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hibition Pavilio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9초

1914년 독일공작연맹 전시회 유리산업전시관의 근대건축사적 의미 -브루노 타우트(Bruno Taut)의 유리집(Glashaus)- (A Study on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Pavilion for the Glass Industry in the German Werkbund Exhibition 1914 -Bruno Taut's Glashaus-)

  • 이재익
    • 건축역사연구
    • /
    • 제13권4호
    • /
    • pp.75-88
    • /
    • 2004
  • The German Werkbund, which was founded in 1907,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Its exhibition 1914 in Cologne is estimated as a meaningful event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architecture. Especially two examples, among which were built at that time, are worthy of notice. The one is the 'Modelfactory' by Walter Gropius and the other 'Glashaus' by Bruno Taut. Generally in the Textbook on the 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the Taut's Glashaus is rarely mentioned or described as a early example of some expressionistic architecture, while the Modelfactory by Gropius is regarded as an essential workpiece in the early stage of modern movement. the time of searching alternative not only from rationalistic modernism but also postmodernism and today in the time of plurality, Taut's Glashaus could bring us more interesting and meaningful aspects in architectural design. Through investigating the background in the planning stage and analysing the composition of space, construction, circulation etc. it is to try to understand the building as really as what it was. Furthermore, historical meanings of the building in the modern architecture is reinterpreted in the following aspects; what should be reflected in architecture and how could 'Zeitgeist' be architecturally adopted?

  • PDF

16세기(十六世紀)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畫) 이해의 확장 : <경포대도(鏡浦臺圖)>, <총석정도(叢石亭圖)>를 중심으로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Sixteenth-century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 Gyeongpodae Pavilion and Chongseokjeong Pavilion)

