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losive limit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6초

반도체 가스 센서 어레이의 제작 및 폭발성가스 감응 특성 (Fabrication of Semiconductor Gas Sensor Array and Explosive Gas-Sensing Characteristics)

  • 이대식;정호용;반상우;이민호;허증수;이덕동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7권11호
    • /
    • pp.9-17
    • /
    • 2000
  • 폭발성 가스의 종류 및 그 양을 검지하기 위한 10개의 개별 센서가 한 기판위에 집적된 센서어레이를 개발했다. 이 센서어레이는 각종 가스에 대해 다양한 감도 패턴을 가지며, $SnO_2$를 모물질로 하는 10개의 산화물 반도체 가스센서로 구성하였다. 나노사이즈이며 큰 비표면적을 가진 모물질에 서로 다른 첨가물을 첨가하여 감지물질를 제작함으로써 저농도에 대한 감도 및 재현성을 높였고, 센서어레이 전반에서 균일한 온도 분포가 되도록 설계하였다. $400^{\circ}C$에서 동작하는 센서어레이로부터 얻은 감도를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 기법을 통해 폭발 하한값의 범위에서 부탄, 프로판 그리고 메탄 등과 같은 폭발성 가스의 종류 및 양을 신뢰성 있게 식별할 수 있었다.

  • PDF

고폭탄 탄약시험 간 이동형 강재 방호벽의 안전성능 판단 및 유효 방호력 평가 방법 (Method for evaluating the safety performance and protection ability of the mobile steel protective wall during the high-explosive ammunition test)

  • 전인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573-58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고폭탄과 같은 고위험 탄약에 대한 신뢰성 시험을 수행하는 기관에서 갖추어야 할 방호벽에 대해 유효 방호력을 평가하였다. 고폭탄이 인원에게 줄 수 있는 영향은 폭발압력에 의한 고막, 폐의 손상 등과 폭발과 동시에 발생한 파편에 의해 받을 수 있는 관통상이 있다. 따라서 COMP B가 충전되어있는 고폭탄을 기준으로, 피해 정도를 산정하기 위한 폭발방호 이론과 수치적 계산과 시뮬레이션을 통한 방호력 검증을 수행하였다. 수치적 계산 결과 시나리오로 설정된 방호벽과 폭발원점의 거리(7 m)에서 고폭탄 폭발 시 방호벽에 미치는 최대 폭발압력은 77.74 kPa이었으며, 50 mm 두께의 방호벽에 대한 파편의 관통력은 41.34 mm로 계산되었다. AUTODYN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검증에서는 방호벽과 인원에게 영향을 주는 최대 폭발압력은 각각 58.68 kPa과 18.175 kPa이었으며, 파편의 관통력은 35.56 mm였다. 이 수치는 인간의 피해 한계보다 낮은 수치로 방호벽의 방호력은 유효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저항을 이용한 프로판-공기 혼합가스의 점화한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d Ignition Limit with Resistor for Propan-air Mixture Gas)

  • 이춘하;오종용;옥경재;지승욱;이광식;심광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8-23
    • /
    • 2004
  • 본 논문은 IEC형 불꽃점화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저압 유도회로의 최소 점화한계를 프로판-공기 5.25 Vol.%의 혼합 가스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구하였으며, 또한 유도회로의 인덕턴스 L에 안전소자로서 저항을 병렬접속 하였을 경우 프로판-공기 5.25 Vol.%의 혼합 가스에 대한 점화한계 개선효과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최소 점화한계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좌우되었다. 또한,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는 인덕턴스에 우선 축적되고, 그 초과분의 에너지가 폭발성 가스의 점화원으로 작용하였다. 점화한계 개선효과는 인덕턴스가 300mH일 때, 최고 330%의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인덕턴스가 클수록 점화한계 개선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병렬로 접속한 저항의 크기가 적을수록 점화한계 개선 효과가 크다. 본 연구결과는 본질안전 방폭형 전기기기의 연구개발을 위한 기본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기기의 방폭 성능에 대한 시험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알킬케톤류의 폭발 특성치 간의 상관관계 및 폭발한계의 온도의존성 예측 (Prediction of Temperature Dependence of Explosion Limits and Interrelationship of Explosion Characteristics for Akylketones)

