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ce theory

검색결과 1,585건 처리시간 0.034초

인적자본은 언제 기업의 혁신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 국제화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When Does Human Capital Facilitate the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national Experience)

  • 권순환;권종욱;신만수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1권3호
    • /
    • pp.47-61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pecific, general human capital and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Also, we examine when this relationship is more sali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 We collected 1,195 survey data related to a sample of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and human capital from 1) Korea Research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2) NICE information service in Korea. In order to examine the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we use the ordered logit model. Findings - First, we find robust supports for our hypothesis that firm-specific and general human capital increase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Second, the effect of general human capital on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is stronger when this relationship is combined with the firm international experience.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By integrating the human capital theory and corporate innovation literature, we propose that firm-specific and general human capital are the important determinant of innovation performance. The firm-specific human capital may increase innovation efficiencies. Also, retaining higher-quality general human capital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innovation strategy since firms with higher-quality general human capital make greater innovation performance. Further, we show that the firm international experience is the crucial boundary condition. As a firm's experience in internationalization increases, firms can enhance the opportunities to develop new products by combining the skills and knowledge derived from general human capital with the experience gained through internationalization.

근거이론을 통한 수학학습의 성공경험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successful experience in mathematics learning based on grounded theory)

  • 김홍겸;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4호
    • /
    • pp.491-513
    • /
    • 2023
  • 수학학습에서 좋은 학업성취를 내는 것은 인지적 요인, 정의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지금까지 수행된 다수의 선행 연구들에서 수학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요인들이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수학학습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변인을 제한하여 연구를 수행했기에 학습자의 관점에서 수학학습에 있어서의 좋은 성취를 얻기 위해서는 어떠한 점이 필요한지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결과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학습에서 성공을 경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수학학습에서 성공을 경험한 학생들이 어떠한 경험의 과정을 겪었는지를 근거이론의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수학학습의 성공 경험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새로운 국면 단계', '경험 축적 단계', '견디기 단계', '유지 노력 단계'의 과정을 거쳐 성공적인 학습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수학학습에서 성공을 경험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수학학습에서 성공을 경험하기 위해 어떠한 행동이 필요한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임신부의 정보추구 경험 - 정보추구의 구조와 과정 - (Pregnant Women's Information Seeking Experience : Structure and Process of Information Seeking)

  • 김갑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3-37
    • /
    • 2006
  • 본 연구는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임신부들의 정보추구경험과 관련된 제 개념 및 이들 개념들 간의 관계 규명을 통하여 임신부의 정보추구에 관한 구조와 과정을 밝힌 연구이다. 이론적 표집에 의해 16명의 임신부들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면담을 수행하였고. 면담데이타는 근거이론의 지속적인 비교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임신부의 정보추구의 발생원인은 임신의 수용으로 나타났다. 임신부들은 지각된 불안과 궁금증의 맥락에서 임신의 정상상태 유지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산전 진단데이타 추구하기. 표준지식 추구하기, 경험담 추구하기와 정서적 지지 추구하기의 작용/상호작용적 정보추구 전략을 취하였으며, 비교하기, 맥락화 하기, 확인하기의 정보추구의 과정들을 거쳐 갔다. 이때, 정보 획득방법 인지, 임신 출산의 선행지식, 자아조절, 정보접근환경이 중재조건으로 작용하였다. 그 결과 충족과 불충족을 경험하였다. 또한 임신부들은 임신의 과정동안 정보요구의 변화 발전에 따라, 수용국면, 적응국면, 구체국면, 전환국면을 통과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밝혀진 정보추구의 구조와 과정을 통합하여 임신부의 정보추구행위를 총체적으로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가상 휴먼 강사의 인간 유사도가 교육 콘텐츠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체험경제이론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Virtual Human Lecturer's Human Likeness on Educational Content Satisfaction: Focused on the Theory of Experiential Economy)

