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losive modeling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초

유해 대기오염물질의 난류확산 수치모의에서 침적한과 부력항 추가에 따른 효과 (Addition Effect of the Deposition and Buoyancy Terms in Modeling Turbulence Diffusion of Hazardous Air Pollutants)

  • 원경미;이화운;지효은;김철희;송창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3-84
    • /
    • 2006
  • Hazardous Air Pollutants (HAPs) are characterized by being relatively heavier and denser than that of ambient air due to the various reasons such as higher molecular weight, low temperature and other complicated chemical transformations (Witlox, 1994). In an effort to investigate transport and diffusion from instantaneous emission of heavy gas, Lagrangian Particle Dispersion Model (LPDM) coupled with the RAMS output was employed. Both deposition process and buoyancy term were added on the atmospheric diffusion equations of LPDM, and the locations and concentrations of dense gas particle released from instantaneous single point source (emitting initially for 10 minutes only) were analyzed. The result overall shows that adding deposition process and buoyancy terms on the diffusion equation of LPDM has very small but detectable effect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 of Lagrangian particles that especially transported for a fairly long traveling time. Also the slumping of dense gas can be found to be ignored horizontally compared to the advection by the horizontal wind suggesting that it was essential to couple the Lagrangian particle dispersion model coupled with the RAMS model in order to explain the dispersion of HAPs more accurately. However, during the initial time of instantaneous emission, buoyancy term play an important role on the vertical locations of dense particles for near surface atmosphere and around source area,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densities of HAPs in the beginning stage or short duration for the risk assessment of HAPs or management of heavy vapors during the explosive accidents.

물질특성 및 운전조건을 고려한 증기상 물질의 2차 누출에 따른 폭발위험장소 범위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ation of Range of Hazardous Area Caused by the Secondary Grade of Release of Vapor Substances Considering Material Characteristic and Operating Condition)

  • 서민수;김기석;황용우;천영우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3-26
    • /
    • 2018
  • 현재 KS Code 등 국내규정에서는 폭발위험장소의 범위를 계산하는 방법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아, 정확한 범위 선정을 위해서는 확산 모델링 해석을 이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애서는 대표적인 물질과 운전조건을 활용하여 확산 모델링에 비하여 간편하면서도 비교적 합리적인 폭발위험장소의 범위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국내외 표준을 바탕으로 폭발하한계(LFL, Lower Flammable Limit)까지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선정하였다. 총 16종의 인화성물질을 대상으로 물질변수, 운전변수, 기상조건에 대하여 모델링을 진행하였으며, 통계분석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변수를 이용하여 폭발위험장소의 범위 선정을 위한 3단계 분류화 방법(3Step Classification Method)을 작성하였다.

FSI 해석기법을 이용한 에어건 수중발파 응답해석 검증 (Verification of Underwater Blasting Response Analysis of Air Gun Using FSI Analysis Technique)

  • 이상갑;이재석;박지훈;정태영;이환수;박경훈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4권6호
    • /
    • pp.522-529
    • /
    • 2017
  • Air gun shock system is used as an alternative energy source as part of the attempt to overcome the restrictions of economical expense and environmental damage, etc., due to the use of explosives for the UNDerwater EXplosion (UNDEX) shock test. The objectivity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imulation technique of air gun shock test for the design of model-scale one for the near field non-explosive UNDEX test through its verification with full-scale SERCEL shock test result. Underwater blasting response analysis of full-scale air gun shock test was carried out using highly advanced M&S (Modeling & Simulation) system of FSI (Fluid-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technique of LS-DYNA code, and was verified by comparing its shock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with the results of air gun shock test.

