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ent of surgery

검색결과 599건 처리시간 0.053초

컴퓨터 단층 촬영을 기반으로 한 임플란트 가이드 시스템에 대한 임상가의 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n satisfaction level of clinicians on implant surgical guidance system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 홍민호;김명욱;이두형;이규복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3호
    • /
    • pp.178-185
    • /
    • 2015
  • 목적: 본 연구에서는 Simplant와 R2GATE 두 가지 수술용 가이드 시스템의 인터페이스(interface)에 대한 만족도, 제작된 수술용 가이드의 디자인과 편의성, 수술용 가이드 활용 시 중요도에 대한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비교평가 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두 가지 시스템으로 제작된 수술용 가이드(surgical guide)를 치아모형에 각각 장착한 상태에서 임플란트 수술 과정을 모의하였다. 모의 수술이 끝난 뒤 연구대상에게 만족도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를 회수하여 각 문항에 대한 데이터를 정리하고 통계 프로그램 SPSS 20.0 (IBM)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적인 만족도는 R2GATE 군($7.33{\pm}1.26$)이 SimPlant 군($6.67{\pm}1.26$)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alpha}$ = 0.05). 결론: R2GATE 시스템으로 제작된 수술용 가이드는 임상에 널리 사용 할 만 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R2GATE 시스템으로 제작된 수술용 가이드는 drill의 길이와 방향을 동시에 guide할 수 있어 임플란트 식립 경험이 부족한 초심자에게 적극 추천된다.

겨드랑이 부유방 조직에서 발생한 원발성 유방암: 증례 보고 (Primary Invasive Ductal Carcinoma Arising in Axillary Accessory Breast: A Case Report)

  • 박서영;이지연;박지영;김갑철;박종민;차중근;김혜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421-427
    • /
    • 2024
  • 이소성 유방조직은 겨드랑이에서 사타구니 선까지 유방 능선을 따라 발생할 수 있으며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부위는 겨드랑이이다. 이소성 유방조직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암종은 극히 드물다. 왼쪽 겨드랑이에 부유방조직을 절제한 병력이 있는 61세 여성이 왼쪽 겨드랑이에 만져지는 종괴로 내원하였고 종괴의 평가를 위해 액와미부 촬영을 포함한 유방촬영술, 초음파 및 유방 MRI를 시행하였으며 특히 액와미부 촬영으로 왼쪽 겨드랑이의 특징적인 악성미세석화화의 양상과 범위를 평가하였다. 초음파 유도하 생검술을 통해 이 병변은 침윤성 유방암으로 진단되었고 조영증강 복부 CT에서 다발성 간전이가 확인되어 환자는 이후 고식적 항암요법을 받았다. 저자들은 겨드랑이 부유방 조직에서 발생한 드문 원발성 유방암에 대해 액와미부 촬영을 시행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Cranberry Juice to Reduce Bladder Biofilms and Infection in Geriatric and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with Dysfunctional Bladders

  • Reid, Gregor;Potter, Patrick;Lam, Dominique;Warren, Diny;Borrie, Michael;Hayes, Keith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1호
    • /
    • pp.24-28
    • /
    • 2003
  • There is evidence to suggest that cranberry juice supplements improve the health of the urinary tract by inhibiting the binding of fimbriated uropathogenic E. coli to the bladder mucosa. In patients with neurogenic bladders, urinary tract infections (UTI) are particularly common and often poorly managed by antibiotic treatment.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was undertaken on 29 geriatric and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with dysfunctional bladders. They received three times daily at mealtimes a 4 oz bottle of cranberry juice (Ocean Spray Cranberries, USA) or a specially prepared synthetic placebo drink. Two episodes of UTI arose in week one of cranberry intake and none thereafter, compared to four episodes of UTI in 4 placebo patients in weeks four, six and 10. Mean bacterial adhesion counts on bladder cells of the patients rose during the first month of treatment in 71 % of the placebo patients compared to only 31 % of cranberry patients (p < 0.001). The difference persisted to some extent for the second and third months. Bacterial adhesion levels correlated with culture findings (higher adhesion and higher viable counts in urine) (p < 0.001), positive leukocyte nitrite tests (136$\pm$131 bacteria per cell versus 52$\pm$86 in negative tests) (p < 0.001), and higher white blood cell counts (> 10) per high power field (126$\pm$125 versus 48$\pm$85 bacteria per cell) (p<0.001). E. coli was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organism (40% samples) followed by K. pneumoniae (17%) and a number of other uropathogens. Group B Streptococci, and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were recovered from urine in 4 samples but were not associated with any red blood cell presence. The daily intake of cranberry juice, in amounts which are not detrimental to long term compliance, appeared to have a role in reducing the risk of bladder colonization and infection in a highly susceptible patient population.

