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ernal exposure dose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7초

농축인자법에 의한 유도방출 기준 설정 (Determination of Derived Release Limits by the Concentration Factor Method)

  • Byung Woo Kim;Byeung Kyu Kim;Jeong Ho L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267-278
    • /
    • 1985
  • 원자력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방사성물질에 의한 피폭선량을 규제하는데 있어 몇 가지 종류들의 방식들이 적용되어 왔다. ICRP에 의해 권고된 일차 선량 당량 제한치가 가장 근본적인 것이다. 일차 제한치가 직접 적용될 수 없을 때 외부 피폭의 경우 선량당량 지표가 내부피폭의 경우 최대허용농도, 연섭취 제한치 흑은 유도대기 농도 및 최대 신체 부하량 등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값들은 실제 배출량을 제어하는 견지에서 바로 사용할 수 없어 유도방출 기준치를 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선 월성 원자력발전소에 대해 고려되는 특정환경들 사이의 전달속도가 시간에 독립적인, 장기성 농축인자 방식으로 방출속도의 유도 제한치를 구하였다.

  • PDF

자외선 조사량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봉지재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Photovoltaic Module Encapsulant According to UV Irradiation Dose)

  • 이송은;배준학;신재원;전찬욱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6권3호
    • /
    • pp.81-85
    • /
    • 2018
  • The photovoltaic modules installed in the actual field are affected by various external environments and the electrical performance output value is generally lowered compared to initial output value. The most of photovoltaic modules consists of low iron glass, encapsulant (EVA), back sheet, frame and junction box assembly based on the solar cells.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encapsulant which is an important constituent material of photovoltaic module were verified by maximum power determination, electro luminescence images, yellowness index measurement, and gel content measurement after ultraviolet (UV) irradiation exposure. The most commonly installed 72 cells crystalline photovoltaic modules were tested after various UV exposure of 0, 15, 30, and $60kWh/m^2$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module. After UV exposure of $15kWh/m^2$, which is the current international test condition, a small amount of change was observed in yellowness index and electroluminescence, while a gell content rapidly increased. At a cumulative dose of $60kWh/m^2$, which will be a new international test condition in the near future, however, the yellowness index increased sharply and showed the greatest output power drop.

Evaluation of radiological safety according to accident scenarios for commercialization of spent resin mixture treatment device

  • Choi, Woo Nyun;Byun, Jaehoon;Kim, Hee Reyo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7호
    • /
    • pp.2606-2613
    • /
    • 2022
  • Spent resin often exceeds radiation limits for safe disposal, creating a need for commercial-scale treatment techniques to reduce resin radioactivity. In this study, the radiological safety of a commercialized spent resin treatment device with a treatment capacity of 1 ton/day was evaluated.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device is radiologically saf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is device desorbs 14C from the spent resin, allowing disposal as low-level waste instead of intermediate-level waste. The device also reduces overall waste by recycling the extracted 14C. Potential accident scenarios were explored to enable dose assessments for both internal and external exposure while preventing further spillage of the device and processing the spilled resin. The scenarios involved the development of a surface fracture on the resin mixture separator and microwave systems, which were operated under pressure and temperature of 0-6 bar and 0-150 ℃, respectively. In the case of accidents with separator and microwave device, the maximum allowable working time of worker were derived, respectively, considering external and internal exposures. When wearing the respirator corresponding to APF 50, in the case of the microwave device accident scenario, the radiological safety was confirmed when the maximum worker worked within 132.1 h.

The Relationship between Urinary 8-hydroxydeoxyguanosine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Exposure in Working Environment

  • Lee Jong-Seong;Kim Eun-A;Lee Yong-Hag;Moon Deog-Hwan;Kim Kwang-Jo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3-152
    • /
    • 2005
  • To investigate the exposure effect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urinary 8-hydroxydeoxyguanosine (8-OHdG) concentration and PAHs exposure. The study population contained 44 workers in steel-pipe coating and paint manufacture industries. We measured airborne total PAHs as an external dose, urinary 1-hydroxypyrene (1-OHP) as an internal dose of PAHs exposure, and urinary 8-OHdG as an effective dose of oxidative DNA damage.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urinary concentration of l-OHP and the environmental concentration of PAHs, pyrene, urinary cotinine, AST, and GGT. The mean of urinary 8-OHdG was $17.07\pm1.706{\mu}g/g$ creatinine in workers exposed to airborne PAH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urinary concentration of 8-0HdG and the airborne concentration of PAHs. From the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bout 8-OHdG, significant independents was total PAHs. In this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urinary concentration of 8-OHdG and the airborne concentration of PAHs. The urinary 1-OHP was effective index as a biomarker of airborne PAHs in workplace. But it was influenced by non-occupational PAHs source, smoking and biomarkers of liver function test.

