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5초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모형(II)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과 귀화식물 -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II) - Rare, Endangered and Naturalized Plants -)

  • 김용식;오구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8-139
    • /
    • 1996
  •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 난대상록활엽수림의 12개 지역을 대상으로 이 지역에 주로 출현하는 상록수종과 생육하고 있는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과 귀화식물을 조사하였다. 난대상록활엽수림에 70% 이상 공통적으로 고르게 출현하는 수종으로는 녹나무과의 생달나무, 후박나무 등 28과 34속 37종류로 파아고디었으묘, 이들 수종은 상록활엽수림의 복원모형을 만드는데 중요한 지표가 되리라 판단된다. 면적 100m$^{2}$당 종수는 보길도가 5.511로 가장 높았으묘, 미조리(4.677), 맹선리(2.481) 등의 순이었다. 관찰된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물푸레나무과의 이팝나무를 포함한 4종 등 총 24과 32종이었으며 보길도에서 13과12종 1변종 등 13종류로 가장 많은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파악되었다. 귀화 및 도입식물의 경우 국화과는 7종, 콩과는 5종, 자리공과는 2종을 파악되었다. 이 외에 비름과, 자작나무과, 능소화과, 명아주과, 닭의장풀과, 측백나무과, 꿀풀과, 아욱과, 분꽃과, 소나무과, 마디풀과 및 낙우송과 등 12과는 각 1종씩 총 12종이 확인되었다. 보길도의 경우 낙우송과의 삼나무 등 총 9과 13속 13종으로 가장 많은 도입 또는 귀화식물이 식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격리된 소규모 도서 생태계의 합리적인 보전을 위한 관리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 PDF

Two Types of Forest Vegetation in Kyungpook Area

  • Ri, Chong 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3권1_2호
    • /
    • pp.17-20
    • /
    • 1980
  • This paper contains the results obtained by ecological investigation of ilora in Muie Island of Incheon Harbor in the xestern coast in Korea. 14 varieties, 1-27 species, 57 families and 142 genera of Tracheophyta were recorded by field investigations conducted over three times in May and July, 1976 and August, 1980. The flora of this island showed a plant community predominated by Pinus densiflol-a grown in miggle with Carpinus laxiflora, Quel-cus serrata and Rhododendron muucronulatum. Generally, the number of plant species was scarce, but it was an unexpected result that such remote mountainous plants as Lysinzachia clethrozdes, Sy7zeilesis palnzata and Lilzunz disttcum etc. were encountered in a wood surrounding Seohwang-dang, the shrine of a tutelary deity, on 126-Meter Hill at the northern end of the island. There also countered in Hoyong mountain valley wer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without pine tree which mainly consisted of Prunus leveillea7za, Fraxinus rhynchophylla, Platycarya strofilada, Quercus serrata. Quercus acutissznza and Acer mono. In addition, herbaceous plants, such as Syneilesis palmata, Codonopsis lanceolata and Lysi\ulcornerna barystnchy were grown as the undergrowth of these forests. Drosera rotundifolio, an unlooked-for plant, . appeared in the middle of the eastern coast of the island. Camellia japo7tica was grown spontaneously in Deogjeog Island 261cm southwest from the island, while no evergreen broa-leaved tree could be located except 2 species of Vztex rotztndifolia and Euo~zymus japonrca. It may be considered that such simple flora of this island compared with that of land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formation of the former took place in the period far latter than that of the latter.

  • PDF

거제도 가라산·노자산 일대 낙엽활엽수림의 생태적 특성 규명 (Identification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Garasan(Mt.)·Nojasan(Mt.) at GeoJae)

