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ent of removal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3초

Metabolic Responses of Activated Sludge to Pentachlorophenol in SBR Systems

  • 김성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73-284
    • /
    • 1994
  • 이 연구의 목적은 SBR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pentachlorophenol (PCP)를 함유한 폐수를 처리할 때 활성슬럿지의 대사작용에 미치는 PCP의 독성효과를 시험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SBR 처리장치는 두가지 운전주기 1, 2 (8시간과 12시간)와 각각의 운전주기에 대한 두가지 운전조건 (I.II)으로 운전되었다. 운전조권 I은 유입폐수를 일시에 (5분 안에) 반응조에 부가하고 2시간 동안 폭기없이 교반만 하는 것이고, 운전조건 II는 운전조건 I과 똑같은 조건에서 유입폐수를 2시간 동안 서서히 반응조에 부가하는 것이다. 각 반응조의 슬럿지 일령은 15일이었다. 합설폐수가 유입폐수로서 사용되었고, 그것의 COD는 대략 380mg/l의 유입폐수 PCP 농도와 운전구기 2의 처리장치에서, MLVSS 농도는 감소하였고 미생물의 선택성 증가하므로 생태반응의 영역이 줄어 들었다. 또한 SOUR이 증가하므로 활성으럿지가 PCP에 의하여 저해를 받았음을 보여주었고, 활성슬럿지의 침전이 좋지않았다. 운전주기 2의 처리장치에서는 질산화가 거의 이러나지 않았다. 그래서 질산화가 일어나는 시기는 PCP의 저해작용으로 인하여 COD의 제거가 늦어지는 만큼 지체될 것이다. 생물학적인 인 제거는 운전주기 1 운전조건 1 그리고 저농도의 PCP에서 운전되는 처리장치에서 일어났으나 그 과정은 불안정하였고 쉽게 정지되었다. 그러나 준전주기 2, 운전조건 I과 II에서 운전되는 처리장치에서 생물학적인 인 제거는 유입폐수 PCP 농도가 1.0mg/l로 증가할 때까지 안정하게 일어났다. 유입폐수 PCP 농도가 5.0mg/l로 증가했을 때 생물학적 인 제거능력은 정지되었고 쉽게 회복되지 않았다.

  • PDF

SBR 처리 장치에서 활성 슬럿지의 대사에 미치는 Pentachlorophenol의 독성 효과 (Metabolic Responses of Activated Sludge to Pentachlorophenol in a SBR System)

  • 김성재;엘. 디. 베네필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23-338
    • /
    • 1993
  • 이 연구의 목적은 Sequencing Batch Reactor(SBR)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pentachlorophenol (PCP)를 함유한 폐수를 처리할 때 활성 슬럿지의 대사 작용에 미치는 PCP의 독성 효과를 시험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SBR 처리 장치는 두 가지 운전 주기 1, 2 (8시간과 12시간)와 각각의 운전 주기에 대한 두 가지 운전 조건 (I, II)으로 운전되었다. 운전 조건 I은 유입 폐수를 일시에 (5분 안에) 반응조에 부가하고 2시간 동안 폭기없이 교반만 하는 것이고, 운전 조건 II는 운전 조건 I과 똑같은 조건에서 유입 폐수를 2시간 동안 서서히 반응조에 부가하는 것이다. 각 반응조의 슬럿지 일령은 15일이었다. 합성 폐수가 유입 폐수고서 사용되었고, 그것의 COD는 대략 380mg/L이었다. 각 반응조에 대하여 기본 운전이 끝난 후 0.1, 1.0, 5.0mg/L의 PCP가 틀어 있는 유입 폐수를 사용하여 8시간과 12시간 운전 주기의 정상 상태 운전이 실시되었다. 사용된 유입 폐수의 PCP 농도에서 COD 제거는 저해를 받지 않았다 5.0mg/L의 유입 폐수 PCP 농도와 운전 주기 2의 처리 장치에서, MLVSS 농도는 감소하였고 미생물의 선택성이 증가하므로 생태 반응의 영역이 줄어들었다. 또한 SOUR이 증가하므로 활성 슬럿지가 PCP에 의하여 저해를 받았음을 보여주었고, 활성 슬럿지의 침전이 좋지 않았다. 운전 주기 2의 처리 장치에서 질산화는 사용된 유입 폐수의 PCP 농도에서 어느 정도까지 일어났으나 운전 주기 1의 처리 장치에서는 질산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그래서 질산화가 일어나는 시기는 PCP의 저해 작용으로 인하여 COD의 제거가 늦어지는 만큼 지체될 것이다. 생물학적인 인 제거는 운전 주기 I, 운전 조건 I 그리고 저농도의 PCP에서 운전되는 처리 장치에서 일어났으나 그 과정은 불안정하였고 쉽게 정지되었다. 그러나 운전 주기 2, 운전 조건 I과 II에서 운전되는 처리 장치에서 생물학적인 인제거는 유입 폐수의 PCP 농도가 1.0mg/L로 증가할 때까지 안정하게 일어났다. 유입 폐수의 PCP 농도가 5.0mg/L로 증가했을 때 생물학적인 인 제거 능력은 정지되었고 쉽게 회복되지 않았다.