  • PDF

성숙 및 신생마우스에서 아포프토시스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의 생물학적 지표 (Biological indicator on radiation exposure using apoptosis in adult and newborn mice)

  • 오헌;이송은;양정아;정규식;현병화;김성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679-685
    • /
    • 1998
  • We have studied, by a nonisotopic in situ DNA end-labeling (ISEL) technique, frequency of apoptosis in the external granular layer (EGL) of the cerebellum after whole-body irradiation of newborn mice and intestinal crypt cell of adult mice by gamma-rays from $^{60}Co$. The extent of changes following 2 Gy(10.9 Gy/min) was studied at 2, 4, 6, 8, 12, or 24h after exposure. The maximal frequency was found 4-8h after exposure. The mice that received 0.18, 0.36, 0.54, 1.08, 1.98, or 3.96 Gy were examined 6h after irradiation. Measurements performed after irradiation showed a dose-related increase in apoptotic cells in each of the mice studied. The dose-response curves were analyzed by a linear-quadratic model; frequency(%) of apoptotic cell in the newborn mice cerebellum was ($13.49{\pm}1.175$)D+$(-1.52{\pm}0.334)D^2$+0.048($r^2=0.981$, D = dose in Gy) and frequency(number per crypt) of apoptotic cell in the intestinal crypt of adult mice was ($3.857{\pm}0.420$)D+$(-0.535{\pm}0.120)D^2$+0.155($r^2=0.952$, D = dose in Gy). It provides the basis requir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results which will be obtained in any further studies for biological responses of radiation using newborn and adult mice.

  • PDF

Assessment of Potential Radiation Dose Rates to Marine Organism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Lee, Dong-Myung;Lee, Jun-h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1권1호
    • /
    • pp.1-6
    • /
    • 2016
  • Background: It is very difficult to set a regulatory guidance or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non-human species from the ionizing radiation, because there are no generally or internationally accepted methods for demonstrating the compliance with such criteria. It is needed that Korea develop the primary dose rate standards for the protection of both aquatic and terrestrial biota in the near future. Materials and Methods: The potential dose rates due to both external and internal radiation exposures to marine organisms such as plaice/flounder, gray mullet, and brown seaweed collected within territorial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ere estimated. Results and Discussion: The total dose rates to plaice/flounder, gray mullet and brown seaweed due to $^{40}K$, a primordial radionuclide in marine environment, were found to be 0.2%, 0.08% and 0.3% of approximately the values of the Derived Consideration Reference Levels (DCRLs, i.e. $1-10mGy{\cdot}d^{-1}$), respectively, as suggested by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publication 124. The total dose rates to marine fishes and brown seaweed due to anthropogenic radionuclides such as $^{90}Sr$, $^{137}Cs$ and $^{239+240}Pu$ were considered to be negligible compared to the total dose rate due to $^{40}K$. The external exposure to benthic fish due to all radionuclide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pelagic fish. Conclusion: From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the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develop a national regulatory guidance for the evaluation of doses to non-human species.

공기 중 벤젠과 소변 중 뮤콘산과의 상관성 연구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airborne benzene and urinary trans,trans-muconic acid in Petrochemical industry processes)