충격 전달에 의한 Gap Test의 폭굉 반응 해석 (A Study on Shock-induced Detonation in Gap Test)

  • 김보훈;강원규;장승교;박정수;여재익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5-85
    • /
    • 2016
  • 감쇠기를 사이에 두고 여폭약과 수폭약으로 충전된 파이로 착화기는 격벽의 압력 감쇠 현상과 고에너지 물질의 충격 점화 특성을 갖는다. 고폭약의 폭굉 반응 및 비반응 물질 통과에의 폭압 감쇠와 더불어 격벽의 형상 변화를 모사하기 위해서는 충격 전달에 의한 gap test의 폭굉 모델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오일러리안 레벨셋 기법이 적용된 다중물질 하이드로 코드를 사용하여 pentolite 작약과 열폭압 RDX의 폭발 반응 및 PMMA gap을 통과하는 충격파 전달을 해석함으로써 화약-격벽간 상호작용 및 임계 두께, 음향 임피던스, go/no-go 기폭 점화에 대한 특성을 정량화하였다.

발파로 인한 노천광산 사면안정성 평가 및 인자분석 (Slope Stability Assessment and Factor Analysis of Surface Mines due to Blasting)

  • 김종관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0권1호
    • /
    • pp.98-107
    • /
    • 2020
  • 노천채광에서 경제적인 채광을 위한 채광장 형성은 매우 중요하며, 대규모 채광을 위한 발파작업은 사면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설계와 발파 조건을 달리하면서 사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인자의 기여율을 검토하였다. 설계인자는 암반의 물성, 사면각도, 벤치높이이며, 발파 조건은 장약량과 거리를 달리하여 반영하였다. 사면의 안전율은 3차원 모델링을 통해 전단강도감소기법으로 산출하였으며, 기여율은 암반사면의 물성이 94.8%로 다른 설계인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사면각도 0.89%, 벤치높이 0.58%, 발파는 3.73%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면과 근접거리에서의 발파는 사면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PBXN-109가 장전된 155 mm 고폭탄의 순폭현상 해석 (Sympathetic Detonation Modeling of PBXN-109)

  • 김보훈;김민성;양승호;오세안;김진석;최상경;여재익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11
    • /
    • 2014
  • 하나의 탄약이 폭발하였을 경우 에너지가 다른 탄약으로 전달되어 폭발을 야기해 최종적으로 연쇄적인 폭발에 이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BXN-109가 충전된 155 mm 고폭탄의 동조폭발에 대한 2차원 하이드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여폭약과 수폭약간 거리 및 중간 완충제에 따른 순폭 여부를 예측하였다. 계산 결과, 가까운 거리의 화약 간 순폭은 충격 점화로 인해 발생하며, 상대적으로 먼 거리의 경우에는 케이스의 파손으로 발생한 파편과의 충돌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완충제는 폭굉파와 파편의 효과를 억제하여 동조폭발의 발생 확률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섬유혼입 고강도 콘크리트의 열전달 및 역학적 거동 해석모델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Heat Transfer and Mechanical Modeling of Fiber-Mixed High Strength Concrete)

  • 신영섭;한동석;염광수;전현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45-52
    • /
    • 2011
  •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현상을 억제하여 내화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온에서 수증기가 콘크리트 표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여 주는 섬유를 혼입하는 방안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혼입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재하 내화 실험을 수행하였고, 내부 철근의 온도분포 예측을 위한 열전달 모델과 고온에서 콘크리트 기둥의 역학적 거동에 대한 재료모델을 제시하였다. 화재 시 콘크리트 내부의 물리적인 현상과 콘크리트의 열적 특성을 고려하여 선행 연구의 재료모델을 수정하였다. 수정한 모델을 이용한 섬유혼입 고강도 콘크리트의 유한요소 해석을 실행하였고, 재하 내화실험과의 비교를 통하여 재료모델을 제안하였다.

터널 내 폭발에 의한 지표 변위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f Surface Displacement Due to Explosion in Tunnel)