  • 이수미
    • 미술자료
    • /
    • 제96권
    • /
    • pp.18-53
    • /
    • 2019
  •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이 기증을 받아 "우리 강산을 그리다: 화가의 시선, 조선시대 실경산수화" 특별전(2019년)에서 처음으로 공개한 작품인 <경포대도>와 <총석정도>는 조선시대 회화사 이해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매우 지대하다. 두 작품이 1557년의 관동 유람을 계기로 그려진 병풍의 일부였음을 알 수 있어서 16세기 산수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획기적인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중요성을 밝히기 위해서 본고에서는 <경포대도>와 <총석정도>에 담긴 경물의 내용을 살펴보고 제작시기와 양식상의 특징을 분석한 후, 다른 작품과의 비교를 통해서 이 작품에 담긴 회화사적인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 작품의 제작 배경은 <총석정도>의 발문으로 알 수 있다. 본고에서 박충간(朴忠侃)(?~1601)으로 비정한 정상일로(商山逸老)가 1557년 봄에 홍연(洪淵)(?~?)과 함께 금강산(풍악산)과 관동 지역을 유람하고 유산록(遊山錄)을 작성하였으며 시간이 흐른 뒤 그중 몇몇 명승지를 그려 병풍을 만든 것을 알 수 있었다. 홍연은 자가 덕원(德遠)으로 1551년에 별시문과에 급제하고 1584년까지는 생존했던 인물이다. 박충간은 호가 남애(南崖)로서 1589년 정여립(鄭汝立)의 모역을 고변하여, 그 공으로 형조참판으로 승진되고 평난공신(平難功臣) 1등에 책록된 후 상산군(商山君)에 봉해진 인물이다. 이 글로 작품의 제작 시기를 1557년의 유람 후이자, 발문을 쓴 박충간이 50대 이상이 되는, 1571년 이후 곧 16세기 후반경으로 보았다. 산수나 나무 표현 등의 화풍을 기준으로도 16세기 후반의 시대 양식과 부합한다. 전술한 발문의 내용으로 <경포대도>와 <총석정도>가 병풍의 일부였던 것을 알수 있으며, 발문이 써 있는 <총석정도>가 마지막 폭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경포대도>를 보면 구도면에서 조선 초기 안견파(安堅派) 산수화에서 볼 수 있는 편파(偏頗) 3단 구도의 요소를 찾을 수 있으나 실경(實景)을 대상으로 하여 그 배치와 화법이 현실화된 양상을 볼 수 있다. 시점(視點)에 있어서도 여러 경물간의 관계나 경관의 특징이 효과적으로 표현되도록 사선각(斜線角)의 부감시(俯瞰視), 정면시(正面視) 등을 활용하여 경포대의 넓은 영역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다각적(多角的)인 관점(觀點)을 보여준다. 산의 형태나 태점(苔點)의 사용은 1557년작 <의순관영조도(義順館迎詔圖)>(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와 매우 유사하다. 16세기 안견파의 특징인 짧은 선이나 점으로 질감을 내는 단선점준(短線點皴)과 구름 모양 운두준(雲頭皴)은 현장감 있게 변모되었다. 조선 초기 산수화의 전통적인 구도와 연결성을 찾을 수 있는 <경포대도>와 달리 <총석정도>는 그 구도가 매우 파격적이다. 화면에 중심축을 두고 돌기둥들이 첩첩이 도열하여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데 근경(近景)의 돌기둥, 중앙의 사선봉(四仙峯), 절벽 위의 사선정(四仙亭)을 삼단계 정도의 깊이감으로 배치하여 화면에 공간감을 조성하였다. 중앙의 사선봉이 화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비중을 점하고 있으나 수직적인 돌기둥들이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분질적(分節的), 평면적(平面的)인 양상으로 그려져 아직 입체적이고 자연스러운 공간감을 조성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기둥의 아랫부분은 희게 하고 윗부분은 어둡게 하여 고원(高遠)의 상승감을 고조시키는 효과가 있는데 각 기둥을 묘사하는 준법을 보면 기둥으로 설정된 면에 담묵을 바르고 그 위에 농묵의 가는 선들을 그어 총석의 질감과 쪼개짐을 묘사하였다. 붓끝을 사선으로 누르며 수직으로 내려 긋고 있어서 부벽준(斧劈皴)의 초기적 양상을 보인다. 일관되게 보이는 이러한 흑백의 대조, 수직적 준법의 구사는 앞으로 전개될 절파계(浙派係) 화풍의 유행을 예시해준다. 한편 기둥의 윤곽 및 균열문이 각각 다 달라서 실제의 특징을 살리려고 한 것을 알 수 있다. 기둥 위에 올라앉은 새들의 묘사, 파도와 흰 거품의 표현 등에서 반복적인 붓질을 찾을 수가 없고 매우 생생한 묘사력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경포대도>와 <총석정도>의 경물 배치는 이후 변화를 보인다. <경포대도>는 아래쪽에 죽도(竹島)를 두고 경포호를 넘어 위쪽에 위치한 경포대 건물과 오대산 일대를 올려보는 구도였다. 이러한 배치는 경포대를 화면 아래쪽에 두고 위쪽의 바다를 향하는 18세기 이래의 전형적인 구성과 차이를 보인다. 바다 쪽에서 총석을 바라보며 그린 <총석정도> 역시 이후의 작품에서는 내륙에서 바다를 향하는 것으로 관점의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정선(鄭敾)(1676~1759)과 김홍도(金弘道)(1745~1806 이후)의 작품이 제작된 이후, 두 사람의 구도를 따라 관동도의 유형이 정착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사라진 듯 했던 16세기 <경포대도>의 구도가 조선 말기 <강릉 경포대도>에서와 같이 민간 회화에서 전승된 것도 확인해 볼 수 있다. 관동 지역의 명승도는 이른 시기부터 그려져 고려 김생(金生)(711~?)의 관동도(關東圖), 조선 초 안견(安堅)(15세기 활동)의 낙산사도(洛山寺圖) 등 여러 화가가 단폭이거나 여러 폭의 관동도를 병풍이나 첩 형태로 그렸던 것을 문헌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기록은 많으나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작품이 없었는데 본고에서 고찰하는 이 두 점은 현존하는 관동도 중 연대가 가장 올라가는 예로 기록으로만 남아 있는 관동도(關東圖) 병풍(屛風)의 제작 양상을 알게 해주어 회화사적인 의미가 크다. 특히 발문의 내용에 따라 8폭 병풍일 것으로 생각되어 16세기 후반에 이미 관동팔경도(關東八景圖) 형식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성격에 있어서 현존하는 16세기 실경산수화의 예로 거론되는 작품들이 모두 실용적, 공적인 목적의 계회도나 기록화로 제작되어 실경산수화적 요소가 부분적으로 나타난 것과 달리 이 작품은 실제 경관을 대상으로 자연의 변화무쌍함과 아름다움을 담고자 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적이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발문을 쓴 박충간은 유람할 때 지었던 감상시를 곁들여 자연의 진면목을 반추하는 태도를 보인다. 이 점은 기존에 알려진 실경산수화의 성격과 그 양상을 달리하는 것으로 순수 감상을 목적으로 한 본격적인 실경산수화의 예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높다. 이처럼 <경포대도>와 <총석정도>의 두 작품은 유람의 결과를 시화(詩畫)로 제작하였다는 역사적 사실을 현존 작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이른 예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지대하다. 또한 그간 확인할 수 없었던 16세기 실경 산수화의 다양한 형태와 구도 및 시점의 면모를 보여주어 한국 실경산수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한 점에서도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국내 문학관 건축의 유형과 공간.형태구성 특징에 관한 연구 -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ttern of Domestic Literature Museum and the Space.Form Composition Characteristic - Focused on Gyeongsang-do region -)

