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ce theory

검색결과 1,582건 처리시간 0.031초

도시농업 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가구 구성의 조절 효과 -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tention in Urban Agriculture - Moderating Effects of Household Type -)

  • 윤중환;허철무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9-313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tention in urban agricultur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e study wer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nd Pine and Gilmore's Experiencel Economy. The type of household composition was set as the moderating variable between thes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test the research model,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439 effective respondent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Educational experience factors, escapist experience factors, attitudes,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hich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o positive (+) influence participation intention in urban agriculture. In addition, the impact of their influence relationship was as follows :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 attitudes > escapist experience factor > subjective norm > educational experience factor.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household compos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educational experiences, escapist experiences, and subjective norm on participation intention in urban agriculture. Significant results were not tested on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attitude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articipation intention in urban agri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Relationships of Mood Disturbance, Symptom Experience, and Attentional Function in Women with Breast Cancer Based up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 Lee Eun-Hyun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28-736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rect, mediating, and moderating relationships of mood disturbance, symptom experience, and attentional function in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based upon a middle-rang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design. A convenience sample of 125 women receiving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was recrui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South Korea. The women completed questionnaires on mood disturbance, symptom experience, and attentional function using the Linear Analogue Self-Assessment Scale, the Symptom Experience Scale, and the Attentional Function Index, respectively. Results. Each mood disturbance and symptom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ttentional function. Symptom experience did not act as a mediator between mood disturbance and attentional function, but it did act as a moderator: patients with a higher level of mood disturbance exhibited a lower level of attentional function when their symptoms were at the level of medium, but not when their symptoms were either high or low.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clinical interventions for attenuating the influence of mood disturbance on attentional function may be effective only in women experiencing medium level of symptoms.

중년전업주부의 음주경험 (The Drinking Experience of Full-time Middle-aged House Wives)

  • 김지미;김성희;이정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732-742
    • /
    • 2002
  • There are few research on the social drinking experience reported by women.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ncreasing tendency of womens drinking experience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and delineate the drinking experience of full-time house wives base don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1998).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full-time middle-aged house wives who were living in Seoul regio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veral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until the theoretical saturation was achiev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generated a paradigm that the drinking experience of the full-time middle-aged house wives has a core category of 'free-oneself-from' and is also connected with mingling, anguish, accessibility, reaction of other people, change, personal resources, self-expression and building relationships by drinking. All processes from the occurrence of the central phenomenon to extinction are as follows; 1) Starting the process of the drinking experience for mingling and resolving anguish, and by having an easy accessibility; 2) Perceiving the process of reaction by other people, physical change of herself. and psycho-behavioral change; 3) Experiencing the process of free-oneself from thorough drinking; 4) Acknowledging the process of the resources for free-oneself-from; 5) Selecting the process of self-expression according to the resources; 6) Building the process of the relationship with drinking as a way of self-expression. Based on this paradigm, 4 hypothesis and 4 types are generated.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useful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the full-time middle-aged house wives and to provide them various methods of problem solving strategies. This study also proposes that there should be a strategic program for the women so that they could make a route for positive self-expression by achieving a proper relationship with drinking.

  • PDF

동남아국가 한류체험이 한국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Effect of Korean Wave(Hallyu) Experience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on Purchase of Korean Cosmetics: Focused on Malaysia and the Philippines)

  • 정문석;안은재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3호
    • /
    • pp.173-189
    • /
    • 2023
  • 해외에서 한류라 칭하는 콘텐츠 소비가 한국이란 국가 이미지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며 이는 제품 구매로 이어진다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고객과의 가치 관계로 연결하는 체험경제이론에 기반한 실증연구는 미미하였다. 그래서 본연구는 체험경제이론에 근거하여 한류 경험이 있는 말레이시아와 필리핀 거주 지역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 이미지와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체험경제이론을 바탕으로 말레이시아와 필리핀 거주 지역민 중 한류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 이미지와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로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과 일탈적 체험은 한국 이미지에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쳤으나 심미적 체험은 그렇지 못했다. 한국 이미지가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도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과 일탈적 체험에서 유의적 관계가 확인되었다. 두 국가를 비교하는 조절효과 분석에서 말레이시아는 일탈적 체험이 한국 이미지에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쳤지만, 필리핀은 오락적 체험과 교육적 체험이 한국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두 국간 차이가 있었다. 한국 이미지가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두 국가에서 유의적으로 확인되었으나 필리핀의 경우가 말레이시아의 경우보다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체험경제이론의 체계적 틀에 기반한 실증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한류 효과성의 지속을 위해서는 한류를 구성하는 콘텐츠의 다양한 개선이 요구되어 관련 당국의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고 콘텐츠 구성 시에는 개별국가의 각기 다른 한류 수용성을 고려해야 한다.