  • 주귀돈;이종성;최성봉;신재훈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6-363
    • /
    • 2006
  • To investigate the exposure effect of benzene, we measured airborne benzene as external doses, uninary tt-muconic acid as an internal dose of benzene exposure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t-muconic acid concentration and benzene exposure. The study population of eight businesses included 157 workers(87 workers in field; exposure group, 70 workers in board; control group) who produce or use benzene in petrochemical industry. The concentrations of airborne benzene were evaluated by personal samples and urine was sampled at the pre and end shift. Urinary t,t-muconic acid as internal dose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with airborne benzene. The geometric means(GM) of airborne benzene was 0.0231 ppm(range ND-1.0471 ppm) in exposure group and 0.0147 ppm(range ND-0.3162 ppm) in control group. The geometric means(GM) of urinary t,t-muconic acid at end-shift was $196.8{\pm}2.23{\mu}g/g$ creatinine in exposure group and $149.2{\pm}2.08{\mu}g/g$ creatinine in contro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irborne concentration of benzene and the urinary concentration of t,t-muconic acid( r=0.711, p<0.01). From the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bout t,t-muconic acid at end-shift, significant independents was airborne benzene. In this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urinary concentration of t,t-muconic acid and the airborne concentration of benzene. More extensive studies ruling out healthy worker effect is needed.

저용량 I-131 투여시 Apron 착용여부에 따른 차폐효과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n Shielding Effect Based on Apron Wearing During Low-dose I-131 Administration)

  • 김일수;김호신;류형기;강영직;박수영;김승찬;이귀원
    • 핵의학기술
    • /
    • 제20권1호
    • /
    • pp.32-36
    • /
    • 2016
  • 핵의학검사에서 $^{131}I$은 갑상선암 및 질환의 진단, 치료등 핵의학 검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131}I$${\gamma}$선과 ${\beta}^-$선을 방출하여 검사와 치료를 할 수 있고, 높은 집적율과 신장을 통한 빠른 배설이 용이 하지만, $^{131}I$(364 keV)은 $^{99m}Tc$(140 keV)보다 고에너지이기 때문에 작업을 수행 시 조작 및 투여 과정에서 $^{99m}Tc$보다 술자의 피폭을 줄이기 위해 외부피폭 방어의 3요소인 거리, 시간, 차폐 중에 차폐에 주안점을 두어 $^{131}I$ 조작 시 차 폐체 착용 전과 후의 피폭선량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Apron(보통 Pb 0.5 mm) 착용 시 $^{99m}Tc$은 90%이상이 차폐가 되지만, $^{131}I$은 고에너지이기 때문에 차폐효과가 비교적 낮고, 고용량의 경우 산란선(2차) 및 제동방사선의 영향으로 오히려 더 피폭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저용량(74 MBq) 고에너지의 경우 이에 대한 특별한 보고나 Guide Line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131}I$ 조작 시 Apron 착용 유무에 따른 술자의 피폭선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원 핵의학과에서 2014년 6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7개월 동안 갑상선암 치료 및 진단을 위한 저용량$^{131}I$을 투여하기 위해 방문한 갑상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준비과정부터 투여 시까지 연구기간 동안 갑상선, 가슴, 고환 3곳에 Apron 안쪽과 바깥쪽 각각 1개씩 총 6개의 TLD를 부착한 뒤 $^{131}I$검사 과정부터 투여 시 까지의 방사선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총 작업시간은 설명시간 3분, 분배시간 1분, 투여시간 1분으로 각각 1인당 5분이내로 설정하였다. TLD 위치설정은 일반적으로 피폭선량을 측정하는 가슴과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갑상선 및 고환으로 설정하였다. 준비과정은 $^{131}I$$2m{\ell}$ 주사기를 이용해 74MBq을 분배한 뒤 생리식염수와 희석해 $2m{\ell}$의 용량을 만들어 분배한다. $^{131}I$을 분배 후 환자에게 투여 시 컵에 물을 $100m{\ell}$ 담고 분배한 $^{131}I$을 희석하여 환자 1 m 정도 거리를 두고, 경구투여 한다. 그리고 경구투여 한 $2m{\ell}$ 주사기와 컵을 폐기하는 과정을 Apron과 TLD를 착용한 상태에서 시행하였다. Apron과 TLD는 방사선 피폭이 미치지 않는 보관실에 따로 보관하였고, 서울방사선 서비스에 의뢰하여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저용량 $^{131}I$ 검사 시 갑상선, 가슴, 고환 부위에 Apron 안과 밖d[착용한 TLD의 매월 누적선량을 인원수로 나눈 결과를 가지고, SPSS Version. 12.0K를 이용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사용하여 통계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갑상선(p = 0.345), 가슴(p = 0.686), 고환(p = 0.715)은 모두 p > 0.05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연구기간 동안의 총 누적선량의 변화를 백분율로 환산하였을 때, 갑상선 -23.5%, 가슴 -8.3%, 고환 19.0%로 나타났다.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사용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또한 7개월간의 누적선량으로 차폐율을 계산 했을 때 에는 Apron 안쪽과 바깥쪽의 피폭선량의 변화가 불규칙적으로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는 백분율로 표현 시 변화폭이 커보이지만, 누적 피폭선량이 소수점 이하이므로 큰 변화라고 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고에너지 저용량 $^{131}I$ 투여 시 Apron을 착용유무와 상관없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투여를 종료하는 것이 피폭선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131}I$ 투여시간을 1인당 각 5분 이내로 투여 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거리를 1 m로 일정하게 하여 작업 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통계 시 N수가 적어서 비모수적인 방법으로 통계를 시행함으로써 정확한 결과를 얻기에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또한 저용량 $^{131}I$ 투여 시 각 1인당 피폭선량을 직독식 선량으로 측정하지 못하고, TLD를 이용한 누적선량으로 측정한 결과 값이므로 전자선량계 및 포켓선량계를 이용한 측정이 이루어진다면 더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경구흡수율을 반영한 농약의 AOEL 설정 및 농작업자 위해성 평가 (Application of Oral Absorption in Establishment of AOEL for Pesticides and Occupational Risk Assessment for farm worker)

