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9초

소아 기면증 1예 (A CASE OF NARCOLEPSY IN A 11 YEAR-OLD BOY)

  • 최보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4권1호
    • /
    • pp.173-178
    • /
    • 1993
  • 기면증의 초발연령은 비교적 균일하여 15세 이전, 보통 30세이후에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저자는 기면증의 4대 증상인 주간의 과도한 졸리움, 탈력 발작, 수면마비 및 입면환각을 보이며 수면다원 검사에 의해 진단된 11세 남아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Cardiometabolic Effects of Obstructive Sleep Apnea and Treatment Effects of Oral Appliance: An Updated Review for Dentists

  • Kim, Hye-Kyoung;Kim, Mee-E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3권3호
    • /
    • pp.61-69
    • /
    • 2018
  •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s a relatively common, but greatly underdiagnosed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 characterized by recurrent collapse of the upper airway during sleep. OSA has been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cardiometabolic disease, such as hypertension, coronary artery disease, cardiac arrhythmia, cerebrovascular disease and metabolic dysfunction. Neurocognitive impairment, including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creased risk of motor vehicle accidents, is also related to OSA. Sleep fragmentation and related arousals during sleep lead to intermittent hypoxia, sympathetic activation, oxidative stress, systemic inflammation and metabolic dysregulation which provide biological plausibility to this pathologic mechanism. Extensive studies demonstrated that OSA is a modifiable risk factor for the above mentioned diseases and oral appliances (OAs), although continuous positive air pressure (CPAP) is a first-line therapy of OSA, are not inferior to CPAP at least in mild OSA, and may be an alternative to CPAP in CPAP-intolerant subjects with OSA.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current knowledge of pathologic link between OSA and cardiovascular disease, focusing on intermittent hypoxia, sympathetic activation, oxidative stress and metabolic dysregulation. Then, previous epidemiologic studies will be reviewed to underst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SA and cardiovascular disease. Finally, the effects of OAs will be updated via recent metaanalyses compared to CPAP.

폐쇄성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의 무호흡-저호흡지수와 임상양상간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pnea-Hypopnea Index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진복희;박선영;장경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12-217
    • /
    • 2006
  • Obstructive sleep apena syndrome (OSAS) is accompanied by the following symptoms: apnea caused by upper respiratory tract obstruction while sleeping, repetitive lowering of $SpO_2$, severely affected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EDS), suffocation/frequent awakeness while sleeping, daytime lethargy, and lack of concentration. OSAS was investigated with sex, age,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neck circumference and snoring sound a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anticipating factors of OSAS were studied in relation with the apnea-hypopnea index (AHI). The subjects were 42 people (male 34/female 8) who visited the clinic due to snoring and had polysomnography evaluation. AHI was differenciated into normal (less than 0~5/hr), mild (5~15/hr), moderate (15~30/hr) and severe (more than 30/hr). As the apnea-hypopnea index (AHI) gets higher, the snoring sound was louder (p<0.01), neck circumference was thicker (p<0.05) and also there were relative correlations with body weight (p<0.01), body mass index (p<0.05), snoring sound (p<0.01) and neck circumference (p<0.01). Since the snoring sound and neck circumference explained 32.8% of the AHI distribution, if the patient was severely snoring or had a thick neck circumference due to obesity, the apnea-hypopnea index showed a predisposition to th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PD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n children: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sequelae

