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xport Potential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4초

FTA의 도래에 따른 국제통상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An Approach on the Global Commerce Activation by the Use of FTA)

  • 이승관
    • 통상정보연구
    • /
    • 제8권1호
    • /
    • pp.227-242
    • /
    • 2006
  • The rapid expansion of regionalism has resulted in the creation of blocs of the global economy, so that those countries not belonging to one or more blocs can be discrimiated. Though signed on the bill of FTA with Chile, Korea is actually alienated from major stream of the blocs. Therefore, Korea government makes efforts to contract more FTAs with countries such as Singapore and Japan, others. FTA is believed to be an important method to secure export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Therefore, we need to exactly understand critical issues and the long-run effort of FTA.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important issues and potential strategies relating to electronic commerce in Korea's FTA with other countries. In these means, relationship between FTA and e-Trade are closely related to global business chance. In these means, we should use FTA potentials for encouraging global commerce by e-Trade and develop e-FTA in the foreseeable future.

  • PDF

중국 일대일로 정책이 탄자니아 무역패턴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BRI) on the Trade Patterns of Tanzania)

  • 오스카 말레라;이태희
    • 무역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24
    • /
    • 2021
  •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BRI) is designed to intensify bilateral trade between China and the BRI countrie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ransportation connection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impacts of this policies on the trade patterns. This paper attempts to evaluate the impacts of BRI on the trade patterns of Tanzania. Our study extends the original gravity model of bilateral trade by adding GDP per capita, population and proximity as the explanatory variables. According to our research, we observed that the BRI significantly impacted the Tanzania's trade patterns, as it led to the increase of bilateral trade flow between Tanzania and China more importantly between Tanzania and its adjacent countries. It indicates that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BRI) has boosted Tanzania's trade exclusively, hence the Tanzania's export sector earns greater trading potential with the adjacent countries.

나진-선봉 경제 무역 지대의 입지특성과 지역구조 (Regional Structure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Najin-Seonbong Economic and Trade Zone)

  • 이기석;이옥희;최한성;안재섭;남영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93-316
    • /
    • 2002
  • 본 연구는 북한이 1991년에 처음 자유경제무역지대로 지정하여 개방한 나진-선봉지구에 대한 기초적인 지역연구의 일환으로서. 입지특성과 지역구조를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3차에 걸친 현지답사와 위성사진. 그리고 관련자료를 수집하여 지난 10년간 토지이용과 지역구조 변화여부를 분석하였다. 입지적 특성인 중계기지로서의 역할은 인프라 구축 미비, 수출가공기지로서의 역할은 주변지역과 산업연계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확인되었다. 10개 계획공업구는 자체 산업구조의 취약과 공업구간의 유기적인 기능 분담이 이루어지지 않아 효율성과 잠재력이 뒤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앞으로 이 지구의 성공 여부는 북한 당국의 의지와 여러가지 입지적 문제들을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달려 있다.

항만 배후단지 운영에 기여하는 수출입품목 선정에 관한 연구 - 인천항을 중심으로 - (The selection of import-export goods contributing to activate port hinterland operation - focusing on Port of Incheon)

  • 정현재;여기태;김종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9-234
    • /
    • 2010
  • 본 연구는 인천항 배후단지를 운영함에 있어 취급되는 품목 중 어떠한 품목이 항만 배후단지 운영에 기여하는지를 선정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으며, 대상은 아암물류1단지와 4부두 배후지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요인분석 및 AHP 분석을 사용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물동량 창출가능성을 비롯한 총 11가지의 하위평가요인을 선정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관리를 포함한 총 4가지의 상위평가요인들이 그룹핑 되었다 AHP분석을 통해 하위평가요인들의 우선순위를 산정한 결과 물동량 창출 가능성 측면이 배후단지 운영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수출입액과 수출입 중량을 기준으로 농산물, 철강/비철금속, 전자부품을 평가 품목대안으로 선정하고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자부품이 인천항 배후단지에서 취급중인 화물 중 운영적으로 가장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자부품과 같은 물동량 증가 가능성이 많은 화물에 대한 전략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본 연구가 향후 개장될 인천항 아암물류2단지와 인천신항 배후단지의 유치품목 선정에 있어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한중 문화상품무역 국제경쟁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China Cultural Products Trade)