  • 하동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13
    • /
    • 2006
  • 화학공정에서 안전하고 최적화된 조작과 내재되어 있는 화재 및 폭발 위험성 평가를 위해서는 연소특성치를 알아야 한다 폭발한계, 연소열, 화염온도, 폭발한계의 온도의존성은 가연성물질의 화재 및 폭발위험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연소특성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알킬케톤에 대한 연소특성치들의 상관관계와 폭발하한계의 온도의존성 고찰에 있다. 문헌자료를 이용하여 알킬케톤의 폭발특성치간의 상관관계를 묘사하는 경험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폭발하한계의 온도의존성을 예측위해 통계적 및 수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식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예측식에 의한 예측값은 문헌값과 적은 오차범위에서 일치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을 사용하여 다른 가연성 물질의 폭발한계 예측이 가능해졌다.

  • PDF

액체의 상폭발 과정에 의한 펄스 레이저 용발률의 증진 (Enhancement of Pulsed-Laser Ablation by Phase Explosion of Liquid)

  • 김동식;이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5권11호
    • /
    • pp.1483-1491
    • /
    • 2001
  • Enhancement of pulsed-laser ablation by an artificially deposited liquid film is presented. Measurements of ablation rate, ablation threshold, and surface topography arc performed. Correlation between material ablation and photoacoustic effect is examined by the optical beam deflection method. The dependence of ablation rate on liquid-film thickness and chemical composition is also examined. The results indicate that photomechanical effect in the phase explosion of liquid is responsible for the enhanced ablation. The low critical temperature of liquid induces explosive vaporization with localized photoacoustic excitation in the superheat limit and increases the ablation efficienc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tilizing a Q-swiched Nd:YAG laser at near-threshold laser fluences with negligible plasma effect (up to ∼100 MW/cm$^2$).

열처리 조건에 따른 코발트 프탈로시아닌 촉매상에서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특성 (Characteristics of Acetaldehyde Decomposition over Heat Treated Cobalt Phthalocyanine Catalysts)

  • 서성규;윤형선;김대중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89-490
    • /
    • 2003
  • 아세트알데히드는 석유화학관련시설에서 많이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환경부 고시(제2001-36호)에 이를 포함한 37개 VOC 규제제품 및 물질로 명시되어 있다. 또한, 현재의 8개 악취물질에도 포함되어 있어 강력히 규제하고 있는 물질이다. 아세트알데히드의 주요 특성으로서 최소감지농도는 0.21ppm, LEL(Lower Explosive Limit)은 4%로 반응성이 매우 크며, 액상 및 증기상에서 가연성이 매우 큰 물질이다. 이러한 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직접연소법과 촉매연소법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있으나, 직접연소법을 이용하는 소각로의 경우 산업폐기물을 소각하는 과정에서 아세트알데히드가 배출되고 있어 아세트알데히드의 주 배출원 이며 고온처리로 인한 비용부담의 단점이 있다. (중략)

  • PDF

접촉연소식 가스센서의 수명시험기준 개발 (Development of Life Test Specification for Catalytic Gas Sensor)

  • 강준구;박정원;황동훈;함중걸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6권1호
    • /
    • pp.37-50
    • /
    • 2006
  • The accelerated life tests of the catalytic gas sensor were performed at three different gas concentration conditions. From the test data, the power-Weibull model was estimated and the acceleration factor between test condition 25%LEL(Lowe Explosive Limit) and use condition 5%LEL was about 3 according to this acceleration model. Using this acceleration factor, life test specification for qualifying that B10 lifetime of the catalytic gas sensor meets the goal lifetime (5 years) was designed.