  • PDF

Surgical Outcomes of Thalamic Tumors in Children: The Importance of Diffusion Tensor Imaging, Neuro-Navigation and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 Kim, Jun-Hoe;Phi, Ji Hoon;Lee, Ji Yeoun;Kim, Kyung Hyun;Park, Sung-Hye;Choi, Young Hun;Cho, Byung-Kyu;Kim, Seung-Ki
    • Brain Tumor Research and Treatment
    • /
    • 제6권2호
    • /
    • pp.60-67
    • /
    • 2018
  • Background Recently, modern technology such as diffusion tensor imaging (DTI), neuro-navigation and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IOM) have been actively adopted for the treatment of thalamic tumors. We evaluated surgical outcomes and efficacy of the aforementioned technologies for the treatment of pediatric thalamic tumor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clinical data from 37 children with thalamic tumors between 2004 and 2017. There were 44 operations (27 tumor resections, 17 biopsies). DTI was employed in 17 cases, neuro-navigation in 23 cases and IOM in 14 cases. All diagnoses were revised according to the 2016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Tumo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and overall survival (OS) rates were calculated, and relevant prognostic factors were analyzed.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19 months. Results Fifteen cases were gross total resections (GTR), 6 subtotal resections (STR), and 6 partial resections (PR). Neurological status did not worsen after 22 tumor resection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extent of resection between the groups with DTI, neuro-navigation and IOM (n=12, GTR or STR=12) and the group without at least one of the three techniques (n= 15, GTR or STR=9, p=0.020). The mean PFS was $87.2{\pm}38.0$ months, and the mean OS $90.7{\pm}36.1$ months. The 5-year PFS was 37%, and the 5-year OS 47%. The histological grade ($p{\leq}0.001$) and adjuvant therapy (done vs. not done, p=0.016)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onger PFS. The histological grade (p=0.002) and the extent of removal (GTR/STR vs. PR/biopsy, p=0.047)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onger OS. Conclusion Maximal surgical resection was achieved with acceptable morbidity in children with thalamic tumors by employing DTI, neuro-navigation and IOM. Maximal tumor resection was a relevant clinical factor affecting OS;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the initial therapeutic option for pediatric thalamic tumors.

후두개와 유표피낭종 : 10례 분석 (Epidermoid Tumor of Posterior Fossa : Analysis of 10 Cases)

  • 임효주;안재성;권양;이정교;권병덕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6호
    • /
    • pp.744-747
    • /
    • 200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features of the epidermoid tumor of posterior fossa and to assess the surgical outcome. Methods : We reviewed the clinicoradiological records of 10 epidermoid tumor of posterior fossa, treated surgically at our hospital between 1991 and 1996. Results : The mean age of onset was 36 years old and mean duration of symptom was 5.2 years. Six were men and four were women. The location of tumors were cerebellopontine angle(CPA) 5 cases, cerebellum(Cbll)& 4th ventricle 3 cases, foramen magnum 1 case, and pineal region extended to Cbll and 4th ventricle 1 case. Common clinical features were trigeminal neuralgia in 3 cases, cerebellar signs 2 case, headache 2 cases, hemifacial spasm with deafness 1 case, cbll signs and multiple cranial nerve dysfunctions 1 case. One CPA epidermoid had no clinical symptom and sign associated with the tumor. The surgical approaches were suboccipital approach in 9 cases and one transcallosal approach to the tumor of pineal region. The extent of surgical removal was gross total resection in 5 cases and near total or subtotal resection in 5. Two patients with CPA tumor were complicated with facial paresis. One patient with tumor located in cerebellum extended into cisterna magna had postoperative vocal cord paresis. All complicated cases had severe adhesion of tumor capsule with brainstem or cranial nerve. The mean duration of follow up was 26 months. The overall outcome was improvement of symptoms and signs in 6 cases and stationary 4 cases. During follow up, imaging study was done in 7 patients and none of them had finding of tumor recurrence.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recurrence of tumor is rare in both total and subtotal resected cases, but long-term follow-up is required. Aggressive removal of tumor capsule that adhesed to brianstem or cranial nerve is avoided for preventing severe postoperative complication.