Twelve-Month Volume Reduction Ratio Predicts Regrowth and Time to Regrowth in Thyroid Nodules Submitted to Laser Ablation: A 5-Year Follow-Up Retrospective Study

  • Roberto Negro;Gabriele Greco;Maurilio Deandrea;Matteo Rucco;Pierpaolo Trimboli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1권6호
    • /
    • pp.764-772
    • /
    • 2020
  • Objective: Laser ablation is a therapeutic modality used to reduce the volume of large benign thyroid nodules. Unsatisfactory reduction and regrowth are observed in some treated nodule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long-term outcomes of laser treatment for solid nodules during a 5-year follow-up period, the regrowth rate, and the predictive risk factors of nodule regrowth.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patients with benign, solid, cold thyroid nodules who underwent laser ablation and were followed-up for 5 years.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104 patients were included (median baseline nodule volume, 12.5 mL [25.0-75.0%, 8-18 mL]; median energy delivered, 481.5 J/mL [25.0-75.0%, 370-620 J/mL]). Nodule volume, thyroid function test results, and ultrasound were evaluated at baseline and then annually after the procedure. Results: Of 104 patients, 31 patients (29.8%) had a 12-month volume reduction ratio (VRR) < 50.0% and 39 (37.5%) experienced nodule regrowth. Of these 39 patients, 17 (43.6%) underwent surgery and 14 (35.9%) underwent a second laser treatment. The rate of nodule regrowth was inversely related to the 12-month VRR, i.e., the lower the 12-month VRR, the higher the risk of regrowth (p < 0.001). The mean time for nodule regrowth was 33.5 ± 16.6 months. The 12-month VRR was directly related to time to regrowth, i.e., the lower the 12-month VRR, the shorter the time to regrowth (p < 0.001; R2 = 0.3516). Non-spongiform composition increased the risk of regrowth with an odds ratio of 4.3 (95% confidence interval [CI] 1.8-10.2; p < 0.001); 12-month VRR < 50.0% increased the risk of regrowth with an odds ratio of 11.7 (95% CI 4.2-32.2; p < 0.001). Conclusion: The VRR of thyroid nodules subjected to similar amounts of laser energy varies widely and depends on the nodule composition; non-spongiform nodules are reduced to a lesser extent and regrow more frequently than spongiform nodules. A 12-month VRR < 50.0% is a predictive risk factor for regrowth and correlates with the time to regrowth.

두개인두종의 수술후 방사선치료 성적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of Craniopharyngioma)

  • 신경환;윤형근;김일한;박찬일;조병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59-67
    • /
    • 1993
  • 1979년 12월부터 1989년 9월까지 서울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두개인두종으로 수술 및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23명의 환자에 대해 적정 치료원칙을 제시하기 위하여 후향적 분석조사를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근치적 수술을 시도하였으나 수술후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상 종양이 남아있는 전절제군 8예 및 부분절제군 15예가 이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술소견상 낭형 13예 ($57{\%}$), 고형 4예 ($17{\%}$), 혼합형이 6예 ($26{\%}$)로 나타났고 20세이하군에서는 낭형이 더 많은 수에서 나타났다. 5년 및 10년 생존율은 각각 $95{\%},\;81{\%}$를 보였고, 5년 및 10년 종양 조절율은 각각 $74{\%},\;51{\%}$였다. 수술정도에 따른 결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소아 및 청소년군에서 성인군보다 좀더 나은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두개인두종에 있어서 완전절제술이 시행되기 어려운 경우 부분절제술후 방사선치료가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_2$ Laser와 Scalpel을 이용한 절개 시 돼지 자궁에서의 창상 치유 평가 (Comparative Study of Wound Healing in Porcine Uterus with $CO_2$ Laser and Scalpel Incisions)

