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orts of Korea

검색결과 656건 처리시간 0.029초

The Impact of Export Insurance on Exports to ASEAN and India: The Experience of Korea

  • Lee, Koung-Rae;Lee, Seo-Young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4권6호
    • /
    • pp.157-172
    • /
    • 2020
  • Purpose - This research empirically proves the extent to which export insurance promotes Korean exports to research object countries among New Southern countries.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will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s of export insurance for exports to these countries. Design/methodology -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export equation was composed using a basic gravity model. Based on this, the determinants of Korea's exports to research object countri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a panel unit root test and panel cointegration test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panel unit root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variables of the panel data are not belonging to I(0), but to I(1). As a result of the panel cointegration test, it was established that there are long-term stable relationships among all variables. Accordingly, the gravity model was estimated using original data in order to reduce the information loss caused by the first difference, in spite of individual data belonging to I(1). Findings - For the estimated results of panel OLS, the estimated coefficient of short-term export insurance was 0.56-0.64,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1%. In addition, for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andom effect model, the estimated coefficient of short-term export insurance was 0.59-0.64%,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at the 1% significance level. This could indicate that Korean export insurance has positive influences on export promotion to New Southern countries. Originality/value - The research implies that export insurance has a 4.1 to 4.7 multiplier effect in expanding exports to the New Southern countries for Korea. This research has intensively analyzed the effects of export insurance on the promotion of exports to a selected area by a government foreign economic policy, which is the originality and value of this paper.

대륙별 수출액의 상승률과 변동성 및 향후 성장 가능성 분석 (Growth Rate and Volatility of Exports by Continent & Future Growth potential Analysis)

  • 최수호;최정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92-199
    • /
    • 2017
  • 본 논문의 목적은 지난 2010년 이후 우리의 수출 대상인 아시아, 북미, 유럽,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수출액의 상승률 동향과 변동성 그리고 상관관계와 모형분석 등을 살펴보고 향후 성장 방향을 찾아보는데 있다. 분석 결과 아시아, 북미, 유럽,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순으로 높은 수출 비중을 보여주었으며 수출액 상승률은 아시아, 북미, 유럽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전윌대비 변동률은 아시아와 북미가 안정된 움직임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의 수출액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아시아, 북미, 유럽으로의 수출 향상에 많은 관심을 보여야 할 것이다. 특히 50%가 넘는 아시아 즉, 중국, 일본, 베트남, 홍콩, 대만, 인도 등으로 수출 향상과 수출전략 방안이 필요해 보인다. 아직은 수출 비중이 크지 않지만 향후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등의 신시장 개척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수출향상방안이 체계적으로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한국의 수출에 함유된 국내외 탄소배출 비중과 탄소사슬(carbon chain): 주요 교역상대국들을 중심으로 한 다지역 산업연관분석 (The Carbon Content and Chain Embodied in Exports of Korea with Major Trading Partners : The Multi-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 신동천;이혁;김용균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4권1호
    • /
    • pp.141-164
    • /
    • 2015
  • 최근 국가온실가스배출량 측정과 관련하여 소비기반 배출량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소비기반 배출량은 정의상 국제무역에 함유된 온실가스 배출량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연소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에 한하여 한국의 주요 교역상대국들에 대한 최종재 수출에 함유된 상품별 국내외 탄소배출 비중을 계산할 뿐만 아니라 한국의 자국 최종수요에 기인한 탄소배출과 외국 최종수요에 기인한 탄소배출을 분해하여 이를 주요 교역상대국들과 비교한다. 또한 한국의 주요 교역상대국들에 대한 수출에 얽혀 있는 탄소사슬을 분석하고 탄소사슬별 탄소집약도를 계산하여 주요 특징들을 살펴본다.