  • Chang, Sun-Jung;Chae, Kyu-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10호
    • /
    • pp.863-871
    • /
    • 2010
  • The prevalence of pediatric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s approximately 3% in children. Adenotonsillar hypertrophy is the most common cause of OSAS in children, and obesity, hypotonic neuromuscular diseases, and craniofacial anomalies are other major risk factors. Snoring is the most common presenting complaint in children with OSAS, but the clinical presentation varies according to age. Agitated sleep with frequent postural changes, excessive sweating, or abnormal sleep positions such as hyperextension of neck or abnormal prone position may suggest a sleep-disordered breathing. Night terror, sleepwalking, and enuresis are frequently associated, during slow-wave sleep, with sleep-disordered breathing.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becomes apparent in older children, whereas hyperactivity or inattention is usually predominant in younger children. Morning headache and poor appetite may also be present. As the cortical arousal threshold is higher in children, arousals are not easily developed and their sleep architectures are usually more conserved than those of adults. Untreated OSAS in children may result in various problems such as cognitive deficits,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oor academic achievement, and emotional instability. Mild pulmonary hypertension is not uncommon. Rarely,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such as cor pulmonale, heart failure, and systemic hypertension may develop in untreated cases. Failure to thrive and delayed development are serious problems in younger children with OSAS. Diagnosis of pediatric OSAS should be based on snoring, relevant history of sleep disruption, findings of any narrow or collapsible portions of upper airway, and confirmed by polysomnography. Early diagnosis of pediatric OSAS is critical to prevent complications with appropriate interventions.

소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1례 (A Case of Childhoo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신홍범;이유진;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1권2호
    • /
    • pp.106-109
    • /
    • 2004
  • 소아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흔히 편도 아데노이드 비대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비만, 두개 악안면 기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소아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야뇨증, 사건 수면, 행동 장애 등과 같은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다. 그 원인이 편도 아데노이드 비대증이면 수술적인 제거를 통해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나 비만 등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이라면 지속성 상기도양압술과 체중 감량 및 생활습관 변화를 통한 치료가 필요하다. 저자들은 편도 아데노이드 절제술 시행 후에도 심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지속되고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난 환아에서 상기도양압술로 무호흡 관련 증상 및 동반된 합병증의 호전을 보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 PDF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의 각성지수와 임상양상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rousal Indice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in Patients Who Performed Polysomnography)

  • 김성경;이상학;강현희;강지영;김진우;김영균;김관형;송정섭;박성학;문화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3호
    • /
    • pp.183-190
    • /
    • 2009
  • Background: Repeated arousals during sleep have been known to be associated with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ousal indices and clinical parameter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41 patients who performed polysomnography for a diagnosi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We defined total arousal index (TAI) as the number of arousals per hour and respiratory arousal index (RAI) as the number of arousals associated with apnea or hypopnea per hour.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rousal indices and apnea-hypopnea index (AHI) (RAI vs. AHI, r=0.958, p<0.001; TAI vs. AHI, r=0.840, p<0.001). RAI and mean oxygen satura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r=-0.460, p=0.002). TAI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ean systolic blood pressure (MSBP) and mean diastolic blood pressure (MDBP) (TAI vs. MSBP, r=0.389, p=0.014; TAI vs. MDBP, r=0.373, p=0.019).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rousal indices and parameters of sleepiness. RAI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dy mass index (BMI) and neck circumference (NC) (RAI vs. BMI, r=0.371, p=0.017; RAI vs. NC, r=0.444, p=0.004). When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djust for other variable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AI and AHI (r=0.935, p<0.001).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respiratory arousal index could be a useful index reflecting of severity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rousal during sleep would be concerned in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complication of obstructive sleep apnea. And some anthropometric factors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rousals during sleep.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any cause-effect relationship.

한국인 기면병 환자의 Human Leukocyte Antigen(HLA) DQB1*0602 발현 빈도 (Expression of Human Leukocyte Antigen DQB1*0602 in Korean Patients with Narcolepsy)