  • 이재연;박창식;조성환;정성목;김명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63-567
    • /
    • 2009
  • Steel scalpel과 $CO_2$ laser를 이용한 돼지 자궁 절개 시 창상 치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다섯 마리의 Landrace - Yorkshire 혼혈 종 돼지를 이용하였고, 각각의 돼지에서 좌측 및 우측의 자궁에 대칭적으로 scalpel과 $CO_2$ laser를 이용하여 절개 하였다. 각각의 기구는 절개 속도, 절개의 용이성 및 출혈 정도를 평가 하였으며 수술 후 21일에 육안적인 유착 정도와 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Scalpel을 이용한 절개는 레이저를 이용한 절개보다 용이하였으나 두 군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레이저를 이용한 절개 시 출혈량은 적었으나 절개속도는 scalpel을 이용한 경우가 빨랐다. $CO_2$ laser 절개에서의 수술 후 자궁 유착은 scalpel 절개에서 보다 적게 발생하였다. 조직학적 검사에서 scalpel 절개의 경우 상피 조직과 자궁내막선의 재생이 완전히 이루어 졌으나 레이저를 이용한 경우 불완전한 재생 상태를 보였다. 비록 scalpel을 이용한 절개가 $CO_2$ laser를 이용한 경우 보다 조직 손상이 적었으며 사용하기 용이하였으나 출혈이 많은 단점이 있다. 반면 $CO_2$ laser를 이용한 절개의 경우 지혈 효과는 좋으나 창상 치유를 지연 시켰다.

개인 맞춤형 통합 치료가 가능한 비만 관리 시스템 개발 (An Implementation of Obesity Management System with Individually Adapted Complex Care)

  • 노시철;김주영;김진수;강상식;최흥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83-91
    • /
    • 2012
  •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에 이르는 것으로, 최근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질병 중 하나이다. 이러한 비만은 각종 성인병과 함께 고혈압, 당뇨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며, 심리적, 정신적으로 위축시켜 우울증 등의 정신 질환까지 갖게 하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다. 현재 일반적인 비만 관리 방법은 다양한 관점에서 각기 다른 효능으로 비만 환자들의 욕구를 채워주고 있지만, 수술 치료의 실패, 치료 중 약물 중독, 우울증, 많은 시간 및 경제적 투자 등으로 근본적인 비만의 치료 효율이 낮다. 이에 체계적이며 개인의 비만 상태에 따른 유형별 치료 접근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수술적인 비만 치료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인의 비만 유형별 비만 치료를 선택할 수 있는 복합 비만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적외선 치료, 산소 치료, 색 치료, 극초단파 치료 모듈을 이용하여 복합적이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환자의 신체적 조건과 비만의 정도에 따른 맞춤 치료를 위해 치료 및 관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으며, 부분별로 원하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치료가 가능한 자동 슬라이딩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통합 치료가 가능한 비만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시함으로 고기능성 비만 치료기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ison Between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and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With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for Resectability Assessment in Ex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 Jeongin Yoo;Jeong Min Lee;Hyo-Jin Kang;Jae Seok Bae;Sun Kyung Jeon;Jeong Hee Yoo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0호
    • /
    • pp.983-995
    • /
    • 2023
  • Objective: To compare the diagnostic performance and interobserver agreement between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CECT) and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CE-MRI) with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MRCP) for evaluating the resectability in patients with ex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eCCA).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treatment-naïve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eCCA, who underwent both CECT and CE-MRI with MRCP using extracellular contrast media between January 2015 and December 2020. Among the 214 patients (146 males;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68 ± 9 years) included, 121 (56.5%) had perihilar cholangiocarcinoma. R0 resection was achieved in 108 of the 153 (70.6%)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intent surgery. Four fellowship-trained radiologists independently reviewed the findings of both CECT and CE-MRI with MRCP to assess the local tumor extent and distant metastasis for determining resectability. The pooled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C),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ECT and CE-MRI with MRCP were compared using clinical, surgical, and pathological findings as reference standards. The interobserver agreement of resectability was evaluated using Fleiss kappa (κ).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CECT and CE-MRI with MRCP in the pooled AUC (0.753 vs. 0.767), sensitivity (84.7% [366/432] vs. 90.3% [390/432]), and specificity (52.6% [223/424] vs. 51.4% [218/424]) (P > 0.05 for all). The AUC for determining resectability was higher when CECT and CE-MRI with MRCP were reviewed together than when CECT was reviewed alone in patients with discrepancies between the imaging modalities or with indeterminate resectability (0.798 [0.754-0.841] vs. 0.753 [0.697-0.808], P = 0.014). The interobserver agreement for overall resectability was fair for both CECT (κ = 0.323) and CE-MRI with MRCP (κ = 0.320), without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884). Conclusion: CECT and CE-MRI with MRC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agnostic performance and interobserver agreement in determining the resectability in patients with eCCA.

