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loration of risk factors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1초

소비자의 내적 특성이 의복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감각추구성향, 의복탐색행동, 점포유형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nsum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Impulse Buying Behaviors of Apparels)

  • 강은미;박은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86-597
    • /
    • 2001
  • 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consum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tore types and impulse buying behaviors of apparels. We collected data from 469 consumers of women college student living in Pusan and analysed b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chi$$^2$-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nsation seeking tendency consisted of the Change seeking, Risk seeking, Artistic seeking, Curiosity seeking and Unusual seeking. The exploratory behavior of apparels were divided into six factors; Particularity exploration, Innovation exploration, Store exploration, Brand royalty exploration, interpersonal exploration and brand-seeking exploration. Second, In comparison with the unimpulse-buying group, the impulse-buying group intended more then Change seeking, when apparel explored, Particularity exploration, Innovation exploration and Brand exploration. Impulse-buying group preferred the department store, unimpulse-buying group did the specialty store.

  • PDF

지반굴착공사 위험요소 도출 및 통계적 검정 방법을 통한 신뢰성 분석 (Extracting the Risk Factor of Ground Excavation Construction and Confidence Analysis using Statistical Test Procedure)

  • 김동민;김우석;백용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1-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지반굴착공사로 인해 발생된 지반함몰 사례를 분석하고 지반함몰 발생 원인을 평가하였는데, 주요 원인으로는 지반조사의 불충분, 부정확한 지반정수, 가시설 보조공법 구조체의 결함, 보일링 및 히빙에 대한 대처 미흡, 시공시 과굴착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반함몰 발생원인 분석을 통해 지반굴착공사 위험요소를 도출하였는데, 지반조사, 굴착공법 선정, 구조물 해석, 계측계획, 굴착공법 시공, 지하수위 변화, 계측 수행, 자연재해, 시공관리 등이 지반함몰을 예방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위험요소로 도출되었다. 또한, 도출된 위험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국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카이제곱(${\chi}^2$) 검정 방법 통해 설문조사 응답자의 직업군, 업무종사기간, 업무현장종류 등과 설문조사결과가 유의한 수준인지에 대해 검정을 수행하였다.

환경스트레스 모델을 통한 해양탐사·조사선의 격자형 운항방식과 운항요인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Correlation of Marine Exploration-Survey Vessel Operation Factors and Grid-Type Operation Method through ES Model Analysis)

  • 박현구;박영수;김대원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34-643
    • /
    • 2020
  • 해양공간 이용 수요와 중요도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국내에서의 해양탐사 및 해양조사활동이 활발히 수행중이다. 이러한 활동을 위해 운항되는 해양탐사조사선은 목적 및 탐사선박에 따라 특수한 운항패턴을 가지므로 해상교통위험도를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탐사·조사선의 운항이 해상교통에 미치는 영향을 각 요인별 상관관계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활동중인 해양탐사·조사선 현황을 파악하였고 일부 해양물리탐사선의 특수한 운항실태를 식별하였다. 운항자부담감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운항요인 중 각 2가지를 독립변수로하여 ES Model 기반의 해상교통류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교통량, 선박 길이, 속력 순으로 운항자 부담감이 두드러지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근 해상교통흐름과 선수방위(침로)가 거의 유사한 운항 침로를 설정할 경우 운항자 부담감이 다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해양탐사·조사선이 운항계획을 설정할 단계에서 인근 해상교통현황을 파악하여 운항방식에 반영한다면 운항자 부담감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코로나19 발생의 지역사회 위험요인 분석 (Exploration of Community Risk Factors for COVID-19 Incidence in Korea)

  • 심보람;박명배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5-52
    • /
    • 2022
  • Background: There are regional variations in the incidence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which means that some regions are more exposed to the risk of COVID-19 than oth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gional variations in the incidence of COVID-19 in Korea and identify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of COVID-19 using community-level data.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he districts (si·gun·gu) level in Korea. Data of COVID-19 incidence by districts were collected from the official website of each province. Data was also obtained from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nd the Community Health Survey; socio-demographic factor, transmission pathway, healthcare resource, and factor in response to COVID-19. Community risk factors that drive the incidence of COVID-19 were selected using a 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regression. Results: As of June 2021, the incidence of COVID-19 differed by more than 80 times between districts. Among the candidate factors, sex ratio, population aged 20-29, local financial independence, population density, diabetes prevalence, and failure to comply with the quarantine rul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VID-19 incidenc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setting COVID-19 quarantine policy and allocating resources, considering the community risk factors. Protecting vulnerable groups should be a high priority for these policies.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Emotional and Conduct Behavior Problems of UK Female Adolescents: Comparative Exploration between Non-Stepfamilies and Stepfamilies

  • Sohn, Byoung-Duk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8권2호
    • /
    • pp.61-74
    • /
    • 2007
  • Adolescents from stepfamilies have been considered as at-risk group of mental and behavioral problem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group difference of emotional or behavior disturbance between young people in step and non-stepfamilies and whether risk factors linked to emotional and behavior symptoms of young people in stepfamili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girls in non-stepfamilies. The study used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in Great Britain, 2004 (MHCYP 2004)'. In the MHCYP 2004, the Rutter Problem Behavior Questionnaire,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SDQ), and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were administered to parents, teachers, and children drawn from young people aged 5-17 living in private households in England, Scotland (including the Highlands and Islands) and Wales. The total of 2,471 samples of aged 13 through 17 from them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e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The findings showed group differences in emotional and behavior symptoms between young people in step and non-stepfamilies: Young people from stepfamilies were more emotional and have behavioral disturbances than those from nonstepfamilies. The result also confirmed the differen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emotional behavior problems. The study supports that professionals need to develop effective treatment and preventive approaches designed for young people in stepfamilies who may have different risk factors different from those in non-stepfamilies.