  • 홍승철;우영섭;박수아;정종현;한진희;김린;이성필
    • 수면정신생리
    • /
    • 제8권2호
    • /
    • pp.107-112
    • /
    • 2001
  • 목 적 : 본 연구는 기면병 환자와 정상 대조군에서 사람 백혈구 항원(human leukocyte antigen, 이하 HLA) DQB1*0602와 DR2의 발현 빈도를 조사하여 한국인 기면병 환자의 표지자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동시에 기면병 환자에서 나타나는 증상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방 법 : 야간수면 다원검사 및 입면잠복기 반복검사에서 입면잠복기의 평균값이 5분 이하이며, 최소 2회 이상의 수면시작 REM기(sleep onset REM periods)가 발생한 기면병 환자 20명(남자 11명, 여자 9명, 연령분포 $8{\sim}55$세, 평균연령 $28.2{\pm}13.0$세)과 정상 대조군 21명(남자 9명, 여자 12명, 연령분포 $21{\sim}39$세, 평균연령 $28.6{\pm}4.4$세)을 대상으로 하여 HLA typing을 시행하였다. 기면병의 제반 임상증상은 면담과 수면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결 과 : 1) 기면병 환자군의 입면잠복기 반복 검사 결과 입면잠복기의 평균값은 $2.4{\pm}2.0$분이었으며, Sleep onset REM periods의 발생 평균 회수는 $3.0{\pm}1.6$회로 나타났다. 2) 기면병 환자군 모두에서 기면병의 주요 증상인 과도한 주간 졸리움 및 탈력발작을 나타냈고, 수면마비, 입면환각 및 야간수면장애는 각각 12명(60.0%), 14명(70.0%) 및 15명(75.0%)에서 발생하였다. 3) 탈력발작은 주로 감정적인 자극에 의하여 유발되어, 웃을때(80%, n=16)와 농담할 때(70%, n=14)에 가장 흔하게 유발되었으며, 탈력발작 발생부위의 빈도는 무릎과 다리 부분이 95%(n=19)이었으며, 턱부위는 30%(n=6)로 나타났다. 4) HLA-DQB1*0602는 환자군 20명중 18명(90.0%), 정상 대조군 21명중 5명(23.8%)에서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HLA-DR2는 환자군 중 18명(90%), 정상 대조군 중 7명 (35%)에서 양성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이상의 결과에서 한국인 기면병 환자에서 HLADQB1*0602 양성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여러 인종들을 대상으로 한 여러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여 HLA-DQB1*0602가 인종을 초월한 매우 유용한 표지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모다피닐이 기면병 환자와 대조군의 임상 양상과 수면구조에 구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dafinil on Clinical Features and Sleep Structure of Narcolepsy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 신홍범;정도언;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3권2호
    • /
    • pp.67-74
    • /
    • 2006
  • 서 론:기면병은 과도한 주간졸림증과 탈력발작을 주 증상으로 하는 질환이다. 모다피닐은 기면병 치료에 이용되는 정신자극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다피닐이 기면병환자와 정산인의 임상 양상과 야간수면구조 및 주간 졸음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방 법:기면병 환자 12명(연령:$22.9{\pm}2.6$세)(남:여=7:5)과 성별, 연령이 짝지어진 대조군 12명($23.8{\pm}2.5$세)이 기저 연구(baseline study)에 참여하였다. 모든 참가자들을 기저검사로 임상 척도, 야간수면다원검사 및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모다피닐 200 밀리그램 투약 후 동일한 검사를 반복 시행하였다. 모다피닐 투여 이후 임상척도, 야간수면다원검사 및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 수면관련변인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 과:모다피닐 투여는 피츠버그수면장애척도 점수만을 감소시켰을 뿐 그 외의 임상적 척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기면병 환자와 대조군에서, 투약 전에 비하여 투약 후 야간수면다원검사의 총수면 시간, 수면 효율이 감소하였고, 입면 후 각성 시간과 총검사시간 중 각성 시간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이어서 시행한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상 평균입면잠복시간이 연장되는 소견을 보였다. 결 론:모다피닐은 각성 효과를 지닌 약물로 메틸페니데이트 등 기존 투약에 비해 야간수면에 대한 영향이 적은 약물이다. 본 연구에서 총수면 시간, 수면 효율 및 각성 시간의 비율 증가를 보여 야간수면에 영향을 주지만 수면구조 전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모다피닐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된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 상 평균입면잠복기의 연장을 보여 기면병과 관련된 졸음 증상 조절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다피닐은 주간졸림증이 없는 대조군에서도 각성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일주기 리듬 특성에 따른 주간 졸음과 우울감의 차이 (Morningness-Eveningness Affects the Depressive Mood and Day Time Sleepines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tient)