  • 장훈익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69-77
    • /
    • 2011
  • This study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 through the present state of domestic literature museum and grouping by type to help the understanding for domestic literature museum. And conducted a case study on Gyeongsang-do region literature museum to grasp the space form composition characteristic of literature museum. The result gained through these studies is as follows. First, grouping domestic literature museum by type, we can conduct the classification founded on location character, an exhibition writer, and the main body of erec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econd, the classification founded on location character of literature museum is able to be divided into the type of the house of writer's birth, a literary work, writing, and etc. Third, the classification founded on the number of exhibition writers can be divided into the type of independence, an individual pavilion, and integration. Fourthly, the classification founded on the main body of erection and management can be divided into the case in which a local self-governing body is wholly in charge of erection and management, a local government is in charge of erection but entrusts management to a corporate body, etc., a corporate body is in charge of erection and management, and a private person is in charge of erection and management. Fifthly, speaking of the characteristic by type of the Gyeongsang-do region literature museum, the classification founded on location has the type of the house of writer's birth the most, the classification founded on the number of exhibition writers has the type of independence the most, and the classification founded on the main body of erection and management has the most the type in which a local self-governing body is in charge of erection and management. Also, for the characteristic by space form, the case which expresses the character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by form is many the most, and there are pieces of work to pursue shape beauty through the articulation of mass or molding manipulation and the change by space form through the proper combination of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as well.

디지털파빌리온 전시공간계획 (A Exhibition Design of Digital Pavilion in DMC)

  • 권순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0-213
    • /
    • 2007
  • The direction of this project is creates a future and it experiences ubiquitous world. The subject of the space is 'Ubiquitous Creative World' which Imagining the past becomes actuality and imagining in future become actuality and future when it will approach at once. The storyline of this space is as belows; 1 Zone - Ubiquitous life Gallery : it will be able to experience the future world ; home, office, street, school and the others. 2 Zone - Interactive Play Gallery : it will be able to explore the interactive media with information technology ; digital cafe, imagining jump, digital art and the others. 3 Zone - New product and Business Gallery : it composed with business, new product, and demonstration gallery such as public information space. The space concept makes connection and concentration which uses unit and line for world which becomes accomplished by the network. Connection of digital and the human being to make the center of new digital life.

  • PDF

선전과 소통 : 루치아노 발데사리의 브레다 전시관 계획에 관한 고찰 1951-1963 (A study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Luciano Baldessari's Pavilion Architecture for Breda)

  • 김일현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6호
    • /
    • pp.67-86
    • /
    • 2008
  • Main theme of this paper is the evaluation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Luciano Baldessari's exhibition works mainly during the Fift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formal and logical basis of those project, his relationship with the historical Avant-gardes and the consequences expressed in his pavilion projects for the Breda Industrial Company are analyzed. The first part focuses on the influence of Italian Futurism, German Expressionism and Italian Rationalism on the formation and experience of Baldessari during the interwar years. The encounter with these movements determine the interest but also the principles along which Baldessari represents his idea of object, space and place. Specially his professional activities during Fascism would determine his attitude toward political power and the necessity of autonomy in artistic sphere. In the second part, different themes that Baldessari affronted in each project of Breda Pavilions is analyzed. Another important issue regard the historiography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Often, many important works that lies in the threshold of the disciplines such as painting and sculpture and media art were excluded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just because they do not deal with the architectural object. Recently, many elements such as theatrical project and temporary objects are considered as part of urban reality and architecture with acknowledgment of their capacity to create event and situations. Along this thought, not just the reconfiguration on the territory of architecture in present but also the criterion to evaluate the past history of architecture is changing drastically. This study on the pavilions of Baldessari intends to contribute indirectly on the current issue of dominion of architecture, but also to evaluate objectively recent architecture. Consequently, architectural protagonists such as Baldessari and their ephemeral projects would be evaluated compressively in their multiplicity of significance.