Solving Survival Gridworld Problem Using Hybrid Policy Modified Q-Based Reinforcement

  • Montero, Vince Jebryl;Jung, Woo-Young;Jeong, Yong-Jin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150-1156
    • /
    • 2019
  • This paper explores a model-free value-based approach for solving survival gridworld problem. Survival gridworld problem opens up a challenge involving taking risks to gain better rewards. Classic value-based approach in model-free reinforcement learning assumes minimal risk decisions. The proposed method involves a hybrid on-policy and off-policy updates to experience roll-outs using a modified Q-based update equation that introduces a parametric linear rectifier and motivational discount. The significance of this approach is it allows model-free training of agents that take into account risk factors and motivated exploration to gain better path decisions. Experimentations suggest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d better exploration and path selection resulting to higher episode scores than classic off-policy and on-policy Q-based updates.

개착식 굴착공사시 지하수위 저하로 인한 지반상태 탐사 및 해석기법 연구 (Numerical Analysis and Exploring of Ground Condition during Groundwater Drawdown Environment in Open-cut Type Excavation)

  • 한유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11호
    • /
    • pp.93-105
    • /
    • 2018
  • 지반 굴착에 따른 주변 지반의 침하 문제를 예측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반침하 위험인자의 정확한 조사와 해석이 필요하다. 지반침하 위험인자를 조사하기 위한 비파괴조사방법에는 여러 가지 물리탐사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물리탐사 방법에는 지하매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있으며, 실제 지반의 토질은 물리탐사에 영향을 주는 복잡한 요소들이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흙의 공학적 성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물리탐사 방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실제 복합지반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요소들을 고려할 수 있도록 Test Bed를 구축하고, 수치해석을 통해 지반거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통해 지반침하 위험인자 조사를 위한 한계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착식 굴착공사에 있어서 지반침하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발생 할 수 있으며, 특히 연약지반 조건일 경우에는 지하수위 흐름 변화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PR의 중심주파수 250MHz인 경우, 전기전도도가 높은 점토 지반에서는 전자기파의 감쇠가 심하게 일어나서 땅속 깊은 곳(지표아래 4m)까지의 투과를 어렵게 만들며, 지하수위 아래에서는 지하수면을 전자기파가 통과함에 따라, 전자기파의 감쇠가 심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착식 굴착현장의 GPR 탐사한계 분석기법 연구 (Analysis of GPR Exploration Limit of Open-Cut Type Excavation)

  • 한유식;김우석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47-53
    • /
    • 2017
  • 지반 굴착에 따른 주변 지반의 함몰 문제를 예측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반함몰 위험인자의 정확한 탐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지반굴착현장 주변의 거동 분석을 통하여 지반이완영역 분포를 분석하고 여러 가지 조건에서 GPR 탐사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 함수율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불포화 지반에서는 지층의 분포 및 이완영역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포화 지반에서는 GPR 탐사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가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Exploration on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f Adolescent Runaway)

  • 한상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273-29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가출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들의 문제행동 개입 과정과 양상을 분석함과 동시에 가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을 통해 가출의 의미와 원인, 최근 조사결과에 근거한 실태와 특징 등을 분석하고, 청소년 시기에 가출을 야기하는 위험요인(risk factors)이 무엇이며, 그리고 이들 위험요인에도 불구하고 가출로 인한 문제행동을 완충 또는 중재하는 보호요인(protective factors)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그 결과 먼저, 청소년 가출에 대해 이를 더 이상 청소년 개인의 문제로만 인식하지 않고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해야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부적절한 가정환경과 부모의 강압적인 양육행동, 부정적인 또래압력과 입시 스트레스 등이 가출의 주요 위험요인이라면 이들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 또는 중재할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 사회적 지지, 적극적 대처전략, 부모의 감시 및 통제, 자기 존중감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가출의 예방은 물론이고 가출 청소년들의 적응유연성(resilience)을 향상시킴으로써 비행 및 재 가출을 차단할 수 있는 처치 가능성을 높여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테러집단의 범죄 집단과의 결합현상(Crime-Terror Nexus)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탐색적 분석연구 (An explor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Crime-Terror Nexus)

  • 김은영
    • 시큐리티연구
    • /
    • 제37호
    • /
    • pp.83-108
    • /
    • 2013
  • 최근 들어 테러단체들의 범죄활동을 소위 "테러와 범죄와의 결합현상(the Crime-Terror Nexus)" 라고 명명하고 있다. 이 현상은 테러집단들이 새로운 변화에 발맞추어 진화되고 있는 테러리즘의 새 패러다임을 일컫는 개념이다. 즉, 서로 다른 배타적인 성격과 영역에 있다고 여겨졌던, 범죄 집단과 테러집단이 연합하거나 또는 두 집단이 하나의 집단의 속성을 띄도록 서로 수렴되고 있는 전이(transformation)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이 주목받아야 할 이유는 두 집단의 속성이 서로 합쳐져 하나의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이전의 테러활동의 수준을 벗어난 국제질서와 안보의 큰 위협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중동과 아프리카지역의 테러단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START center와 Minority at Risk 프로젝트의 MAROB(the Minorities at Risk Organizational Behavior) 데이터를 사용하여 테러의 새로운 진화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테러와 범죄의 결합현상이 가까운 미래에 가져올 위협과 문제점들이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의 부족과, 테러에 관련된 경험적 연구의 수행의 어려움 등을 고려해 볼 때, 이 연구는 테러리즘에 관련된 학문적 영역 모두에서 매우 큰 공헌점이 있다고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