  • 공리;배수진;권오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524-539
    • /
    • 2022
  •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가상 휴먼 제작이 가능하며, 텍스트 정보만으로도 가상 휴먼에 의한 강의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이로써 가상 휴먼이 교육 콘텐츠의 효율적 작성과 수강자들의 재미와 만족감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가상 휴먼 기술이 수강자들의 만족감에 이르도록 하는 과정을 본격적으로 실증한 연구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 휴먼의 가장 주된 특징인 인간 유사도가 인간의 체험 및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언캐니밸리 이론의 인간 유사도를 시각 및 언어 차원의 유사도로 분류하였으며, 체험경제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만족감에 도달하는 과정을 부분 최소 제곱 구조방정식 모형(PLS-SEM)으로 분석해 가설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국의 전문 조사 기관의 직장인 패널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수행했다. 분석 결과 가상 휴먼의 시각적 차원의 인간 유사도 및 언어 차원의 인간 유사도는 모두 체험경제 요소(교육, 오락, 심미, 일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이들 체험경제 요소는 모두 만족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가상 휴먼에 의한 교육 콘텐츠 설계 시의 유의할 점 등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건강관련 식품표시가 구매 전 품질평가와 제품 사용 및 구매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획적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Effects of Health-Related Food Labeling on Quality Assessment Before Purchase, Attitudes towards Using and Purchasing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전상민
    • 소비문화연구
    • /
    • 제15권3호
    • /
    • pp.67-90
    • /
    • 2012
  • 소비자는 건강식품을 구매할 때, 건강관련 식품표시 뿐 아니라, 제품의 맛과 가격을 함께 고려하고, 과거구매경험과 주변 사람들의 의견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계획적 행동이론의 모형에 맛, 건강 기대도와 가격수용도 등의 구매 전 품질평가 변수와 제품사용태도, 과거구매경험 변수를 추가하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제품 선택 시 건강관련 식품표시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건강관련 식품표시는 유기가공표시, 영양강조표시, 식품첨가물표시로 구성하였고, 자녀용으로 슬라이스 치즈를 월 1회이상 구입하는 기혼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건강관련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은 맛과 건강에 대한 기대와 가격수용도를 높여 제품사용 및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건강관련 식품표시를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별도의 품질평가 없이 제품사용에 대한 호의적 태도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수용도는 제품사용 및 구매태도에, 과거구매경험은 제품사용 및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쳐 계획적 행동이론 확장모형의 주요 변수로 파악되었다. 또한,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제품구매태도로 나타났고, 지각된 행동통제의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계획적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맛, 가격 등 구매 전 품질평가와 과거구매경험 변수를 포함하여 건강관련 식품표시와 제품선택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틀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 소비경험에 대한 연구: 사회표상이론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Paid Virtual Live Stream Concert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Representations Theory)

  • 박현진;정윤혁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77-101
    • /
    • 2023
  •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오프라인 현장콘서트의 대안적 공연형태이자 새로운 수익모델로서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가 등장하였으며, 계속해서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지만, 이들의 콘서트 소비 및 참여경험을 상세하게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표상이론(social representations theory, SRT)을 바탕으로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 참여자들의 소비경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C-P-N-D(Content-Platform-Network-Device) 모형에 기반한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의 특징 차원의 요소와 관람자의 인식 차원의 요소들을 탐색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개방형 설문에 대한 239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SRT에 기반한 핵심-주변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유료 온라인콘서트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과 네트워크 및 기기 차원의 특징들이 유료 온라인콘서트의 핵심적 사회표상 요소로 제시되었으며, 콘텐츠와 플랫폼 차원의 요인들이 주변부 요소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안적 매체로 부상하는 유료 온라인콘서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고하고, 참여자들의 소비 및 관람 경험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이론 및 실무적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다.

라이프스타일 숍의 체험 요소가 스토어 아이덴티티, 쇼핑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perience Elements on Store Identity, Shopping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Lifestyle Shops)

  • 우승현;황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85-700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xperience elements on store identity, shopping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lifestyle shops. The respondents of the study were 300 adult males and females who visited lifestyle shop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8.0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AMOS 18.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experience elements: entertainment, education, escapist, and esthetic. The experience elements are based on Pine & Gilmore's Experience Economy Theory. The result of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 entertainment experience and escapist experienc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store identity. Store identity positively influenced shopping satisfaction, but i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Shopping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he indirect effect analysis showed that the entertainment and escapist experience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shopping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mediated by store identity. The store identity had an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mediated by shopping satisfaction. This study provides helpful information to domestic lifestyle brands for the establishment of a competitive store identity strategy by implementing the important store experience elements of lifestyle shops.