중소수출기업의 특성에 따른 수출 활성화 저해요인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Export Disruption Factors by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 Export Companies)

  • 노윤진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9권1호
    • /
    • pp.39-55
    • /
    • 2018
  • Exports play an important role in Korea's economy and industry. Korea's share in world trade is also increasing. Governments and trade organization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promote exports. However, since SMEs lack resources of enterprises, SMEs have a lot of difficulties in increasing exports compared to large enterprises. For this reas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export difficult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 export companies. As a result, four factors such as overseas market information, price and cost, competitiveness and regulation of importing country were derived.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export difficulties by the stage of growth of company, period of export, products exported, export department, size of compan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Especially, The companies which are the early stages of growth, short export period, finished product, the smaller the size of exports companies are more difficult in export difficulties.

  • PDF

우리나라 대중국 수출에서의 수출 집약도 및 다양도의 역할 (The Role of Extensive and Intensive Margins in Korean Exports to China)

  • 이시욱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1권2호
    • /
    • pp.195-23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Hummels and Klenow (2005)의 분석방식을 이용하여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에 있어서의 수출의 다양도 및 집약도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고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출 다양도란 우리나라를 제외한 대중국 전체 수출국의 수출품목 대비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품목의 비중을 의미한다. 한편, 수출 집약도는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품목 기준으로 우리나라를 제외한 대중국 전체 수출국 대비 우리나라 수출의 비중으로 정의한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최근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 확대의 주요인은 수출 집약도의 증가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중장기적인 수출 호조세의 지속을 위해서는 수출 다양도보다는 수출 집약도가 더 중요한 요인이라는 $Besede{\check{s}}$ and Prusa(2007), Helpman, Melitz, and Rubinstein(2007) 등의 분석과 일치된 결과이다. 수출 다양도의 경우, 무역자유화 초기에 해당되는 1990년대 초반에는 빠르게 증가하나 이후에는 부품 및 자본재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오히려 다소 하락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한편, 부품과 자본재가 전반적으로 1차 산품, 소비재 등 여타 상품군들에 비해 수출의 지속성(survival)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1차 산품, 소비재 등의 경우 수출 개시 후 4년 이내에 전체의 약 75% 수준의 품목이 수출을 중단하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 부품과 자본재는 기술 수준의 구분 없이 1992~2007년 기간 중 지속적으로 수출이 이루어진 품목의 비중이 15% 수준에 이른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국제분업구조의 진전이 수출의 지속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The Impact of Trade Facilitation of RCEP Countries on China's Agricultural Exports: Empirical Analysis Based on 13 Countries

  • Qi-Feng Zhang;Xi Chen;Jin-Long Zhang;Li Cai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7권3호
    • /
    • pp.1-20
    • /
    • 2023
  • Purpose - Using trade data from 2008 to 2019,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rade facilitation on China's agricultural exports under the RCEP framework using a gravity model based on the level of trade facilitation in 13 RCEP countries. Design/methodology - This study constructs a complete set of trade facilitation index systems, comprehensively measures the trade facilitation level of RCEP member countries, and uses a gravity model to verify the critical role of trade facilitation level in enhancing the trade volumes of RCEP member countries. Findings - We found that trade facilit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hina's agricultural exports as a whole. The effect of each primary indicator varies in magnitude, with finance and e-commerce (F) having the most significant impact, followed by customs efficiency (C)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1);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has no significant effect. Originality/value -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rade facilitation on China's agricultural exports from the perspective of exports, and uses the latest data to study the degree of the impact of trade facilitation in importing countries. Measures to jointly enhance trade facilitation among member countries under the RCEP framework are proposed.

경제통합이 부가가치 기준 무역(TiVA)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conomic Integration on Trade in Value Added (TiVA))

  • 신미화;이현훈
    • 무역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2
    • /
    • 2018
  • 본 연구는 OECD-WTO의 부가가치 기준 무역(TiVA)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제통합이 부가가치 기준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경제통합은 회원국간의 무역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통적 의미의 최종재와 중간재뿐만 아니라 수출에서 차지하는 국내 및 외국의 부가가치 규모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경제통합이 국내 및 외국의 부가가치 무역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대체로 비슷하여 총수출에서 국내부가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Policy-based Loans to Korean SME Exporters and the Intensive Margin of Exports

