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idence based design

검색결과 502건 처리시간 0.024초

인터넷 수업에서의 CEDA(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 토론 모델연구 (Developing CEDA Model for Internet-based Class)

  • 조은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93-101
    • /
    • 2006
  • 본 연구는 미국의 토론 모형인 CEDA (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방식을 인터넷 토론학습에 적용하는 새로운 시도를 통하여 향후 인터넷 수업에 응용할 수 있는 CEDA형 인터넷 토론수업 모델을 설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본 연구는 미국의 CEDA토론 기법의 기본 요소를 인터넷 토론학습모델에 적용한 수업설계를 통하여 1,2차에 걸쳐 각각 200명의 학습자들에게 인터넷 CEDA토론을 실시하고 그 결과와 토론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인터넷 CEDA토론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으며, 기존의 개방형 토론방법보다 찬반형의 CEDA토론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2차 연구에서는 토론에서 튜터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튜터의 전략에 따라 토론결과가 달라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스스로 토론에 대한 경험이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해 튜터의 지원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으로 본 연구는 CEDA형 인터넷 토론학습 모델이 학교현장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교과목별, 학습자별 다양한 토론학습 모델이 개발되어야 하며 학습자 입장에서 토론수업을 지원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 PDF

대학 산림교육의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법(e-PBL) 적용 사례와 학습성과 (An Application and Educational Outcomes of e-PBL (e-Project-based Learning) to University Forest Education)

  • 이송희;이재은;강호덕;윤태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2호
    • /
    • pp.266-279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 산림교육 발전을 목적으로 S 대학교 산림과학과 4학년 "도시림관리학 및 실습" 전공과목에 e-PBL (e-Project-based learning) 학습법을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특히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 학사 운영 상황에서 학습자들은 온라인 매체를 주로 활용하여 학교숲을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결과물을 발표하였다. 학습자 중심의 e-PBL 학습법은 학습자들이 프로젝트 주제를 직접 선정하고 수행함으로써 자기주도학습,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 및 책임감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학습자들의 e-PBL 학습성과에 대해 5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학습자들은 e-PBL 학습법을 통해 동기부여 및 흥미를 유발할 수 있었으며(4.17점), 전공지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다(4.17점). 또한, 학습자들은 의사소통능력(4.33점), 문제해결능력(4.25점), 의사결정능력(4.21점)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고 응답하는 등 전반적으로 e-PBL 학습법에 대해 만족하였다. 특히 학습자들은 팀원들과 밀접한 의사소통과 상호협력이 문제 및 전공지식에 대한 이해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산림교육에 적합한 e-PBL 학습모델을 개발이 필요하며, 효율적 수업시간의 운영과 e-PBL 학습법 지침 및 제도적 지원이 마련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산림교육의 발전을 기대한다.

번들가격할인 프레이밍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소비자의 번들구성제품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undle Price Discount Framing and Message Framing on Consumers' Evaluation of Bundle Component)

  • 박소진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55-77
    • /
    • 2011
  • 가격번들링(price bundling)의 형태에는 '믹스드리더번들(mixed-leader bundle)'과 '믹스드조인트번들(mixed-joint bundle)'이 있는데 전자는 패키지 구성요소 중 하나는 정상가에 판매하고 다른 하나는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는 것(예를 들면, 치아미백제를 구매하면 치약 할인)이고, 후자는 패키지의 가격을 통합하여 하나의 할인된 가격(예를 들면, 치아미백제와 치약을 함께 구매하면 총금액 할인)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메시지 프레이밍이란 동일한 광고 메시지를 어떻게 표현하느냐 하는 것인데, 제품을 사용할 경우 얻게 될 혜택 또는 긍정적인 제품 속성을 강조하는 긍정적 프레이밍과 대안을 채택하지 않을 경우 입게 되는 손실 또는 부정적인 제품속성을 강조하는 부정적 프레이밍이 있다. 본 연구는 치아미백제의 메시지 프레이밍을 '95%가 미백효과를 보았다(긍정적 프레이밍)'와 '5% 미만이 미백효과를 보지 못했다(부정적 프레이밍)'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개별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수준과 태도에 대한 번들가격할인 프레이밍과 메시지 프레이밍의 상호작용효과를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메시지 프레이밍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긍정적 메시지프레이밍 조건에서는 믹스드조인트번들보다 믹스드리더번들에서 치아미백제에 대한 지각된 품질 및 태도가 높았으나, 부정적 메시지 프레이밍 조건에서는 믹스드리더번들보다 믹스드조인트번들에서 더 높았다. 본 연구는 번들 내 개별제품에 대한 번들가격할인 프레이밍과 메시지 프레이밍의 상호작용효과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메시지 프레이밍의 형태에 따라 번들가격 제시방법을 달리해야함을 제안하고 있다.