양성 성상세포종의 방사선치료 (Radiotherapy for the Low-grade Astrocytomas)

  • 김대용;김일한;지제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1-7
    • /
    • 1995
  • 목적 :양성 성상세포종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 방사선치료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규명한다. 방법 : 1979년 부터 1990년 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개두술(36예) 또는 조직생검(10예) 등을 통하여 양성 성상세포종임을 확인한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46명의 치료성적을 분석하였다. 20명은 세계보건기구에서 설정한 조직 분화도 I등급이었고 26명은 II등급이었다. 방사선치료는 통상적 분할 치료법에 따랐으며 총방사선량은 45 내지 60Gy(중앙값 54Gy)이었다. 추적관찰기간의 중앙간은 60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환자 46명의 2년 및 5년 생존율은 $80\%$$72\%$이었고, 2년 및 5년 무진행 생존율은 $75\%$$63\%$이었다. 조직학적 분화도가 유의성이 가장 큰 예후 인자임이 확인되었으며 조직학적 유형과 운동수행능력 또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방사선 치료에 따른 중증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생존율은 양호하였으나 치료 실패의 주요소는 국소적 종양치유 실패였다. 확인된 3종의 양호 한 예후인자와 아울러 연령 및 수술적 절제범위 등도 향후 치료방침 결정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비소세포성 폐암의 수술후 방사선 치료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Non-Small-Cell Lung Cancer)

  • 박찬일;김종훈;김주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6권2호
    • /
    • pp.195-201
    • /
    • 1988
  • 최근 폐암의 발생빈도는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치료 성적은 제시되시 많고 있으며, 현재로서는 가능한 한 초기에 발견하여 수술을 시행후 국소재발 위험군의 경우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으로 알려져있다. 이에 저자들은 1979년 3월부터 1986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비소세포성 폐암 진단하에 근치적 절제수술 시행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후 방사선 치료의 효과 및 예후인자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체 환자 60명중 방사선 치료를 불완전하게 시행한 5명을 제외한 55명을 분석한 결과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39\%$였으며 무병생존율은 $29\%$였다.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주요인자로서는 병기 및 국소 임파절 전이 여부였고, 1병기와 병리조직학적 분류 및 나이, 성별, 방사선 조사선량과 수술시 절제면의 종양 침범 여부는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수술 시행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군의 생존율은, 문헌상에 나타난 수술 단독 시행 환자군의 생존율과 비교해 볼 때 국소 임파절 전이가 있는 환자군에서 더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임파절 전이가 없는 환자군에서는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국소 재발율도 임파절 전이가 있는 환자군에서는 수술 단독 시행 환자군보다 현저히 낮은 결과를 보여 수술후 방사선 치료가 임파절 전이가 있는 환자에게는 생존율의 증가 및 국소재발 억제의 효과를 나타냄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