  • 김성호;주은정;이규영;구영진;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9권2호
    • /
    • pp.77-83
    • /
    • 2012
  • 목 적: 저녁형일수록 우울해지기 쉽다는 경향성이 일반 인구집단이 아닌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와 상황별 졸음 평가지 등을 통해 얻은 자료 중 저녁형일수록 증가되는 항목과 우울할수록 증가되는 항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1월 1일부터 2011년 2월 18일까지 을지병원 수면장애 클리닉에 내원한 환자들 중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OSA로 진단받은 환자 211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자료와 신체 계측 자료를 얻었으며, 상황별 졸음 평가지(ESS). 아침형-저녁형 설문지(HOQ), 한국판 기분상태척도(K-POMS),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아침형군과 저녁형군, 중간형군 별로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에 대한 평균값 비교를 시행하였다. 이후 연령과 체중을 보정하여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들간의 편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연령과 체중을 보정한 공분산분석을 통해 아침형군과 저녁형군, 중간형군 별로 각각의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에 대한 평균값 비교를 시행하였다. 결 과: 나이와 체중을 보정한 편상관분석에서 HOQ점수에 따라 저녁형일수록 K-POMS, POMS-T, POMS-D, POMS-A, POMS-F, POMS-C 점수가 상승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대로 아침형일수록 POMS-V, AHI, respiratory arousal index, snore time(%)이 증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우울할수록 POMS 총점과 POMS-T, POMS-A, POMS-F, POMS-C, sleep latency, stage 2 sleep(%)가 증가되는 경향성이 나타나고, 우울할수록 HOQ점수가 낮아지므로 저녁형이며, 우울할수록 stage 1 sleep(%), AHI, TAI, respiratory arousal index, 목 둘레가 감소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공분산 분석을 통해 나이와 체중을 보정한 뒤 아침형, 중간형, 저녁형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K-POMS, POMS-T, POMS-D, POMS-F, POMS-C, spontaneous arousal index이다. 결 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도 일반인구집단에서처럼 저녁형일수록 우울한 경향성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성은 주간 졸음 등과는 무관하며, 무호흡의 심각도와도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평가할 때 무호흡의 심각도를 평가하는 것과는 별도로 아침형-저녁형의 일주기리듬을 확인하고 저녁형인 경우 환자의 우울감에 대한 추가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척추후측만증 환자에서 급속히 진행된 비만성 저환기 증후군 1례 (A Case of Rapidly Developed Obesity Hypoventilation Syndrome in a Patient with Kyphoscoliosis)

  • 김민영;정지선;장유나;고세은;이상학;문화식;강현희
    • 수면정신생리
    • /
    • 제22권1호
    • /
    • pp.30-34
    • /
    • 2015
  • 비만성 저환기 증후군은 체질량지수 $30kg/m^2$ 이상의 비만 환자에서 낮 동안의 저산소혈증 및 고탄산혈증($PaCO_2$ 45 mmHg 이상, $PaO_2$ 70 mmHg 미만) 소견을 보이는 질환으로 90% 이상에서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시간 당 5회 이상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이 동반되어 나타난다. 특히 고탄산혈증을 유발할 수 있는 심한 폐쇄성 환기장애나, 간질성 폐질환 혹은 심한 흉벽질환 및 신경근육질환을 배제하는 것이 진단에 필수적이나, 임상적으로 비만성저환기 증후군의 양상을 보인다면 조기에 질환을 의심하는 것이 예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비만성 저환기 증후군 치료의 목표는 체중감소 및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치료, 고탄산혈증과 저산소혈증의 개선으로 산소치료, 경비적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비침습적 양압 환기요법 등으로 치료 효과를 얻은 증례들이 보고되어 있다. 특히 만성 호흡 부전의 급성 악화가 동반 환자이거나,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로 치료가 실패한 환자, 폐쇄성수면무호흡을 동반하지 않은 비만성저환기 환자의 경우에는 이단 상기도 양압술을 적용하여 더 효과적인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저자들은 폐포저환기를 유발할만한 다른 질병이나 상태를 가진 환자의 경우에도 중증 비만, 코골이 및 수면 중 무호흡, 낮 동안의 저산소혈증 및 고탄산혈증 등 비만성저환기증후군의 특징적 임상 양상에 근거하여 조기에 비만성저환기 증후군을 의심하였고 이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여 이단 상기도 양압 치료를 통해 치료 효과를 거두고 환자의 예후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