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obes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42초

중강도 운동을 실시한 비만 쥐에서 정향 투여가 지질과 근육 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yzygium aromaticum L. administration on lipid and muscle metabolism in obese rats subjected to moderate-intensity exercise)

  • 김민주;노성수;서성욱;김경;신미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7권1호
    • /
    • pp.27-4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중강도 운동을 한 비만 흰쥐를 대상으로 정향 투여에 따른 염증 관련 단백질, 근육 합성 및 분해 관련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규칙적인 중강도 운동은 혈청 내 산화 스트레스와 leptin 수준을 억제시켰다. 또한, 염증 관련 단백질을 감소시켰으며, 근육 합성 관련 단백질을 활성화 및 근육 분해 관련 단백질 억제를 통해 근육 대사를 조절하였다. 여기에 정향의 투여는 혈청 내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염증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발휘하였다.

순환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건강 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irculation exercise on Health Related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obese middle age women)

  • 손원목;오덕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70-17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순환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건강 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BMI\;25kg/m^2$ 이상인 40대 비만중년여성 중 순환운동군(10명), 대조군(10명)으로 총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모든 검사항목은 동일한 방법과 조건으로 건강 체력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대하여 사전, 사후 총 2회 측정하였다. 순환운동은 12주간, 주3회, 30~40분, 60~80%HRR 강도로 실시하였다. 측정변인에 대해 평균값과 표준편차($M{\pm}SD$)를 산출한 후 사전 운동군과 대조군의 신체적 특성과 각 측정변인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위하여 독립 t-test를, 집단 내의 사전 사후 평균치 변화에 대한 차이 검증은 종속 t-test를, 집단 간 차이에 대한 주효과 검정 및 집단 간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건강 체력에서 체지방률(p<.01)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제지방량(p<.05), 근지구력(p<.01), 유연성(p<.01) 및 심폐지구력(p<.001)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중 허리둘레(p<.05), SBP(p<.05), Glucose(p<.05) 및 TG(p<.001)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HDL-C(p<.001)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순환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건강 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romal Cells from Ex-Morbidly Obese Individuals Instruct Macrophages towards a M2-Like Profile In Vitro

  • Daiana V. Lopes Alves;Cesar Claudio-da-Silva;Marcelo C. A. Souza;Rosa T. Pinho;Wellington Seguins da Silva;Periela S. Sousa-Vasconcelos;Radovan Borojevic;Carmen M. Nogueira;Helio dos S. Dutra;Christina M. Takiya;Danielle C. Bonfim;Maria Isabel D. Rossi
    • International Journal of Stem Cells
    • /
    • 제16권4호
    • /
    • pp.425-437
    • /
    • 2023
  • Obesity, which continues to increase worldwide, was shown to irreversibly impair the differentiation potential and angiogenic properties of adipose tissue mesenchymal stromal cells (ADSCs). Because these cells are intended for regenerative medicine, especially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conditions, and the effects of obesity on the immunomodulatory properties of ADSCs are not yet clear, here we investigated how ADSCs isolated from former obese subjects (Ex-Ob) would influence macrophage differentiation and polarization, since these cells are the main instructors of inflammatory responses. Analysis of the subcutaneous adipose tissue (SAT) of overweight (OW) and Ex-Ob subjects showed the maintenance of approximately twice as many macrophages in Ex-Ob SAT, contained within the CD68+/FXIII-A- inflammatory pool. Despite it, in vitro, coculture experiments revealed that Ex-Ob ADSCs instructed monocyte differentiation into a M2-like profile, and under inflammatory conditions induced by LPS treatment, inhibited HLA-DR upregulation by resting M0 macrophages, originated a similar percentage of TNF-α+ cells, and inhibited IL-10 secretion, similar to OW-ADSCs and BMSCs, which were used for comparison, as these are the main alternative cell types available for therapeutic purposes. Our results showed that Ex-Ob ADSCs mirrored OW-ADSCs in macrophage education, favoring the M2 immunophenotype and a mixed (M1/M2) secretory response. These results have translational potential, since they provide evidence that ADSCs from both Ex-Ob and OW subjects can be used in regenerative medicine in eligible therapies. Further in vivo studies will be fundamental to validate these observations.