  • 정응영;배기형;이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349-359
    • /
    • 2022
  • 최근 글로벌 경제의 다원화에 따라 문화상품무역은 국가 간 종합적 실력경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한국은 중국의 인접국으로 문화발전 환경이 중국과 비슷하다. 문화상품무역은 한국경제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그 발전경험은 중국에 참고적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법, 비교분석법과 실증분석법을 통해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화상품 수출입 규모로부터 시작하여 전반적인 중국과 한국의 수출수준을 분석하여 양국 문화상품 수출입의 차이점을 찾고자 한다. 그런 후 중국 문화상품무역구조의 단점과 한국 문화상품무역구조의 장점을 비교·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확률적 변경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으로, 한중 문화상품무역 잠재력에 관한 결론을 도출한다. 그 연구결과로는 첫째, 중국과 한국의 문화상품무역의 국제경쟁력은 높은 편이지만 중국 문화상품의 경쟁력 발전 속도는 느린 편이다. 둘째, 한국과 비교할 때 중국 문화상품 수출은 무역비효율요인의 영향이 큰 편이다. 셋째, 정부효율의 제고는 중국이 무역비효율항을 줄이는데 매우 큰 역할을 한다.

확장된 무역 중력 모형에 기반한 한중 전자제품 무역잠재력 연구 (A Study on the Trade Potential of Electronic Products Based on Trade Gravity Expansion Model between China and Korea)

  • 동호;배기형;장몽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216-226
    • /
    • 2022
  • 한중 FTA 협정 체결에 따라 새로운 상황에서 한중 양국의 전자제품 무역의 잠재력을 연구하는 것은 양국 전자제품 무역 발전을 추진하는 데 중대한 현실적 의의가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2005년~2019년 한·중 전자제품 무역 관련 데이터를 선정해 확장된 무역 중력 모형을 통해 양국의 전자제품 무역 잠재력 요인을 분석한 뒤 양국의 전자제품 무역 잠재력 수치를 추산하고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1) 경제 규모, 인구 규모, APEC 회원국 여부가 한중 양국의 무역액 증가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지리적 거리는 양국의 무역액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무역 자유도는 중국 전자제품의 무역액을 촉진하는데 눈에 띄는 역할을 하고 있고, 한국의 전자제품 무역에는 큰 영향이 없다. (2) 2015년 이후 중국의 대(對)한국 전자제품 수출은 잠재력이 크다. 한국의 대(對)중 전자제품 무역에 대한 잠재력도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정책을 통해 발굴이 필요하다.

Assessment of China's Policies Regarding Grain Import and Export

  • Junghwan Choi;Sangseop L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267-279
    • /
    • 2023
  • 이 논문은 우리나라 대외 무역 및 곡물 수입 안정화 정책 수립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국의 곡물 수출입 관련 법 제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대외무역법」에 근거한 중국의 대외무역제도는 대외무역관리기관에 대한 권한 위임의 범위와 책임이 명확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는 「대외무역법」과 그 시행령 및 관리규정에서 대외무역관리의 권한 위임에 대한 범위와 책임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지만, 중국의 개정 「대외무역법」에서는 대외무역관리에 대한 권한 위임이 명확하게 명시되지 않아 지방정부나 기타 행정기관의 자의적 판단에 의한 개입의 여지가 있다. 전반적으로 중국의 곡물 수출입 관련 법 제도는 WTO 규정에 부합하는 제도적 틀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법률 또는 법규의 모호성과 제도의 운영과정에서 나타나는 불합리성과 투명하지 않은 절차 등은 유의해야 하는 항목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향후 중국과의 교역 과정에서의 발생할 수 있는 불합리한 상황에 대한 사전 예방 중요할 것이다.

큰느타리버섯의 모의 수출운송과정에서 소포장 적용에 따른 품질변화 비교 (Comparative Quality Evaluation of King Oyster Mushroom as Affected by Unit Packaging Method during Simulated Export Shipment)