  • 유아선;홍순성;이제봉;이승돈;임양빈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42-349
    • /
    • 2014
  • 미국, EU, 한국의 농작업자위해성평가를 위한 AOEL 설정, 국가별 경구흡수율 적용, 노출량 산출방법을 조사하였다. 농약성분 141종에 대한 경구흡수율을 조사하였으며 경구흡수율을 적용한 농작업자노출허용량(AOEL)과 국내 설정 AOEL을 이용하여 농작업자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미국과 EU에서는 external dose를 internal dose로 변환하기 위하여 경구흡수율 또는 피부흡수율을 적용하였으나 한국에서는 AOEL 설정 시 경구흡수율을 적용하지 않은 external dose를 사용하였다. 141종의 농약성분 중 50종이 경구흡수율 80% 미만이었으며 경구흡수율을 적용하는 경우 약 36%의 농약성분이 이전 AOEL보다 낮아질 것으로 사료되었다. 50종의 농약성분 중 한국에 등록된 농약 28품목에 대해 EU AOEL을 이용하여 농작업자위해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chlorothalonil WG 등 12품목이 독성노출비가 1 이하로 계산되어 위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종 중 한국 AOEL이 설정되어 있으며 한국에 등록된 농약 24품목에 대해 한국 AOEL을 이용하여 농작업자위해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chlorothalonil WG 등 6품목은 독성노출비가 1 이하로 위해성이 높게 나타났다. 한국 AOEL이 없는 4품목에 대해 EU AOEL을 경구흡수율 100%로 환산한 수치를 이용하여 위해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daminozide WP 등 4품목 모두 독성노출비 1 초과로 위해성이 낮게 나타났다. 경구흡수율 적용 및 미적용 EU AOEL과 한국 AOEL을 사용한 농작업자위해성평가를 비교한 결과 oxadiagyl SC 등 6품목을 제외한 22품목에서 동일한 위해성평가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농작업자 위해성 평가를 실시할 때 경구흡수율을 적용한 AOEL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경구흡수율을 적용한 AOEL 설정 및 이용한 농작업자위해성평가를 수행하였을 때 보다 실제에 가까운 평가방법으로 판단되므로 등록농약의 평가에 적용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외부방사선피폭(外部放射線被曝)에 대한 선량평가(線量評價)의 동향(動向) (Advances in Dose Assessment for External Radiation Exposure)

  • 이재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52-161
    • /
    • 1986
  • 외부방사선피폭(外部放射線被曝)으로 인한 위험(危險)의 평가(評價)와 관련된 량(量) 및 개념(槪念)의 동향(動向)과 미해결(未解決)된 문제점(問題點)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ICRU 39의 실용량(實用量)에 근거(根據)한 선량환산인자(線量換算因子), 선질계수(線質係數)의 재정의(再定義), 성별(性別)에 따른 위험(危險)의 차이(差異) 그리고 기타조직(其他組織)의 선정문제등(選定問題等)에 대하여 구체적(具體的)으로 논(論)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