로컬푸드 문화체험이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의 지각적 가치를 매개변수로 (How does the Cultural Experience of Local Food Effect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Royalty?)

  • 김미홍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6호
    • /
    • pp.103-115
    • /
    • 2018
  • 최근 글로벌 푸드 시스템의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세계적으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농업문제와 식품안전문제, 그리고 로컬푸드에 관한 관심이 지자체를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농촌 벤쳐 창업의 대표적인 아이템으로 자리 잡고 있는 로컬푸드와 관련된 매장체험을 포함한 교육, 현장체험, 식생활 교육 등 제반의 문화 체험요인이 소비자의 지각된 인지적 가치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보고, 고객의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로컬푸드 문화를 체험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Pine &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에서 제시된 5가지 요인(감각적 체험: 교육체험, 감성체험, 오락체험, 일탈체험, 물리적 체험: 환경적 체험) 중, 오락적 체험요인과, 환경적 체험요인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두 가지 요소의 요인별 체험에 의하여 소비자가 지각하는 로컬푸드에 대한 만족도와 충성도가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를 살펴본다. 특히, 단순 매장납품에 집중된 로컬푸드 벤쳐 창업 전략을 로컬푸드와 관련한 소비자교육 등 다각적인 문화적 체험요소와 소비자의 지각적 가치에 의한 매개효과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로컬푸드에 대한 거버넌스 정책의 활성화와 농촌지역의 경제가치 창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경이론으로서의 환경미학 (Environmental Aesthetics as a Landscape Architectural Theory)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9-106
    • /
    • 1998
  • This essay addresses the role of environmental aesthetics in landscape architecture : how can environmental aesthetics enrich landscape architectural theory and practice\ulcorner It begins by criticizing the predominant notions toward theory : theory as an instrumental design method, theoretical vacuum in modernism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intimate relation of theory and practice in 18th-century England. It suggests that the expulsion of theory in landscape architectural academics and profession is nothing but an inappropriate bias. In the second place, the essay explores a remaining question : why environmental aesthetics is a part of landscape architectural theory\ulcorner I would argue that environmental aesthetics can transcend the man-nature(subject-object) dichotomy, one of heritages of Western modernity project. Here, landscape architecture meets environmental aesthetics, and both can intermediat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For landscape architecture is (and ought to be) a device of embodied communication, creating symbolic settings wherein an interconnection of man and nature can occur. Finally, this essay examines the aesthetics of engagement that Arnold Berleant claimed recently. This theory of aesthetic experience has a possibility of making corrections some improper conventions in landscape architectural creation and appreciation : disinterested contemplation, visual-orientedness, decoration-denteredness, and so forth. I would conclude that environmental aesthetics can be a significant theory which can correct misconceptions in landscape design and appreciation and, further, can lead contemporary practice. As the great mediator between man and natur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environmental aesthetics has a profound role to play in the realm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vice versa.

  • PDF

E-customized Product: User-centered Co-design Experiences

  • Li, Pei;Liu, Zi Y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9호
    • /
    • pp.3680-369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ient users' touchpoints in co-design experience, to identify their need via visualized experience map, to recommend valid design information in online e-customization services. A user-centered co-design experience map (UCEM) is adopte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users' desire and time spent, so as to evaluate the online co-design experiences. Based on evolutionary algorithm and fuzzy theory, data of this study is collected from 30 participants.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in SPSS, and frequency query and word cloud in NVivo. Employing design category and evaluating users' time spent, the findings are that (a) vamp color matching is consistent with interview data; (b) supported by qualitative feedback, the virtual experience map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o-design process and the visualized interaction process; and (c) participants prefer to get more information and professional help on color matching and exterior design. Based on the findings in design category, future work should be focused on develop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design resource recommendations and multi-stakeholder commun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