데, 이 논문은 담관 결석환자에 대한 체외충격파쇄석술 적용에 있어 보다 더 적절한 선택 기준을 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총담관 결석 환자 중 기계적 쇄석술을 포함한 내시경적 제거에 실패한 46명이 체외충격파쇄석술을 받았다. 46명 모두 체외충격파쇄석술 전에 내시경적 유두괄약근 절개술을 받았으며, 경비담도배액관의 삽입이 이루어 졌다. 사용된 쇄석기는 초음파 유도하에 결석을 포착하는 시스템으로 spark-gap type이였다. 쇄석 후 추가적인 내시경적 제거술이 이루어 졌으며, 결석이 완전 제거된 경우는 89.1%(41/46)였으며, 자연 배출된 경우는 6.5%였다. 쇄석 후 결석제거율은 결석의 수(단일: 82.8%, 둘-셋: 100%, 넷 이상: 100%)와 크기(33 mm 미만: 92.9%, 33 mm 이상: 83.3%)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결석들의 장축 길이 합과 결석이 위치하지 않는 부분의 총담관 길이 합을 비교하였을 때 완전 제거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비가 1:1.4와 1:1.1, 그리고 가장 큰 결석의 직경과 결석하방의 총담관 직경을 비교한 경우는 그 비가 1:0.9와 1:0.4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결석의 수나 크기보다는 총담관 내에 분쇄된 결석이 충분히 움직여 바스켓으로 포획될 수 있는 공간이 있을 경우에 체외충격파쇄석술 적용이 상당히 유용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는 경피적 담도경을 이용한 제거가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체외순환에서 박동 혈류와 비박동 혈류가 관상동맥 혈류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Pulsatile and Non-Pulsatile Extracorporeal Circulation on the Pattern of Coronary Artery Blood Flow)

  • 손호성;방영호;황진욱;민병주;조종호;박성민;이성호;김광택;선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01-109
    • /
    • 2005
  • 배경: 심정지와 같은 위급상황에서 관상동맥의 혈류를 유지하는 것은 심장근육의 보존과 회복 및 환자의 생명을 보존하는 데 중요하다. 최근 들어 Extra-Corporeal Life Support System (ECLS)의 기계식 순환장치의 사용으로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보존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체외순환 모델에서 박동성 혈류와 비박동성 혈류가 관상동맥의 혈류량 및 심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실험은 $25\~35Kg$의 돼지 14마리를 각각 7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제 1군은 비박동성 혈류 펌프인 원심펌프를 사용하였고 제2군은 이중 박동형 펌프를 사용하였다. 체외순환은 우심방에서 상행대동맥으로 심폐바이패스를 하고, 9V의 전기 충격으로 심실세동을 만들었다. 체외순환은 2시간 동안 유지하였으며, 펌프량은 두 군 모두 2 L/min로 유지하였다. 초음파를 이용한 관상동맥 혈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좌전하행지의 관상동맥 관류량을 펌프 시작 전(기초치)과 시작 후 20분마다 측정하였다. 또한 관상 정맥동의 혈액을 펌프 시작 전(기초치)과 시작 후 1시간, 2시간에 채취하여 두 군간의 심근효소의 차이와 대사물질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각 관찰지표의 군간 비교는 STATISTICA 통계프로그램(Version 6.0)의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p값이 0.05 이하인 경우로 하였다. 결과: 관상동맥의 저항지수는 제 2군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펌프 구동 후 40분, 80분, 100분, 120분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났다 (p<0.05). 관상동맥의 평균 혈류 속도는 제 2군에서 펌프 구동 후 20분부터 의미 있게 높게 유지되었다(p<0.05). 관상동맥의 혈류량도 제2군에서 높게 유지되었으며, 펌프 구동 후 40분, 60분, 100분, 120분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그러나, 관상정맥동의 혈액학적 검사에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박동성 혈류는 비박동성 혈류보다 좌전하행지 관상동맥의 저항지수를 낮추고, 관상동맥의 관류속도를 빠르게 하여, 관상동맥으로의 혈류량을 높게 유지하였다.

사지구제술에서 언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이 유용한가? (When do we use the Recycling Autograft in Limb Salvage Surgery?)

  • 김재도;장재호;조율;김지연;정소학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5-105
    • /
    • 2008
  • 목적: 악성 근골격계 종양의 치료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이용하는 사지구제술에서 종양의 절제 및 재건 방법과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 따라 그 유용성과 임상적 적용에 대하여 후향적 조사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는 1995년 12월에서 2006년 2월까지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한 58례의 악성 근골격계 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는 평균 36.5세(5~74세)였고, 성별은 남자가 34례, 여자가 24례였다. 58례 중 47례는 체외 방사선 조사(extracorporeal irradiation)를 시행하였고 11례는 저온 열처리(pasteurization)를 하였다. 재활용 자가골의 절제 및 재건 방법은 조각삽입(fragmentary) 3례, 분절삽입(intercalary) 8례, 골연골 삽입(osteoarticular) 18례,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recycling-autograft-prosthesis composite) 23례, 전 관절(total joint) 5례,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1례였다. 결과는 절제 및 재건 방법과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 따라 방사선학적 유합과 기능적인 평가(Musculoskeletal Tumor Society)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고 각각의 합병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접합부의 유합은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15.0개월, 저온 열처리에서 12.6개월로 관찰되었다. 절제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 12.8개월, 조각삽입 6.0개월,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 10.0개월, 골연골 삽입 23.3개월, 전 관절 15.6개월로 관찰되었다. 기능적 결과 점수는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59.6%, 저온 열처리에서 63.5%였고 절제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 60.8%, 조각삽입 65.5%,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골반제외) 62.8%, 골연골 삽입 66.0%, 전 관절 이식 66.6%였다. 저온 열처리에서 합병증은 2례(18.1%)로 감염 1례, 비구 돌출 1례가 관찰되었고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22례(46.8%)의 합병증(심부 감염 3례, 불유합 8례, 골절 2례, 성장판 문제 2례, 관절 불안정성 5례, 국소 재발 2례)이 발생하였다. 절제 및 재건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에서 불유합 3례(37.5%), 자가골-종양대치물에서 합병증 9례(50.0%, 불유합 4례, 심부감염 1례, 종양대치물 주위 골절 1례, 성장판 문제 1례, 국소재발 1례, 비구 돌출 1례), 골연골 삽입에서 합병증 6례(33.3%, 심부감염 2례, 불유합 2례, 성장판 문제 1례, 병적 골절 1례), 전 관절 이식에서 합병증 5례(100%, 관절 불안정성 5례), 아킬레스건에서 국소재발 1례(100%)가 발생하였다. 결론: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의 유용성은 절제 및 재건 방법에 따라서 조각 및 분절 재건술이 사지의 기능이 우수하고 접합부의 빠른 유합을 보여 가장 좋은 적응증으로 사료되며, 자가골-종양 대치물 복합체의 재건술에서는 절제 후 남은 골이 부족할 때 종양 대치물의 안정성을 위해 고려해 볼 만하다.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서는 저온 열처리법이 체외 방사선 조사법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