  • PDF

정중 과잉치 발거 이후 정중 이개의 폐쇄 (MANAGEMENT OF DIASTEMA AFTER REMOVAL OF MESIODENS)

  • 조은주;최영철;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48-353
    • /
    • 2003
  • 정중 과잉치를 이른 시기에 발견하고 이를 신중하게 관리하는 것은 인접 영구 전치가 맹출하고 정상적인 위치로 자리 잡는데 미칠 수 있는 유해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초기 혼합치열기에 있어 정중 이개가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지만 정중 과잉치의 존재를 이른 시기에 파악하고 이를 적절한 시기에 제거하는 것은 이어지는 영구 중절치의 자발적인 배열과 근접화를 가능하게 한다. 정중 이개의 관리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선택은 주기적인 관찰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관찰 기간 동안에 정중 이개가 자발적으로 폐쇄되지 않을 때에는 교정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보고에서는 정중 과잉치로 인한 정중 이개의 폐쇄에서 정중 과잉치의 제거 이후 자발적 즉 생리적으로 폐쇄되는 증례(증례 1-3)와 함께 교정적 처치로 정중 폐쇄를 시행한 증례(증례 4)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Ipriflavone 투여가 백서의 실험적 치아이동 후 치주조직의 재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priflavone on the periodontal reorganization following experimental tooth movement in the rat)

  • 민지현;조진형;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47-357
    • /
    • 2008
  • 본 연구는 치아이동 후 ipriflavone 투여가 치주조직의 재형성, 나아가 치아회귀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웅성 백서 72마리를 대상으로 상악 좌우측 제1, 2구치 사이에 교정용 고무밴드를 끼워 제1, 2구치를 3주간 이동시킨 다음, 교정용 고무밴드 제거 1일 전부터 매일 체중 kg당 50 mg 또는 400 mg의 ipriflavone을 투여한 실험군과 ipriflavone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구분하였다. 교정용 고무밴드를 제거함으로써 회귀가 나타나기 시작한 날로부터 5일 간격으로 15일까지 각각 실험동물을 희생시켜가며 치아회귀 거리를 계측하는 한편 치주조직 재형성 소견을 관찰하였다. Ipriflavone을 투여하고 치아회귀를 관찰한 결과 용량에 관계없이 대조군에 비하여 적은 양의 회귀를 나타내었으며 시간 간격에 따른 치아회귀를 관찰한 결과 대부분의 회귀가 5일째 나타난 대조군과 달리, 늦게 그리고 점진적으로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Iprinavone을 투여하고 조직소견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치조골연이 매끄러운 양상을 보였으며 시간 간격에 따른 조직소견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치주인대 재배열이 빠르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ipriflavone의 투여가 치주조직의 재형성을 통하여 회귀를 억제함으로 교정적 치아이동 후 보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Role of Adjuvant Treatment in Patients with High-Grade Meningioma

  • Cho, Minjae;Joo, Jin-Deok;Kim, In Ah;Han, Jung Ho;Oh, Chang Wan;Kim, Chae-Yo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0권5호
    • /
    • pp.527-533
    • /
    • 2017
  •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adjuvant treatment in patients with high-grade meningioma.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for patients with high-grade meningioma, World Health Organization grade 2 or 3, in a single center between 2003 and 2014. The patients were reviewed according to age at diagnosis, sex, the location of meningioma, degree of tumor resection, histological features, and type of adjuvant treatment. These factors were analyzed by Firth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 Fifty-three patients with high-grade meningioma were enrolled. Thirty-four patients received adjuvant treatment; conventional radiotherapy or radiosurgery. Clinical follow-up ranged from 13-113 months with a median follow-up of 35.5 months. Gross total removal (GTR), Simpson grade 1 or 2, was achieved in 29 patients and, among them, 13 patients received adjuvant treatment. In the other 24 patients with non-GTR, conventional adjuvant radiotherapy and radiosurgery were performed in 11 and 10 patients, respectively. The other 3 patients did not receive any adjuvant treatment. Radiation-related complications did not occur. Of the 53 patients, 19 patients had suffered from recurrence. The recurrence rate in the adjuvant treatment group was 23.5% (8 out of 34). On the other hand, the rate for the non-adjuvant treatment group was 57.9% (11 out of 19) (odds ratio [OR]=0.208, p=0.017). In the GTR group, the recurrence rate was 7.5% (1 out of 13) for patients with adjuvant treatment and 50% (8 out of 16) for patients without adjuvant treatment (OR=0.121, p=0.04). Conclusion : Adjuvant treatment appears to be safe and effective, and could lead to a lower recurrence rate in high-grade meningioma, regardless of the extent of removal. Our results might be used as a reference for making decisions when planning adjuvant treatments for patients with high-grade meningioma after surgery.

