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clusion Analysis

검색결과 590건 처리시간 0.022초

노인단독가구 노인의 사회적 배제, 우울 및 자살생각 : 성 차이를 중심으로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in Kore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 이정화;오영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31-850
    • /
    • 2016
  • The ratio of suicide among the elderly in Korea has nearly tripled within the last 20 year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in elderly-only households with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Social exclusion is composed of economic, health, housing, educa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relational aspects. For this study, data were gathered from 527 participants aged 65 years and over.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re than 80% of the elderly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Women were shown to be more vulnerable than men in terms of housing exclusion, educational exclusion, health exclusion, and multiple exclusion, whereas men were more vulnerable than women in terms of social participation exclusion. Second, social exclus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We also observed gender differences in the results. Regression analysis of suicidal ideation showed that relational exclu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in men, whereas health exclu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in women.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stronger social support networks and policies focusing on the elderly are needed in order to reduce elderly suicide in Korea.

사회적 배제 잠재유형이 노후의 경제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계층의식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latent classes in social exclusion on the economic instability of old age)

  • 김수진;김주현;주경희
    • 한국노년학
    • /
    • 제40권1호
    • /
    • pp.33-49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의 잠재유형을 구분하고 노후의 경제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주관적 계층의식에 따라 그 영향력이 달라지는지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14차 자료를 사용하여, 조사 당시 기준 만 18세의 성인남녀 1,041명의 응답지를 분석하였다. STATA14와 MPLUS 7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t-test, 잠재계층분석(LCA), 잠재집단에 대한 다항로지스틱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변수 간 영향관계 및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배제의 유형은 3집단으로 나타났으며, 사회활동배제집단(49.3%), 다차원적 배제집단(30.9%), 사회 활동 적극집단(19.7%)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활동배제집단은 경제, 고용, 건강 배제의 가능성이 가장 낮지만, 공식/비공식 사회활동의 배제가 두드러진 집단이며, 다차원적 배제집단은 모든 영역에서 배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50% 이상인 집단으로 나타났다. 사회활동 적극집단은 비공식 사회활동에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특징인 집단이다. 다항로지스틱 분석결과 사회활동배제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청년층이 많이 포함되었으며, 다차원적 배제집단에는 배우자가 없는 여성노인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중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배제 유형은 주관적 계층의식과 상호작용하여 노후의 경제적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후의 경제적 불안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중년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 잠재집단 유형과 영향요인 (A Study on the Social Exclusion Types of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 장온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3호
    • /
    • pp.1-17
    • /
    • 2022
  • 본 연구는 1인가구내 집단별 이질성에 주목하여 중년층 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가 어떠한 하위집단으로 유형화되는지를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사회적 배제 유형에 작용하는 예측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배제를 극복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14차 한국복재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총 361명의 중년1인가구를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 및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년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지표는 6차원 10개지표로 구성되어 측정되었다. 분석결과는 중년1인가구는 '비배제형'(29.6%), '건강제한형'(14.3%), '교류제한 및 중위험다중배제형'(12.0%), '소득·건강배제형'(14.1%), '고위험다중배제형'(30.0%) 등 5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70%이상이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고 있고 대부분 배제유형이 다중배제 상태였다. 각 배제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주관적 건강수준'이 공통된 주요 예측요인이었고, 가족교류, 연령, 여가활동만족도 변인이 '고위험다중배제형'과 '교류제한 및 중위험다중배제형'의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차원적 개입전략이 필요하고 '건강'과 교류 강화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 유아의 공격성과 사회적 기술이 유아의 또래배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Rejective Parenting Behaviorsd and Preschoolers' Aggression and Social Skills on Preschoolers' Exclusion by Peers)

  • 정지나;김지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983-99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rejective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aggression and social skills on preschoolers' exclusion by peers. Subjects were 91 5- to 6-year-old preschoolers(49 boys, 42 girls) and their mothers.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reschoolers' exclusion by pee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rejective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aggression. On the other hand, preschoolers' exclusion by peer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ers' social skills. (2)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preschoolers' exclusion by peers was preschoolers' cooperative behaviors, and the next influential factor on preschoolers' exclusion by peers was maternal rejective parenting behaviors. In conclusion, maternal rejective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social skills influence preschoolers' exclusion by peers.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Depress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Mediated by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 김창기;이진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96-307
    • /
    • 2013
  • 본 연구는 충청북도의 농촌지역(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206명을 대상으로 정서조절방략을 매개로 사회적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에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관계분석 결과, 우울감과 정(+)적인 관계는 관계적 배제, 문화적 배제, 지역사회 배제, 기본서비스배제, 경제적배제이며, 부(-)적인 관계는 긍정적 정서조절, 부정적 정서조절로 나타났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우울감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관계적 배제, 지역사회 배제, 경제적 배제이며,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참여 배제, 긍정적 정서조절방략, 부정적 정서조절방략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로분석결과, 사회적 배제와 우울감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은 완전매개효과임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우울감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배제를 감소시키데 더불어 정서조절 방략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Does Social Exclusion Influence Consumers' Pseudodiagnosticity Biases towards Distribution Brands?