  • PDF

전색보호판과 다단발파기를 이용한 다단식분산발파의 현장 적용 사례 (Case study on the Distributed Multi-stage Blasting using Stemming-Help Plastic Sheet and Programmable Sequential Blasting Machine)

  • 김세원;임익환;김재성
    • 화약ㆍ발파
    • /
    • 제31권2호
    • /
    • pp.14-24
    • /
    • 2013
  • 도심지에서 암반 제거 작업에 시공되어 온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소량의 화약류를 사용하여 장약 전색한 후 발파하여 암반에 균열을 발생시켜 암석을 제거하는 방법인데,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그 사용에 제한을 받는 경우가 많아지고 발파 불가 지역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공법은 암반에 천공된 공속에 장약을 할 때 전색보호판을 이용하고 같은 시차의 뇌관과 화약으로 다단 장약/전색하고 다단발파기를 이용하여 최적화 된 정밀제어를 함으로써 진동을 감소시켜 발파하는 다단식분산발파 방법으로 모든 현장에 사용 가능하지만 특히 진동과 관련된 분쟁이 큰 도심 지역의 암반 제거에 있어서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공법은 일반적으로 천공되어지는 짧은 천공장(1.2~3.0미터)으로 인해 다단 장약 후 지연 기폭이 힘든 구간에서도 뇌관선이 단락 되거나 폭발화약 주변의 화약이 사압을 받는 일이 없이 쉽게 발파패턴을 설계하여 사용 할 수 있다.

Low-Oxygen Atmosphere and its Predictors among Agricultural Shallow Wells in Northern Thailand

  • Wuthichotwanichgij, Gobchok;Geater, Alan F.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6권1호
    • /
    • pp.18-24
    • /
    • 2015
  • Background: In 2006, three farmers died at the bottom of an agricultural shallow well where the atmosphere contained only 6% oxygen. This study aimed to document the variability of levels of oxygen and selected hazardous gases in the atmosphere of wells, and to identify ambient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 low-oxygen situation.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conducted in June 2007 and July 2007, measured the levels of oxygen, carbon monoxide, hydrogen sulfide, and explosive gas (percentage of lower explosive limit) at different depths of the atmosphere inside 253 wells in Kamphaengphet and Phitsanulok provinces. Ambient conditions and well use by farmers were recorded. Carbon dioxide was measured in a subset of wells. Variable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low-oxygen condition (<19.5%) were identified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One in five agricultural shallow wells had a low-oxygen status, with oxygen concentration decreasing with increasing depth within the well. The deepest-depth oxygen reading ranged from 0.0% to 20.9%. Low levels of other hazardous gases were detected in a small number of wells. The low-oxygen status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depth of the atmosphere column to the water surface [odds ratio (OR) = 13.5 for 8-11 m vs. <6 m], depth of water (OR = 0.17 for 3-<8 m vs. 0-1 m), well cover (OR = 3.95), time elapsed since the last rainfall (OR = 7.44 for >2 days vs. <1 day), and location of well in sandy soil (OR = 3.72). Among 11 wells tested, carbon dioxide was detected in high concentration (>25,000 ppm) in seven wells with a low oxygen level. Conclusion: Oxygen concentrations in the wells vary widely even within a small area and decrease with increasing depth.

CFD를 이용한 진공가압함침공정 내 유해가스 배출시스템 설계 (Design of Hazardous Fume Exhaust System in Vacuum Pressure Impregnation Process Using CFD)

  • 장준규;유엽;박현도;문일;임백규;김정환;조형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9권4호
    • /
    • pp.521-531
    • /
    • 2021
  • 진공가압함침공정(Vacuum Pressure Impregnation, VPI)은 발전기, 전동기 등 대형 회전기에 사용되는 고정자 권선에 에폭시 계열의 레진을 코팅시켜 물성을 강화하는 공정이다. VPI 공정 중 진공과 가압과정에서 에폭시 레진의 기화에 의해 레진 가스가 발생하고, 함침공정이 끝나고 경화를 위해 탱크 개방 시 레진 가스가 제거되지 않고 탱크 밖으로 유출된다. 유출된 레진 가스가 작업장 전체에 확산 시 화재, 폭발 및 호흡기 문제와 같은 안전 환경 문제가 있으므로 공정 내 레진 가스 배출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PI 공정에서 발생한 레진 가스를 배출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을 이용하여 공기 유입구·배출구의 위치에 따른 배출효율에 대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최적의 배출시스템을 활용 시 1,800초 이내 90%이상의 레진 가스를 배출할 수 있으며, 레진 가스의 폭발하한계(Low Explosive Limit, LEL)이하로 레진 가스의 분율을 낮출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