  • PDF

시선추적을 이용한 카페 공간 마감재 차이의 시각주의력 특성 (Characteristics of Visual Attention for the Different Type of Material Finishing in Cafe Space Using by Eye-tracking)

  • 최진경;김주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3-11
    • /
    • 2018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intensionally changing eye - gaze on the cafe space images with floor finishing materials. In the Yarbus' experiment, he argued that changing information that an observer is asked to obtain from an image changes pattern of eye movements. Based on the scan path evidence, this research have questions as (1) the difference of visual attention on finishing floor material stimulus, (2) visual attention of initial activity time and type of movement paths on AOIs, and (3) visual relation floor area with another AOIs. Eye movements were recorded with the SMI REDn Scientific, which sampled eye position at 30Hz and lasted 2 minutes(120s). Although viewing was binocular, only the right eye was tracked. Of the 66 observers(mean age 22 years, standard deviation: ${\pm}1.82$)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done by the four point calibration and validation procedures at the beginning tasks. Analyzing qualitative data from the number of fixation and duration on AOIs divided into four parts (AOI I-Floor, AOI II-Wall, AOI III-Ceiling, and AOI IV-Counter) in the stimulus.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analyzed as follows. First, it was significant in the difference of the average number of AOIs fixation times observed for the spatial image using the wood tile flooring material and the polishing tile. The wood tile flooring of stimulus had higher fixation number on AOI-II, AOI-III, and AOI-IV than the polishing tile. On seeing AOI-I was higher attention in the polishing tile stimulus. Second, the observers examined AOI-II intensively in both stimuli. However, the visual intensity was also followed by on the AOI-IV and AOI-I in the wood tile flooring stimulus, and on AOI-I, AO-IV in the polishing tile. Third, visual attention data on each AOIs have divided into the time range of "5 sec" for both images. In the wood tile stimulus,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followed by AOI-II, AOI-IV, and AOI-II. In the polished tile stimulus, the movement path followed by moving vertically to AOI-II, AOI-I, and AOI-II. This study approached meaningfully and fou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atten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intentions of visual attention, the relationship pathways of visual mechanism appeared and also activated by eye-tracking experiments.

만성적인 신체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적용된 임파워먼트 중재 연구 고찰 - 국내를 중심으로 (Literature Review of Empowerment Intervention Studies for Patients with Chronic Physical Health Conditions in Korea)

  • 김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455-467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의 만성적인 신체질환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임파워먼트 중재 연구 특성 및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PICOT-SD (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s, Timing of outcome measurement, Setting, Study design) 전략이 적용되었다. 2000년 1월부터 2020년 4월에 발표된 총 19편의 논문을 선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혈액투석 환자, 뇌졸중 환자, 당뇨병 환자, 만성폐질환자, 고혈압 환자, 암환자, 만성신부전 환자, 신장이식 환자 등이었다. 17편의 문헌에서 개념적 기틀이 제시되었다. 임파워먼트 전략은 참여, 대화, 경험 지지, 상호작용, 지지, 문제해결 등이었다. 자기관리(n=13), 임파워먼트(n=10), 자기효능감(n=7), 우울(n=5)이 많이 측정되었다. 대상자의 자기관리, 임파워먼트, 자기효능감을 측정한 문헌의 60% 이상에서 유의한 개선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고찰 결과, 임파워먼트 중재 연구는 만성적인 신체질환을 가진 환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라고 생각된다. 추후 다양한 변수의 효과를 검증하는 임파워먼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통합 중재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Studie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김은주;최유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383-389
    • /
    • 2013
  • 이 연구는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중재를 실시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근거기반실제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한 후 집단실험설계 연구에 대해서는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크기를 알아보았다. 분석대상 연구는 총 24편으로, 사례연구 7편, 단일대상연구 3편, 집단실험설계 연구 14편(무작위 임상실험설계 5편, 두 집단 비무작위연구 3편, 단일집단 비무작위연구 6편). 메타분석을 통해 실험연구의 전체 효과를 알아본 결과 0.272의 중간크기로 나타났다. 종속변수는 소근육 운동발달이, 출판여부는 출판된 논문이, 연구 설계는 두 집단 비무작위연구에서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가 아동보다, 감각통합중재 프로그램은 기간이 8주, 횟수는 주5회, 시간은 90분에서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한 감각통합중재는 중간 정도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각통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연구물의 축적이 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아동간호학 분야의 연구개념 고찰- 최근 10년 간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Concepts in Child Health Nursing Studies in Korea(1): from 1990 to 2000)