  • PDF

2014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에 나타난 환유적 리얼리즘 (The Metonymic Realism of the 2014 Venice Biennale of Architecture)

  • 박영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3-23
    • /
    • 2016
  • 2014 Venice Biennale of Architecture, presented by general director Rem Koolhaas, has shown the distinct difference between his present displays and past displays. Under the theme of FUNDAMENTALS and ABSORBING MODERNITY, Rem Koolhaas has developed his own unique way which is a research-oriented display technique to explain the difference at the exhib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 research-oriented display technique as realism rhetoric for the opened dialectic and identify its aspect of a methodic approach. This report investigated not only Rem Koolhaas's thought and theoretical approach through his work but also the comparison of between his present and past displays. His display is based on the constellation of Central Pavilion, National Pavilions, and Arsenale display and reflected the reality of architecture in self-deception through the metonymical interaction of various facts and records. Rem Koolhaas called it the composition of contradiction. In his work, the spatial situation which is the present has been made with the intervention of historical events and has revived the reality of architecture. Also, the present is a montage of the strict control of architecture, the isolation from the architecture itself, and the autonomic communication with other fields. Finally, as a result of his work, Rem Koolhaas has shown that his display is not the end of phase but a phase of creation.

김택영(金澤榮)의 1909년 귀국(歸國)과 안중식(安中植) 필(筆) <벽수거사정도(碧樹居士亭圖)> (Kim Taek-yeong's Return to Korea in 1909 and Scholar Byeoksu in a Pavilion by An Jung-sik)

  • 강민경
    • 미술자료
    • /
    • 제99권
    • /
    • pp.30-49
    • /
    • 2021
  • 심전 안중식(1861~1919)이 그리고 창강 김택영(1850~1927)이 제시(題詩)와 기문(記文)을 지었으며 석운 권동수(1842~?)가 글씨를 쓴 <벽수거사정도>는 2018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린 "대한제국의 미술: 빛의 길을 꿈꾸다"에서 처음 세상에 공개되었다. 이 작품은 안중식의 드문 실경산수이며, 20세기 초 서울 상류주택의 면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그러나 또한 이 작품이 당시 지식인의 교유 관계를 단적으로 드러낸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 없다. <벽수거사정도>를 그리게 한 벽수 윤덕영(1873~1940)은 순종비 순정효황후 윤씨(1894~1966)의 백부이자 훗날 국권피탈에 일조한 인물이었다. 순종이 윤덕영에게 "벽수거사정"이란 현판을 하사하자, 그 기념으로 윤덕영이 만든 작품이 바로 <벽수거사정도>이다. 한말(韓末) 한문학의 대가로 꼽히는 김택영은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기 1달 전 가족을 이끌고 청의 강소성(江蘇省) 남통(南通)으로 망명을 떠났었는데, 1909년 다시 한국에 돌아왔다. 그의 귀국에는 이재완(1855~1922)과 윤덕영 등이 깊이 관여하고 있었다. 김택영은 역사서 편찬을 위한 자료수집의 목적을 품고 귀국하였지만, 그와는 별도로 평소 알던 사람들, 새롭게 알게 된 이들과 끊임없이 만나며 교유하였다. 그 범위는 서울을 넘어 지방에 살던 인물, 나아가 일본인에 이르기까지 매우 넓었다. 이는 당시 시문을 매개로 교유하던 지식인들의 관계망이 있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것은 그들의 정치적 성향이나 신분, 국적과는 별개로 작동하고 있었다. <벽수거사정도>는 그러한 19세기 말~20세기 초 지식인 사이에서 일어났던 지적 교류의 한 면모를 보여주는 작품이라는 점에서도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루이지아나 현대미술관에 나타난 공간경험 및 설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Experience and Design Characteristics in Louisiana Museum of Modern Art)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44-52
    • /
    • 2011
  • Louisiana Museum of Modern Art near Copenhagen is the most visited art museum in Denmark. It was originally founded by the director of the time, Knud W. Jensen and designed by two Danish architects, Vilhelm Wohlert and J${\o}$rgen Bo. The first part of the museum was built and opened to the public in 1958. The first part consisted of just a few exhibition spaces and glass corridors. But museum has been expanded step by step into a large park-like museum throughout 40 years of time. Louisiana museum has a unique environment in which art, architecture and nature are inter-related together. There was a very clear background for this museum atmosphere that was created by Knud W. Jensen from the very beginning. He wanted to make 'a sculptural park' or 'a low pavilion in the park'. The concept of 'park' was the key element. The architects, especially Vilhelm Wohlert who studied at the western area of the United States and influenced by the bay area architecture as well as the oriental wooden structure, interacted with the director's idea fully and made an invisible architecture in which 'Experience of Space'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This thesis aims to analyze several crucial spaces of the museum and to find a hidden design characteristics. Chapter 2&3 explains general backgrounds and main design philosophy. Chapter 4 studies each parts' spatial experience and design methods with 3-dimensional diagrams. Chapter 5 tries to make an overall design characteristics that underlines the whole museum environment. The significance of Louisiana museum is not only in the fact that it is the most visited, but also in the fact that the role of architecture is to make a better environment where human and art are harmonized together within nature. The utopian idea of the founder started in doubt almost 50 years ago has been already successful in this small but vibrant park.