  • 우성민;박윤문;박세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2호
    • /
    • pp.186-193
    • /
    • 2013
  • 큰느타리버섯 수출과정에서의 운송 포장방법으로서 현지 판매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소포장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5월 하순에 수확하여 $4^{\circ}C$로 예냉한 버섯을 2kg 단위 PE 필름봉지 대포장과 판매용 소포장 3개 방식을 적용한 후 4주 및 5주 모의운송 기간을 거쳤다. 기존의 2kg 대포장 버섯은 운송 후 소포장을 하였고 운송 단계에서부터 소포장을 적용한 버섯은 그 상태로 각각 7일간 저온유통 후 품질을 비교하였다. 소포장 방법은 400g 폴리프로필렌 봉지(PPB), 200g 스티로폼 트레이 + 랩핑(STW) 및 200g PET용기(PETC) 포장으로 구분하였다. 운송 조건은 $0.5^{\circ}C$로 설정한 소형 저장실에서 수행하였고 현지 저온유통은 $7^{\circ}C$로 설정한 저온 챔버를 활용하여 모의하였다. 모의 운송 중 포장 내부 MA 환경은 2kg 봉지 대포장의 경우 $O_2$ 2% 이하 + $CO_2$ 10% 이상으로써 장해 발생이 우려되는 수준까지 조성된 반면, PPB, PETC 소포장 운송 시에는 $O_2$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이었고 STW 소포장에서는 MA 조성 효과가 미미하였다. 유통 7일간 적용한 소포장의 내부 MA 환경은 짧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PPB, PETC 포장에서 $CO_2$ 농도가 매우 높은 수준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취, 갈변 정도를 반영한 전반적인 상품성은 2kg 대포장 운송 후 현지에서 재선별을 거쳐 소포장을 하는 방식과 운송초기부터 PPB, PETC 소포장 방식을 적용한 경우 모두에서 우수 수준 이상의 품질이 유지되었고 처리 간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다만, MA 조성 효과가 낮았던 STW 포장에서는 품질 저하가 빠르게 진행되어 운송 포장으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장 적용 시 작업 효율과 안정적인 품질유지를 고려할 때, 큰느타리버섯의 5주 운송 + 현지유통 7일로 설정한 수출과정에서 운송에 적합한 포장방법으로는 기존 방식인 $30{\mu}m$ PE 2kg 대포장 방식보다는 $30{\mu}m$ PP 필름 백이나 PET 용기 소포장 방식이 보다 실용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An Insight of Meat Industry in Pakistan with Special Reference to Halal Meat: A Comprehensive Review

  • Sohaib, Muhammad;Jamil, Faraz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29-341
    • /
    • 2017
  • Livestock is considered central component in agricultural sector of Pakistan, provides employment to more than 8 million families. Meat and meat products holds pivotal significance in meeting dietary requirements serving as major protein source and provide essential vitamins and minerals. Globally, consumer demand is increasing for healthy, hygienic and safe meat and meat products due to growing population, income level and food choices. As, food choices are mainly influenced by region, religion and economic level. However, religion is one of the major factor to influence the food choices. In this context, halal foods a growing trend, trade estimated to cross USD $ 3 trillion and among this, meat sector contribute about US$ 600 billion. Halal meat and allied products is requirement from Muslims but it is also accepted by non-Muslims due to safe and hygienic nature, nutritious value and superior quality. Pakistan meat industry is vibrant and has seen rigorous developments during last decade as government also showed interest to boost livestock production and processing facilities to meet increasing local and global demand. The industry has potential to grow owing to its natural animal rearing capability, muslim majority country (96% of total population), improvisation of market and consumer preference towards halal meat. Current review debates Pakistan meat industry scenario, production trend, global trade as well as future potential with respect to modernization, processing, distribution and trade. The data presented here is useful for meat producers, processors and people involved in export of Pakistani meat and meat based products.

Potential Crisis and Opportunity in the K-pop Choreography Copyright

  • Kim, Jo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253-258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pose the potential dangers of K-pop through the past and present of K-pop choreography copyrights and to suggest the need to secure digital choreography copyrights for the sustainability of K-pop considering national responsibility. As the content industry quickly sought countermeasures to digital transformation, such as the launch of K-pop platforms and the evolution of OMO (Online Merges with Offline) media commerce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environment due to COVID-19, the annual export of the domestic content industry increased by 6.3%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ccordingly, our copyright does not require that works be fixed in tangibles, as in Japan and Germany, on the basis of entrusting each country's legislation to determine whether to require fixation on choreographed works. On the other hand,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the United Kingdom are demanding that it be fixed. Although choreography is at the center of K-pop and the value and influence of K-pop videos including cover dance through new media are discussed from various perspectives, copyright on choreography that needs to be resolved in business platforms for K-pop scalability The fact that there is such a big difference in problem perception is an area where we must not lose our vigilance. As the development of today's technology, the method of fixing a choreography looks very easy as an image, but at the same time can be stolen very quickly. Therefore, compared to overseas cases, it is urgent to improv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opyright registration for K-pop choreography and to supplement the system include the N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