저항성 운동과 고단백식 혼합처치가 sarcopenic obese 쥐의 골격근 내 단백질 합성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and High Protein Diet on Anabolic Factors of Skeletal Muscle in Sarcopenic Obese Rats)

  • 정수련;김기진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2호
    • /
    • pp.431-43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sarcopenic obese 흰쥐를 대상으로 사다리 등반 운동 또는 고단백식이 처치가 골격근의 단백질 합성과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50주령 SD계 수컷 흰쥐를 이용하여 6주간 고지방식이로 sarcopenic obese 쥐를 유도한 다음 4집단(Chow, HP, Ex, HPEx)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결과 8주간의 사다리 등반 운동은 sarcopenic obese 흰쥐의 인슐린 저항성과 체지방량을 감소시키고, mTOR 활성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하지 근육양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고지방식과 운동을 병행 처치한 경우 체지방과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운동의 효과가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화에 따른 sarcopenic obesity 개선을 위한 고단백식이는 그 양과 조성에 있어서 보다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수영 운동이 난소절제 후 비만 쥐의 지방조직에서 염증에 미치는 억제 효과 (The inhibitory effect of swimming exercise on inflammation in adipose tissue of obese mice after ovariectomy)

  • 정선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125-1137
    • /
    • 2020
  • 본 연구는 암컷 쥐의 난소절제 후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비만 쥐에서 수영운동이 지방조직에서 염증반응을 억제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모의수술군(Sham), 난소절제 수술군(OVX) 및 수영운동을 실시한 난소절제 수술군(OVX/Ex)으로 구분되어 8주 동안 고지방식이(45% fat) 사료를 섭취하면서 사육되었다. 생식기 주변 지방조직, 복막 신장주변 지방조직, 및 장간막 지방조직을 포함한 내장지방조직의 무게는 Sham에 비해 OVX에서 증가하였으나, OVX에 비해 OVX/Ex에서는 감소하였다. Sham에 비해 OVX는 지방조직에서의 IκBα의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고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MCP-1, TNF-α 및 leptin)의 유전자 발현은 증가하였다. OVX에 비해 OVX/Ex는 지방조직에서의 IκBα이 증가하였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난소절제 후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비만 쥐에서 수영 운동은 지방조직에서 염증반응을 억제함으로써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이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12주간 수중걷기운동이 비만 노인 여성의 신체조성, hs-CRP, 인슐린 저항성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quatic walking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hs-CRP, insulin resistance and blood pressure in obese elderly women)

  • 손우현;하민성;전병환;박현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906-91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수중걷기운동이 비만 노인 여성의 신체조성, hs-CRP, HOMA-IR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체지방률 30% 이상인 비만 노인 여성 중 운동군(10명), 대조군(10명)으로 총 20명으로 실시하였으며, 모든 검사항목은 동일한 방법과 조건으로 신체조성, hs-CRP, HOMA-IR 및 혈압을 사전, 사후 총 2회 측정하였다. 수중걷기운동은 12주간, 주 3회, 1회 50분, RPE 11-14 강도로 실시하였다. 측정변인에 대해 평균값과 표준편차(M±SD)를 산출한 후 사전 운동군과 대조군의 신체적 특성과 각 측정변인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위하여 독립 t-test를, 집단 내의 사전·사후 평균치 변화에 대한 차이 검증은 종속 t-test를, 집단 간 차이에 대한 주효과 검정 및 집단 간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운동군에서 신체조성, 체지방률(p<.05), 인슐린(p<.01), HOMA-IR(p<.01) 및 수축기 혈압(p<.05)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수중걷기운동이 비만 노인 여성의 비만 및 심혈관질환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2주간 줄넘기, 밴드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GH, IGF-1 및 대사증후군 위험 인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2 Weeks Rope Skipping and Band Exercise on GH, IGF-1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Female Obese Middle School Students)