  • HAN, Woong-Hee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79-8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plores how cognitive impairment caused by social exclusion experience can be explained through cognitive narrowing and how it influences consumer's judgment and reasoning and results pseudodiagnosticity bias towards distribution brands.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narrowing, which is one of the strategies for overcoming the negative emotions resulting from social exclusion, and how cognitive errors called pseudodiagnosticity bias occur due to cognitive narrowing in the evaluation of distribution brand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Present study was performed with 77 college students in Seoul.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group who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and the group who did not experience social exclusion. The analysis has been made of how the degree of bias of pseudodiagnosticity differ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social exclusion by t-test. Results: The group who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had a higher level of pseudodiagnosticity bias towards distribution brands than the group who did not experience social exclusion.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what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narrowing, which is one of the strategies for overcoming the negative emotions resulting from social exclusion, and how cognitive errors called pseudodiagnosticity bias occur due to cognitive narrowing.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사회적 배제가 과시소비에 미치는 영향: 내적귀인과 자존감의 조절역할 (Influence of Social Exclusion on Conspicuous Consumption: Moderating Effect of Attribution and Self-Esteem)

  • 최지은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2권3호
    • /
    • pp.271-280
    • /
    • 2021
  • Purpose -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exclusion on conspicuous consumption. Specifically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exclusion on conspicuous consumption w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consum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nal attribution tendency and self-esteem.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verify hypotheses. 110 sampl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 and SPSS PROCESS Macro was used for data analysis. Findings -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of social exclusion and internal attribution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social exclusion had on positive impact on conspicuous consumption for consumers with high level of internal attribution tendency. In addition, conspicuous consumption was pronounced for consumers having both high level of internal attribution and low level of self-esteem.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e result is expected to expand the research scope on social exclusion and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rketers.

제품의 포용적 디자인을 위한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의 효용성 연구: 전기다리미 평가를 사례 연구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Exclusion Calculation for the Product Inclusive Design: A Case Study on the Evaluation of Electric Iron)

  • 장지파;고정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11-123
    • /
    • 2020
  • 제품 디자인개발 과정에서 사용성과 포용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한 제품의 사용성과 포용성 평가방법으로 케임브리지 대학 엔지니어링 디자인 센터의 교수인 Simon Keates와 P. John Clarkson에 의해 Exclusion Calculation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실제 제품의 평가에서 Exclusion Calculation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Exclusion Calculation을 사용하여 전기다리미을 평가하는 실험을 사례 연구로 진행하여 결과의 유용성, 정확성 및 평가항목의 직관성 3가지 측면에서 장단점을 평가하여 Exclusion Calculation의 효용성을 고찰하였다. 실험 연구에서, 11명의 디자이너가 Exclusion Calculation으로 제품을 평가한 후 Exclusion Calculation중 14개 평가항목의 직관성을 평가했다. 제품 평가 결과에 따라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결과의 유용성을 판단하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결과의 정확성을 분석했다. 본 연구결과 첫째, Exclusion Calculation의 평가결과는 디자이너가 제품의 물리적 특징과 관련된 사용성 문제 및 문제의 보편성을 발견하도록 도울 수 있지만, 제품 사용 논리성 측면의 문제를 발견할 수는 없다. 둘째,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척도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평가 결과의 정확성이 낮다. 평가항목은 전체적으로 평가 판단의 난이도가 낮지만, 인지능력과 관련된 평가항목은 직관성이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다차원적 사회적 배제 영역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The Longitudinal Interrelationships of Multidimensional Social Exclusion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 박현선;정수정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6호
    • /
    • pp.197-22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의 다양한 차원들이 종단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복지패널 2011년~2013년까지의 3개년 자료를 활용하여 결혼이주여성의사회적 배제 하위영역들 간의 자기회귀교차지연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적 배제, 지역사회 배제, 교육참여로부터의 배제, 민족적 배제에서 1차년도부터 3차년도까지 정적으로 유의미한 자기회귀효과가 나타났다. 즉, 1차년도에 배제가 높을수록 2차년도와 3차년도에도 유의미하게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적 배제의 하위 영역들 간의 종단적인 상호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전 시점의 경제적 배제가 이후 시점의 교육참여로부터의 배제, 민족적배제를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다양한 차원의 배제 영역 중에서도 경제적배제가 보다 근원적인 선행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결혼이주여성의 적극적인 사회적 포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제적 지원과 개입이 우선되어야 하며, 사회적 배제의 만성화를 예방하기 위한 초기 개입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결과라하겠다. 따라서 결론에서는 이러한 결과에 근거한 다양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노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의 변화유형과 예측요인: 영국고령화패널(ELSA)분석 (Patterns of the Change and the Predictors of the Social Exclusion of the Older People: Analysis of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ELSA))

  • 박현주;정순둘
    • 한국노년학
    • /
    • 제32권4호
    • /
    • pp.1063-1086
    • /
    • 2012
  • 본 연구는 종단적인 분석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 변화 양상에 따른 유형을 살펴보며 그 예측요인을 밝힘으로써 노인의 사회적 배제 상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영국고령화패널(ELSA)의 2002-03년의 제 1차 조사부터 2008-09년 제 4차 조사까지 2년 주기로 하여 네 차례에 걸쳐 반복 측정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표본유지율을 고려하여 50세 이상의 남녀 7631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노인의 사회적 배제는 사회적 관계망, 문화 및 여가 활동, 의료서비스 접근, 재정적 안정, 정서적 배제 영역의 다섯 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되어 분석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다양한 질적인 차이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는 관찰대상 중심적 접근이 시도되었으며, 이는 변화궤적을 유형화하는 준모수적 집단중심 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을 통하여 노인들은 유사한 배제 수준을 보이면서 동일하게 변화하는 '동질적' 집단이 아니라, 다양한 초기값과 변화율을 보이는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변화궤적의 유형화를 통하여 문화여가활동을 제외하고 모든 영역에서 노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시간 경과에 따라 천천히 증가하거나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준모수적 집단중심 모형의 결과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높은 배제 수준을 유지하거나 높은 수준에서 증가하는 유형을 사회적 배제의 고위험군으로 판단하여 선별해 낼 수 있었다. 또한 고위험군에 속하는 노인들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의 사회적 배제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는 성별, 연령, 건강상태, 활동능력, 소득, 결혼상태, 가족관계, 수급여부 등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