  • PDF

창업경험과 창업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사회인지적 요인의 매개효과 및 성별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Mediation Effect of Social Cognitive Attributes)

  • 박정현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3호
    • /
    • pp.51-76
    • /
    • 2022
  • 창업의도(Entrepreneurial intention)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혀내는 것은 창업가를 양성하고 국가 내 기업가적 혁신이 활발히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데 있어서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일이다. 그동안의 연구들이 사회인지 속성을 예측인자로 활용해 창업의도 혹은 기업가적 활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주로 제시해왔지만, 이러한 사회인지 속성들이 무엇에서 비롯되는지 근본적 요인에 대해서는 기업가정신 분야에서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회인지이론과 스키마이론을 기반으로 개인의 창업경험(Entrepreneurial experience)이 사회인지 속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선행요인임을 가정하며, 경험이 창업의도를 어떻게 형성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밝힌다. 이를 위하여 기업가의 창업경험이 사회인지이론에서 창업의도를 형성하는 주요 변수로 꼽히는 기업가적 자기효능감(Entrepreneurial Self-efficacy), 기회인식(Opportunity recognition), 실패두려움(Fear of failure)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이러한 요인이 어떻게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이와 함께 창업 경험과 창업의도 사이에 이어지는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러한 사회인지속성이 어떤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성별에 따라 생물학적 차이 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호 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사회적 차이, 그리고 인지적 차이가 만들어지는 점을 고려, 성별에 따라 개인의 창업경험이 사회인지 속성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분석한다.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GEM)의 87개국의 25,047명 기업가 데이터에 기반한 계량 분석을 한 결과, 창업경험은 기업가적 자기효능감과 기회인식을 높이고, 실패두려움은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사회인지속성은 창업경험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도 유의해, 남성과 여성은 창업경험으로부터 창업의도가 형성되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기업가 정신 분야의 선행연구에서 과거 경험의 역할은 중요하지만 충준히 다뤄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창업경험의 매개효과 및 성별의 조절효과를 통해 창업의도 형성의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암환자의 통합의학 치료경험 -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 (Integrated medical treatment experience of cancer patients -grounded theory around-)

  • 문준석;신헌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07-119
    • /
    • 2017
  • Purpose : Recently, cancer has become a chronic disease that requires supervision because of early diagnosis and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technology. As a result, cancer patients are interested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lives besides the treatment of cancer itself.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qualitative research to understand the vivid experiences of cancer patients and structure their treatment experience. Among qualitative researches, grounded theory is develop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in the field.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 is easy to analyze for the process and structure of the treatment experie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integrated medical experience of cancer patients Methods : Participants were conveniently selected, and the criteria for selection were for those who had more than 1 month of hospitalization so that they could dictate their situation and experience in a meaningful manner.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continued until the data were saturated through theoretical sensitivity and continuous comparison metho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open-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on coding, which are the research methods of grounded theory. Results : Cancer patients differ in their path, purpose, and attitudes depending on their respective situations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of individuals.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ir situation among the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Cancer patients were shown to recognize and cope with problems in the integrated medical treatment process, and have been classified into 6 different types after the results. Cancer patie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terms of physical, emotional, and lifestyle after their integrated medical treatment. Cancer patients perceived the integrated medical treatment process as a horizontal relationship structure and with diversity. Conclusions : The experience of integrated medical treatment of cancer patients is a process of rehabilitation that heals the body and restores life within the interaction of support system, contextual situation, and internal resources of the individual. Despite this, there is a need not only for the efforts of integrated medical service providers but also institutional support in the future with regards to the current weaknesses and points for improvement.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n objective criterion to measure the outcome of integrated medicine for the standardization of integrated medical services.