  • 최공집;손원목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87-59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pe skipping and band exercise on GH, IGF-1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female obese middle school students. Twenty female obese middle school students(%BF > 30%) were randomly assigned to a exercise group(EX, n=10) or control group(CON, n=10). The exercise group has performed rope skipping and band exercise for 12 weeks, 3time per week. Exercise intensity was increased gradually, from 40% to 70% of Heart Rate Reserve(HRR) and Rating of Perceived Exertion(RPE) 11-15. GH, IGF-1 and metabolic syndrome rist factors were GH, IGF-1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were measured pre- and post-exercise program including rope skipping and band exercise. Levels of GH and IGF-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1 and p<0.001, respectively) in exercise group after 12 weeks of exercise training. WC and TG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1) in exercise group after 12 weeks of training. HDL-C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5) in exercise group after 12 weeks of training. In conclusion, rope skipping and band exercise were effective exercise program in improving GH, IGF-1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female obese middle school students.

규칙적인 운동과 L-arginine의 섭취가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노화생쥐의 복부지방량, GH/IGF-1 axis 및 혈관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gular Exercise and L-Arginine Intake on Abdominal Fat, GH/IGF-1 Axis, and Circulating Inflammatory Markers in the High Fat Diet-Induced Obese Aged Rat)

  • 박석;성기운;이진;이천호;이영준;유영준;박경실;민병진;신용업;김정석;정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6-523
    • /
    • 2012
  • 본 연구는 비만과 노화가 동시에 유발된 흰쥐에서 12주간의 트레드밀 운동과 L-arginine의 투여가 복부지방량, GH, IGF-I, somatostatin, fibrinogen, PAI-1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이를 개선하는데 더욱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단독 처치 군과 복합 처치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여 그 효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복부지방량은 통제집단에 비해 모든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2. AG+EX, AG+LA+EX집단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GH의 혈중 농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1). 3. AG+EX, AG+LA+EX집단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IGF-I의 혈중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걷기운동이 1기 고혈압을 가진 비만 노인 여성의 신체조성, 인슐린 저항성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lking Exercise Intervention on Body Composition, Insulin Resistance, and Blood Pressure in Elderly Obese Women with Stage 1 Hypertension)

  • 박문수;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791-796
    • /
    • 2023
  • 폐경 후 호르몬의 변화는 체지방의 증가로 비만을 야기하며,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 및 혈압의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12주간 걷기운동이 1기 고혈압을 가진 비만 노인 여성의 신체조성, 인슐린 저항성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기 고혈압을 가진 비만 노인 여성 초 20명을 대상으로 운동군 10명, 대조군 10명으로 구분하여 걷기운동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걷기운동군에서 체지방율, 인슐린 저항성 및 SBP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걷기운동이 체지방율, 인슐린 저항성 및 혈압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고혈압을 가진 노인 비만 여성들의 심혈관질환 및 대사성 질환의 개선 및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ifestyle Behaviors and Early Diagnosis Practices of Cancer Patients

  • Yilmaz, Medine;Sanli, Deniz;Ucgun, Mujde;Kaya, Nur Sahin;Tokem, Yasem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5호
    • /
    • pp.3269-3274
    • /
    • 2013
  • Background: The aim was to determine the lifestyle behaviors and the practices for early diagnosis of cancer of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sample consisted of 222 patients with a diagnosis of cancer (non-random sample method). Ethical permission was obtained of the Non-interventional Research Ethics Committee of our Institution. Values of p<0.05 were accep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54.4% of the patients had never performed breast self-examination, 60.8% had never had a mammography, and 71.2% had never had a Pap smear. Sixty-six point two percent of patients had never had screening for colon cancer within the past ten years. GIS cancers were higher in smokers and ex-smokers (p=0.005), in drinkers and in ex-drinkers (p=0.000). The breast cancer rate was higher in obese people (p=0.019).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on the healthy lifestyle behavior of cancer patients before their diagnosis, and their use of early diagnosis practices. The important aspect of this study is to extend cancer patients' period of life afte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process, to make them conscious of risky lifestyle and nutritional behavior so that they can maintain a high quality of life, and to start initiatives in this direction that would ensure changes in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