  • 한경자;김현아;김숙영;김정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8권4호
    • /
    • pp.449-457
    • /
    • 200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s appeared on researches and provide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field of child health nursing.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205 studies were included in an analysis the concepts in terms of the domain of client for a total 321 researches. All were originally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00 in Korea. An analysis of concepts for this study was used the metaparadigm framework for nursing proposed by H.S. Kim(2000). The concepts for this study were categorized by essentialistic concepts, problematic concepts, health-care experiential concepts with the following results. 1. Based on the four domains suggested Kim (2000), 205 studies(63.9%) belong to the domain of client ; 109 studies(34%) belong to the practice domain of nursing; 3 studies(0.9%) belong to the client-nurse domain; and 4 studies belong to the domain of environment, respectively. 2. In the domain of client, 117(57.1%) studies used concept of parent. Among them, mother was the prevailing research population(103 studies). 64 studies(31.2%) used child population and the developmental stage of children varied from preterm to puberty but school aged children was the most target population(28 studies). Family as a concept of client was used in 20 studies(9.8%) but most primary care provider was the mother. 3. In terms of research design, non-experimental design(83.5%) is the most and among them survey was 159 studies(77.6%). Qualitative research(23 studies) and experimental research(10 studies) methods were used relatively few. 4. In terms of the categories of concepts, 196 (61.4%) studies included the essentialistic concepts like stress and coping(20.4%), mothering role and child care(7.8%), health (5.6%), breast feeding(4.7%). 31 studies included problematic concepts like power-lessness, safety, obesity, pain, anxiety. And 65 studies included health-care experiential concepts like compliance, growth, hope, environment but relatively few.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the evidence that research related problematic concept and health-care experiential concept should be conducted actively to improve the practice of child health nursing. Also to deeply understand the phenomena of client in field of child health nursing, interpretive research methods should be conducted actively, too.

  • PDF

간호학 석.박사 학위논문의 분석 (An Analysis of Master's and Doctoral Thesis in Nursing - Centered on a Nursing, an Education, and a Public Health Graduate College -)

  • 전시자;홍근표;양원영;이정자;이봉숙;김종일;허혜경;임지영;인주영
    • 대한간호
    • /
    • 제33권2호
    • /
    • pp.45-58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trends of nursing research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n the graduate levels of th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469 abstracts of master's and doctoral rapers from three graduate schools, one in Nursing, another in Education, and the other in Public Health Graduate Colle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research was increased from 102 to 286 between the 1970 s and 1980's. The most frequently employed research design was descriptive studies in the master's level, but there was some balance between descriptive and experimental studies along with some qualitative approaches in the doctoral thesis. Patients were the most often studied sample group reaching 42% of the cases, though it Was noted that there was steady shift: toward the non-ratient population. With this shifting of the study sample, the places of the study also have showed some changes moving toward community. The most widely studied area was in clinical practice. Chronic illness, preventive, and health promoting areas of studies also increased in numbers. However, most of them were at the descriptive level of phenomena and only a few were concerned with cost/effective measures of nursing intervention. The number of variables studied repeatedly more than five times was 43. They were not only physical but also psychosocial aspects which imply the efforts to incorporate the whole person in nursing discipline. However, most researches with repeated studies showed little relation to previous studies, and thus little accumulation in knowledge. There was also little evidence of linkage to nursing theory in most studies of master's level. For the doctoral rapers, 17 out of 51 rapers showed specific theories related to the research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Various research design should be employed including case studies, historical studies, as well as qualitative approaches. There should be more effort to establish linkage between theory and research. The areas needing more attention are Korean Nursing History, Ethics in our Culture, Cost/Effective Measures of Nursing Intervention, Concept and Thory Development, and the Strategies for the Implic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in clinical practice.