  • 이수동;조봉교;이광규;염정헌;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04-219
    • /
    • 2021
  • 본 연구는 남해안에 분포하는 양호한 산림 식생의 복원과 관리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측면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자 가라산과 노자산 서사면에 분포하는 식생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86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군락을 분류한 결과, 저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곰솔-굴피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 계곡부 및 전석지대를 중심으로 출현하는 개서어나무-낙엽활엽수군락, 때죽나무-낙엽활엽수군락, 고로쇠나무-낙엽활엽수군락, 낙엽활엽수군락, 느티나무군락, 상대적으로 해발고가 높고 급경사 사면에 분포하는 졸참나무군락, 졸참나무-때죽나무군락, 때죽나무-소사나무군락, 참회나무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천이경향상 상록침엽수는 낙엽활엽수로의 천이가 진행될 것이나 수령이 약 50년인 개서어나무, 느티나무, 고로쇠나무 등 낙엽활엽교목림은 층위구조가 발달되었을 뿐만 아니라 생태적으로 안정되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요인으로는 표고, pH, 점토와 실트의 함량, Mg++, Ca++ 등이 식물 군락 분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uccession on the Pinus thunbergii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s, Jeju Island, South Korea

  • Hong, Yongsik;Kim, Euijoo;Lee, Eungpill;Lee, Seungyeon;Cho, Kyutae;Lee, Youngkeun;Chung, Sanghoon;Jeong, Heonmo;You, Youngh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4호
    • /
    • pp.438-453
    • /
    • 2019
  •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succession occurring at the Pinus thunbergii forests on the lowlands of Jeju Island, we quantified the species compositions and the importance values by vegetation layers of Braun-Blanquet method on the Pinus thunbergii forests. We used multivariate analysis technique to know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vegetation group types and the location environmental factors; we used the location environment factors such as altitudes above sea level, tidal winds (distance from the coast), annual average temperatures, and forest gaps to know the vegetation distribution pattern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n the lowland of Jeju Island, the understory vegetation of the lowland Pinus thunbergii forests was dominated by tall evergreen broad-leaved trees such as Machilus thunbergii, Neolitsea sericea, and Cinnamomum japonicum showing a vegetation group structure of the mid-succession, an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vegetation were determined by the altitudes above sea level, the tidal winds on the distance from the coast, the annual average temperatures, and the forest gaps. We could discriminate the secondary succ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Pinus thunbergii forests on the lowland and highland of Jeju Island of South Korea. Conclusions: In the lowland of Jeju Island, the secondary succession will progress to the form of Pinus thunbergii (early successional species)→Machilus thunbergii, Litsea japonica (mid-successional species)→Machilus thunbergii (late-successional species) sequence in the temperate areas with strong tidal winds. In the highland of Jeju Island, the succession will progress to the form of Pinus thunbergii (early successional species)→Neolitsea sericea, Eurya japonica (mid-successional species)→Castanopsis sieboldii (late-successional species) sequence in the areas where tidal winds are weak and temperatures are relatively low. However, local differences between lowland and highland of Jeju Island will be caused by the micro-environmental factors resulting from the topographic differences and the supply of tree seed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succession study, we could properly predict and manage the Pinus thunbergii forest ecosystem on lowland and highland of Jeju Island.

한반도 도서지역의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f Plants Social Network on Island Area in the Korean Peninsula)

  • 이상철;강현미;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7-142
    • /
    • 2024
  • 본 연구는 난온대림에 속한 도서지역에서 조사한 대량의 식생 데이터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식물군락의 수종간 상호관계를 파악하고자 했다. 상록활엽수 성숙림에 출현하는 교목성 후박나무·구실잣밤나무·생달나무·광나무, 관목성 돈나무·자금우, 덩굴성 마삭줄·멀꿀이 서로 강한 양성결합(+)을 보였다. 이 수종들은 낙엽활엽수종과는 음성결합(-)하거나 친소관계가 없었는데 이는 입지환경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식물사회네트워크 소시오그램에서 4개의 그룹으로 묶어 상록활엽수종인 그룹I과 낙활엽수종인 그룹II의 수종간에는 중심성과 연결성이 높게 나타났다. 소시오그램의 수종(노드) 배치와 연결정도(그룹화)는 DCA분석와 같이 환경요인과 식물군집의 특성을 간접적으로 추정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식물사회네트워크상 중심성과 영향력이 큰 수종은 마삭줄·사스레피나무·생강나무·때죽나무 등이었다. 이 수종은 생태적 지위의 범위가 넓은 일반종이면서 숲틈과 훼손지 등에 흔히 출현하는 기회종의 특성과 생존전략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이 수종들이 식물군집의 종간 상호작용과 군집의 구조와 기능 변화에 그 역할이 클 것이다. 하지만 실제 식물사회에서 어떤 상호작용을 통해 식물군집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장기적인 연구와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사스레피나무 군락의 생태적 특성 및 식생구조 분석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of Eurya Japonica Community -Focusing on Busan Metropolitan City-)