  • Whang, Unjung;Koo, Kyong Hyun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6권3호
    • /
    • pp.179-204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policy-based loans to SME exporters affect their export performance (the intensive margin of exports). We also investigate the heterogeneous export effects of policy-based loans that may depend on firm- and industry-specific characteristics, such as credit ratings, debt-to-assets ratios, firm size and age. To do so, we conduct a survey, of 1,000 Korean SMEs, that collect information on firm-level exports and policy-based loans. The main empirical findings strongly support that SMEs that receive policy-based loans tend to increase their export volumes. However, these loans' positive impact on exports are only valid for SME exporters with credit scores of 12 or greater (that is, SMEs that have difficulty accessing the external financial market). The estimation results with respect to SMEs' dependence on external financing imply that policy-based loans for SMEs in sectors that are heavily dependent on external finance are effective in that they are instrumental in increasing these firms' exports. These empirical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external financial market to SME exporters who face various up-front investments that are related to their exporting activities.

한국 의류산업의 대미(對美) 수출 현황과 소싱 특성 (Export to the USA and Sourcing of Korean Apparel Industry)

  • 백영하;박재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62-473
    • /
    • 2008
  • In recent years, Korea's apparel exports to the USA have faced a great threat, as the trade environment around the world has changed continu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etitive position of Korean apparel exports to the USA, and to enhance export competitiveness by applying to offshore sourcing. The trade data of the Office of Textiles and Apparel(OTEXA) in the U.S. Department of Commerce were selected for inquiry about export competitiveness of apparel products made in Korea. In addition, we targeted members of the Korea Apparel Industry Association among the 500 exporters of clothing items in "The Import and Export Textile Product 2003." A total 70 shee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Korean apparel exports to USA have decreased by 20-35 percent per year since 2005 under the Free Trade Area, showing that Korean apparel industries have not adapted to the new trade environment. Although Korean apparel exports to USA have indicated a trade surplus from now on, Korean apparel industries should find new ways to overcome this situation, diminishing exports and increasing imports. 2) Korean apparel companies selected more offshore sourcing than domestic sourcing. Also, as Korean apparel companies manufactured apparel products offshore, foreign subcontracting outranked manufacturing in their own foreign plants. When they chose foreign countries to source, they turned mainly to China and Vietnam. Also, they considered the target country's manufacturing price, labor stability, apparel products, quality, lead time, and so on. In order to increase apparel exports, Korean apparel industries should focus more on developing competitively new apparel products, improving the ability of sourcing management, and establishing on-the-spot agencies.

경북지역 버섯 수출의 특징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mushroom exports in Gyeongbuk Province, Korea)

  • 조우식;황지성;김동근;유영복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2-35
    • /
    • 2013
  • 경북지역 버섯수출의 요인들을 분석하여 수출증대 전략과 수출지원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정보를 얻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팽이버섯과 새송이버섯 품목의 경북지역 버섯수출량은 전국 버섯수출량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팽이버섯은 총 수출액이 2009년 81%, 2010년 14%로 증가하여 2010년에는 최대수출량(9,415톤)과 최대수출액(14,840천$)을 기록했다. 이후 2011년 -15%, 2012년 -19%로 다소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새송이버섯의 경우는 수출액이 2010년 52%, 2011년 18%, 2012년 6.5%로 증가하여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나. 2012년 기간의 경북지역 팽이버섯의 수출지역별 수출액을 보면 2010년에 대중국 수출액 2,325천$, 대홍콩 수출액 7,653천$에서 2012년에 대중국 196천$, 대홍콩 1,666천$로 각각 -91%(2,129천$), -78%(5,987천$)로 급감하였는데 같은 시기의 경북지역 총수출액도 14,841천$에서 10,113천$로 -31%(4,728천$) 감소하였다. 다. 새송이버섯의 경우 팽이버섯과는 달리 유럽지역을 대표하는 네덜란드가 수출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중국으로의 수출은 미미한 수준이다. 라. 중국의 경우 2001년 공장형버섯농장 5개소, 생산량이 8천톤에 불과하였으나 2011년에는 652개의 공장형버섯농장, 생산량은 1,100천톤으로 매우 빠르게 급성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