옥내급수관 세척용 화학세정제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Chemical Cleaning Agents for Cleaning Indoor Water Supply Pipes)

  • 이재훈;정재용;박용배;배재흠;우달식;신현덕
    • 청정기술
    • /
    • 제16권3호
    • /
    • pp.162-17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유기산, 무기산, 여러 첨가제들을 이용하여 옥내급수관의 스케일 제거에 적합한 환경친화적인 세정제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여러 유기산 중에서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등의 경우 산화철 제거에 비교적 좋은 효율을 보였다. 이들 유기산들을 주축으로 하여 보조제를 첨가하여 옥내급수관 스케일의 주성분인 산화철 제거 평가실험을 하였다. 여러 첨가제 중에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산화철 제거력 향상에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산화철에 대해 높은 용해력을 보인 두 종류의 배합세정제 $F_1$$F_2$를 제조하였는데 배합세정제 $F_1$의 경우 유기산과 첨가제로만 이루어져 있어 기존의 화학세척제에 비하여 안전하고 환경친화적이지만 비교적 산화철 용해력이 조금 떨어졌고, $F_2$의 경우는 $F_1$에 무기산을 소량 첨가함으로 산화철 용해력을 보완해 줌으로써 보다 높은 산화철 세정력을 필요로 할 때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옥내급수관 세정 시 스케일의 정도에 따라 배합후보 세정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토양과 제올라이트중의 방향족 화합물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of Aromatic Compounds from Soil and Zeolite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배원;신보현;강호석;김화용
    • 청정기술
    • /
    • 제9권4호
    • /
    • pp.197-20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방향족 화합물인 벤젠과 톨루엔을 모래와 제울라이트에 오염시킨 후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온도는$50^{\circ}C$, 압력은 27.7 MPa에서 추출을 수행하였으며 오염 정도를 달리하여 결과를 분석 비교하였다. 실험 장치로는 지름 1.27cm, 길이 25 cm의 고압 추출기를 장착하여 흐름법으로 실험하였으며 10분 간격으로 추출된 시료를 취하여 추출된 방향족 화합물의 농도를 CG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고농도로 오염시켰을 때에는 용해도 모델을, 저농도로 오염시켰을 때에는 탈착 모델을 따라감을 알 수 있었고 동일조건하에서는 벤젠이 톨루엔보다 추출 효율이 높았다. 제올라이트를 모체로 한 경우가 모래를 사용한 경우보다 추출시간이 오래 소요되었고 이는 흡착력차이에 의한 결과로 해석된다. 간단한 Brady의 고정산 추출기 모렐링을 이용하면 용해도 모델을 따르는 경우에는 비교적 실험 결과를 잘 모사할 수 있었으나 탈착 모델의 지배를 받는 영역에서는 많은 오차를 수반하는 결과를 얻었다.

  • PDF

재활용 범퍼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한 신재의 최적 배합비율에 관한 연구 (Study on a recipe of recycled bumper and pristine materials for application of vehicle parts)

  • 손영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75-180
    • /
    • 2016
  • 폐 자동차에서 떼어낸 범퍼는 분쇄 및 도장 (paint)제거 공정을 거친 후 신재 (pristine materials)와 일정 비율 혼합하여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재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와 도장이 제거된 범퍼 분쇄품을 일정 비율 혼합하여 혼합비에 따른 기계적인 물성 및 화학적인 성질을 연구하였다. 신재에 범퍼 분쇄 품을 혼합하였을 때 인장강도 및 굴곡탄성율과 같은 강성은 두 물질의 조성 평균으로 나타났지만, 충격강도와 파단 신율과 같은 인성 (toughness)은 조성 평균보다 낮은 negative deviation을 보였다. 이는 두 물질간의 혼화성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결과라는 것을 FT-IR 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범퍼 분쇄품의 혼합 비율이 30% 이상에서 두 물성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이를 활용하면 최적의 배합 비율을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전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도장 제거율을 80 % 수준까지는 달성하기는 쉽지만 나머지 20%를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과 에너지가 소요되는 바, 도장이 제거되지 않은 분쇄품과 도장이 제거된 분쇄품의 혼합 비율에 따른 기계적인 물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도장이 제거되지 않은 범퍼 분쇄품이 소량만 첨가되어도 기계적인 물성은 급격히 저하가 되어 폐 범퍼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도장 제거 공정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