  • 박훈
    • 화약ㆍ발파
    • /
    • 제38권4호
    • /
    • pp.26-36
    • /
    • 2020
  • 지하공간의 이용범위 확장 및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테러리스트들에 의한 지하 내부 폭발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도 50m의 심도에 굴착된 원형 터널을 모델링한 후, 터널의 내부에 폭발하중을 가하였다. 폭발하중은 ATF(Bureau of Alcohol, Tobacco, and Firearms)에서 제시하는 6종류의 운반용 차량에 대한 최대 폭약량의 폭발하중을 산정하였다. 원형 터널 주변 지반은 국내 터널 설계에서 제시하는 지보패턴에 따른 3종류의 암반등급을 선정하였다. 비선형 동적해석을 수행하여 폭발하중과 지반 특성을 매개변수로 지표 변위를 분석하여 지상 구조물의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해석결과, 1등급암에 대해서는 지반의 융기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 하며, 2등급암과 3등급암은 부등침하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3등급암은 40m 이내의 지상 구조물에 대해서는 정밀 분석이 요구된다. 또한 지표 변위는 탄성계수에 의한 영향이 주요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조직 기업가 정신이 구성원의 조직몰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 외식 프랜차이즈 산업 (The Impact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on Employee Commitment and Performance: Evidence from the Korean Food Franchising Sector)

  • 박희현;류용규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7권2호
    • /
    • pp.5-14
    • /
    • 2016
  • Purpose - Competitive industry structure and recent economic depression challenge a survival of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food franchising companies (SMFCs), albeit the explosive growth of the Korean food service industry for last few decades. Against this backdrop, it examines how these SMFCs overcome liabilities of smallness and resource scarcity to strengthen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market. To tackle this, in this article we focus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human resources as a knowledge-based asset for these SMFCs. Furthermore, the ratio of employee turnover is high in SMFCs. We view that such brain-drain may result in poor performance of the Korean SMFCs. As such, we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an organization as a solution for enhancing individual-level employees' loyalty toward their organiz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Our research question is to what extent corporate entrepreneurship (i.e.,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autonomy, and administrative innovation) affects an individual-level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and, in turn, employee creativity and satisfaction in the Korean SMFCs context. We collected data from employees in SMFCs for three months. A total of 126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using partial least squares path modeling. Results - The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model feed into testing the structural model. Our findings suggest that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autonomy positively affect employee commitment. Particularly, organizational autonomy has a greater effect than innovative culture on employee commitment.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ive innovation and employee commitment is not significant. We also find that employee commitment positively affects both employee creativity and satisfaction. Conclusions - Our contribution to the existing franchising business and management literature is twofold. First, the conceptual model includes three antecedents in the organizational entrepreneurship dimension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we conceptualiz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employee commitment, and validate its impact on employee creativity and job satisfaction at an individual performance level. Overall, this article suggests that it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he Korean SMFCs to develop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order to facilitate employees'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ir organizations.

한국 민간경호원 교육프로그램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ing Instruc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Korean Private Security Guard)

  • 이상철;신상민
    • 시큐리티연구
    • /
    • 제9호
    • /
    • pp.201-235
    • /
    • 2005
  • 본 연구는 민간경호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민간경호원과 국내${\cdot}$외 경호업체 및 기관의 교육훈련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도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교육훈련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 모델을 설정함으로써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체제를 구축하는데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기본적으로는 국내외에서 발간된 문헌과 학술지 및 연구논문 등과 같은 문헌자료의 수집${\cdot}$분석을 하였고, 실증적인 자료 활용을 위해서 인터넷과 국내${\cdot}$외 관련협회, 학회, 기관, 경찰청 및 인터폴의 협조를 통해 자료를 수집 하였으며, 국내 민간경호업체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민간경호업체 실무자 인터뷰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국내 민간경호업체에서는 교육훈련 프로그램 계획시 이론교육을 최소화하고 실무 중심적 교육으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설정해야 하고, 이론교육 또한 실무 교육과 연계된 교육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민간경호원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교육과목은 이론 교육으로는 경호, 개론, 경호 계획, 정보 수집, 민간경비, 경호 방법, 테러 및 테러리즘, 관련 법령, 경호 심리, 전자 보안, 경호 분석 기법, 기업 소개, 직업관에 관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실무 교육으로는 선발 및 예방 경호, 근접수행 경호, 차량 경호, 경호 운전, 경호무도 및 호신술, 응급 처치, 경호 장비, 총기류 및 사격, 경호 의전, 고객 만족, 시설보안 및 경비, 소방 교육, 팀워크 훈련, 폭발물 및 위험물, 체력 단련, 문서 작성 실무, 봉사 활동, 외국어 교육에 관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