수학체험교구 개발 모형 및 이를 적용한 최대공약수 교구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Tools for Math Activities & it's Application)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587-603
    • /
    • 2020
  •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중요한 수단이자 교육적 도구인 수학체험교구를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최근 활동이론(action theory)에 근거한 수학교육이 강조되면서 다양한 수학체험교구가 개발되고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비교과활동을 통해 활용되고 있지만, 실제 수학수업에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구로 수학체험교구가 개발되어 활용되는 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수학과 교육과정에 부합되고, 수학적 근거가 명확한 체험교구는 체계적으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체험교구를 개발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으로 체험교구 개발 모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개발 모형에 따라 최대공약수 체험교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모형과 실제 구현된 체험교구를 통해 다양한 수학체험교구의 개발이 실제적으로 실행되고, 수학적 기초에 근거한 수학체험교구가 다양하게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질병 적응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Peoples' Adaptation Experience with Fibromyalgia Syndrome)

  • 정추영;김명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81-393
    • /
    • 2016
  • 본 연구는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통해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질병경험과 적응과정을 파악하고 이해하여 실체이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1개의 종합병원 류마티스 내과 외래에서 섬유근통증후군를 치료 중인 13명(여성 12명과 남성 1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4년 1월부터 5월까지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론적 표본추출법은 이론적 포화의 시점을 적용하였다. 필사된 면담의 내용은 Corbin과 Strauss (2008)의 근거이론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을 통해 총 98개 개념과 26개 하위범주, 10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질병 적응과정은 '불확실성과 한계상황인식'과 '자기통제 가능성 평가와 기대수준 결정', '적응전략 개발과 시도', '자기조절'의 4단계로 나타났다. 섬유근통증후군환자의 질병적응 유형은 확장형과 안정형, 표출형, 위축형의 4가지 유형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핵심범주인 '자기조절법 터득하기'로부터 '보호적 자기조절' 이론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섬유근통증후군 환자들은 질병으로 인해 불확실한 상황에서 안정상태를 찾기 위해 자기조절을 반복적으로 활용하여 적응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대상자들의 질병 적응 유형에 따른 적합한 간호중재 및 가족을 포함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손자녀를 돌보는 외할머니의 양육경험: 근거이론적 접근 (Grandmothers' Experience of Child Care with Grandchildren: A Grounded Theory Approach)

  • 원미라;이선희;김현경;유혜영;박정욱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9-49
    • /
    • 2012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grandmothers' experience of child care with grandchildren to understand how it affects their stage of life based on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Methods: This study used grounded theory, a method of qualitative study,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grandmothers who have reared their grandchildren for at least 6 months and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fter listening to an explanation. Resources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dictated. Results: The core category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as "solidifying the family relationship". There were five steps in the process of "solidifying the family relationship". The first step of process was "affection motion" of rearing to help their daughters. The second step was "conflict" due to physical constraint and burden of child care. The third step was "acceptance" based on compensation and support and the fourth step was "development" in search of their ego. The last step was "integration" of family relationship.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 to grandmother to care for their grandchildren according to the five steps of grandmother's child care experience process.

  • PDF

자아효능감이 게임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ffect of the Equity and the Cognitive Performance on the Flow Experience of the Game playing)

  • 최동성;김진우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87-96
    • /
    • 2009
  • 몰입이론과 관련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사람들이 어떤 일에 대해 최적의 경험을 하기 위해서 는 도전감(Challenge)과 능력(Skill)이 높았을 때라고 한다. 그렇다면 몰입이론의 능력(Skill)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교육학에서 다루고 있는 자아효능감(Self-Efficacy)이론을 토대로 몰입이론에서 말하는 능력(Skill)에 대해 재해석하고, 실제 자아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게임의 요소와 자아효능감이 몰입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몰입에서의 능력(Skill)은 주관적 자기 능력의 의미로써 자아효능감과 동일한 개념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설문결과 게임의 보상에 대한 형평성과 타인의 긍정적 평가가 자아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 몰입의 경험을 하게 된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플레이어에게 몰입의 경험을 높게 제공하기 위해 자아효능감을 어떻게 게임 요소로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