  • PDF

환경갈등의 기록화를 위한 내러티브 설계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사례로 (A Design of Narrative Structure for Documenting Environmental Conflicts : Case of Mi-ryang Transmission Towers Construction Conflicts)

  • 설문원
    • 기록학연구
    • /
    • 제42호
    • /
    • pp.287-326
    • /
    • 2014
  • 환경갈등은 지역주민들의 장소 경험이 압축적으로 이루어지는 지역의 핵심 사건이며 로컬리티 기록화에서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영역이다. 이 연구는 밀양 고압 송전탑 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이 10년에 걸쳐 경험한 환경갈등을 기록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갈등사건의 기록화는 이해관계자들의 입장과 관점에 대한 이해 없이 추진하기 어려우며, 기록의 수집 기술이 갈등의 내러티브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프레임을 고려한 동적 내러티브 구조를 제안하였다. 먼저 환경갈등의 특징을 조사한 후, 환경갈등 기록화의 원칙과 절차, 내러티브의 구조와 개발 절차가 포함된 모형을 설계하였다. 갈등 기록화 원칙은 복합적 기록화, 프레임 적용, 동적 내러티브의 구현으로 설정하였다. 동적 내러티브가 형성될 수 있는 기록화의 구조는 ISO 23081의 메타데이터 영역을 응용하여 설계하였으며, 내러티브 설계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 모형을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 사례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갈등사건의 전개과정, 쟁점, 이해관계집단, 갈등의 성격 등을 분석한 후 갈등의 전체 내러티브 및 프레임을 설정하였다. 기록생산 맥락에 대한 기술(사건, 법규, 이해관계자)과 기록 기술을 연계하고 각 사건 기술에 사건을 둘러싼 대립되는 프레임을 추가함으로써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중층적 내러티브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 모형의 장점은 사건, 이해관계자, 법규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축적함으로써 기록 생산 맥락정보를 풍부하게 제공하고, 다중 개체를 이용한 동적 기술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서 정보의 갱신과 추가, 연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방식의 환경갈등 기록화는 공동체의 집단기억 형성을 지원하며 비선호시설의 입지 사업을 추진할 때 지역민의 가치와 인식을 고려한 거버넌스 행정이 이루어지도록 촉구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라벤더향기요법이 통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Lavender Aromatherapy on pain)

  • 박양숙;이미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00-310
    • /
    • 2019
  • 본 연구는 라벤더 향기요법이 통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무작위 실험연구 및 비무작위 실험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 분석하여 근거기반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메타 분석에 포함된 자료는 2000년부터 2018년까지 발표된 18편의 연구로서 중재 대상자는 수술 환자, 산모, 관절염 환자, 투석 환자 등이며 중재 유형은 흡입법, 마사지, 도포, 온습포, 복용 등이다. 연구 결과 통증에 대한 효과크기(Hedges' g)는 - 1.06[95% CI:-1.40:-0.72]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중재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복용 -1.36[95% CI:-1.96, -0.77], 국소 도포 -1.11[95% CI:-1.57 -0.66], 흡입 -1.05[95% CI:-1.54, -0.56], 마사지 -0.92[95% CI:-1.62, -0.23]의 순으로 모두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통증의 효과크기에 대한 이질성($I^2=88%$, p<.01)이 커서, 중재 유형, 연구 설계를 조절변수로 하여 조절효과 분석인 메타 아노바를 시행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중재 방법 Q=0.25, df=3, p=.968, 연구 설계 Q=0.22, df=1, p=.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