박람회장 공간의 특수전시 연출 및 기획에 관한 연구 - 대전 엑스포 '93 정부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uter Graphics Education in Network Environments)

  • 한은수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3호
    • /
    • pp.58-67
    • /
    • 1998
  • 전시는 사회의 미래지향적인 변화와 기존 문화와의 상호영향에 관한 이해를 우선적으로 요구한다. 전시기획과 설계와 관련된 기초적이고 일반적인 연구에 대해서는 많은 문헌이 존재한다. 그러나 국제적 규모로 개최되는 박람회장의 전시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사례는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연구에서는 특히 박람회장 내의 특수전시연출과 전시기획에 초점을 맞추었다. 전시연출기범에 혁신을 일으키며 환상적인 공간창출을 한 적절한 사례로 일본 국제 과학기술박람회(THE INTERNATIONAL EXPOSITION ' 85 TSUKUBA), 세계 디자인박람회(THE WORLD DESIGN EXPOSITION ' 89 NAGOYA), 국제 꽃 박람회(THE INTERNATIONAL GARDEN AND GREENERY EXPOSITION ' 90 OSAKA)등을 선정하여 개념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전시기획의 사례로 대전 엑스포 ' 93중 정부관을 선정하여 기본이념과 주제를 가장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전시설계의 기본방향과 구성, 전시배치, 특수효과 시스템 개념에 대헤 총체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지자체가 선정한 현대팔경에 나타난 경관 선호 양상 (A Local Governments' Preferences in Selecting Modern Eight Scenic Landscapes)

  • 소현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2-102
    • /
    • 2020
  • 우리나라 78개 지자체가 홈페이지에 제시한 현대팔경 78개와 팔경을 구성하는 816개 경(景)을 통해 본 경관 선호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으로 선정된 자연환경 요소는 지형경관인 산, 대(臺), 암, 바위와 같은 산경요소와 하천, 해양, 호소(湖沼)경관으로 구분되는 수경요소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여기에 소나무, 은행나무, 산수유, 이팝나무 등 노거수, 가로수 길과 숲, 그리고 계절 경관을 제공하는 철쭉, 진달래, 연꽃, 갈대, 억새와 같은 식물요소가 포함된다. 둘째, 인문환경 요소로 선정된 경의 과반수가 묘역, 산성과 읍성, 전통마을, 별서누정, 사찰 등 역사문화유산이다. 다음으로 재래시장, 전시관, 테마파크, 해수욕장, 음식 거리 등 여가관광시설과 산책로, 광장, 공원, 식물원 등 녹색기반시설, 마지막으로 목장, 폐탄광, 철도역, 항구, 다리 등의 산업유산이 경으로 선정되었다. 셋째, 현대팔경에는 지역 대표시설, 특산물, 축제처럼 조망과 관련 없는 대상이 포함되었다. 넷째, 현대팔경의 과반수가 8개 경으로 구성되었지만, 홍보대상을 늘리기 위하여 20개, 38개, 100개로 구성된 것도 있다. 다섯째, 전래팔경과 현대팔경을 함께 소개하고, 주제를 달리한 두 개의 현대팔경을 만든 경우, 일부 지역으로 한정하여 현대팔경을 선정하는 등 여러 개의 현대팔경을 제시한 지자체가 있다. 또한 한 개의 경에 다수의 장소명을 넣은 경우도 많다. 여섯째, 경의 명칭에 '낙안(落雁)'을 사용한 소상전형과 '효종(曉鐘)', '낙조', '일몰', '야경', '여명', '일출'을 명칭에 넣고 경관과 구름, 노을, 달, 눈을 표현한 소상유사형 현대팔경, 관광 행태를 드러내는 명소체험형 현대팔경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은 장소의 명칭만으로 인지도를 높인 명승형 현대팔경이다. 일곱째, 현대팔경의 명명 방식은 경물과 경색을 명시한 한자를 조합한 소상팔경식 명명 대신 글자 숫자만 네 개로 맞춘 경우, 장소를 특화하는 수식어를 넣은 경우 등으로 다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