  • 장정은;이상철;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7-169
    • /
    • 2020
  • 부산광역시 내 사스레피나무를 중심으로 한 생태적 특성 및 식생구조 파악을 위하여 사스레피나무가 출현한 조사구(면적 100㎡) 89개를 설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 및 DCA 분석을 통해 89개의 조사구는 졸참나무-소나무-사스레피나무 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 군락, 곰솔-동백나무 군락으로 총 3개의 군락으로 나뉘었다. 군락 I은 졸참나무-소나무-사스레피나무 군락으로 해발고도가 높은 내륙에 주로 분포하며, 교목층에 졸참나무와 소나무가 경쟁관계인 상태에서 아교목층에 사스레피나무가 우점하였고 극상 수종 중 하나인 개서어나무가 관목부터 교목층까지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어 향후 낙엽성 참나무류 또는 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으로 천이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군락 I에서 사스레피나무는 다른 상록활엽수에 비해 해발고도가 높은 내륙에 위치하며, 낙엽활엽수림으로 천이되어도 수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군락 II는 곰솔-사스레피나무 군락으로 특별한 교란요인이 없는 한 현 상태를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군락 III은 동백섬에 위치한 곰솔-동백나무 군락으로 인위적인 관리를 받고 있었다. 교목층에는 곰솔이 단일 수종으로 출현하였고, 아교목층에서 동백나무가 우점하였으며, 비관리지역의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사스레피나무와 다수의 상록활엽수가 각각 출현하였다. 따라서 군락 III에서는 동백나무를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관리가 없을 경우 사스레피나무가 우점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관목층에 후박나무, 돈나무 등 상록활엽수종들이 다수 출현하고 있는데 기온이 계속해서 상승한다면 향후 곰솔은 쇠퇴하고 상록활엽수림으로 천이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89개의 조사구에서 출현한 수종들과 사스레피나무의 상관관계를 Pearson 상관계수를 통해 분석한 결과, 9가지 수종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0.05). 그중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수종은 돈나무, 떡갈나무 등 4종이 있었으며,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수종은 5가지 수종으로 그중 사스레피나무와 동일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 동백나무가 -0.384로 가장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多島海 海上國立公園內의 常綠闊葉樹林에 對한 植物社會學的 硏究 - 鳥島群島의 植生을 中心으로 -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The Vegetation of Chodo Archipelago-)

  • Kim, Chul-Soo;Oh, Jang-Ge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3호
    • /
    • pp.181-190
    • /
    • 1990
  • Chodo Archipelago ($125^{\circ}$45 $-126^{\circ}$13 E and $34^{\circ}$15 $-34^{\circ}$25 N, ca. $56.7km^2$), a part of the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largely is covered with substitutional vegetation under various human impact such as grazing, cutting for firewood. However natural vegetation is partially distributed in the tutelary shrine forests, deep valleys and etc. From October 1988 to June 1989,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is forest vegetation was carried out by Braun-Blanquet s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association and 7 communities. Ardisio-Castanopsietum sieboldii, Machilus thunbergii, Quercus acuta, Litsea japonca, Eurya japonica-Pinus thunbergii mixed forest, Pinus densiflora, Pinus rigida afforestation. Carpinus coreana communit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drawn in 1 : 50,000 scale.

  • PDF

천리포수목원 닭섬의 상록활엽수림 복원모니터링(I) (Ecological Monitoring for the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f Taks m at Chollipo Arboretum, Korea(I))

  • 배준규;송기훈;정문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9-117
    • /
    • 1999
  • 서해안 및 도서지역의 상록활엽수림 복원을 위한 기초조사로서 상록활엽수림의 복원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천리포수목원 닭섬에 대한 현존식생구조를 밝히고 도입식물들의 활착 상태를 조사하였다. 천리포수목원의 한랭지수는 -7.7$^{\circ}C$.month로 목포(-7.6$^{\circ}C$.month)와 거의 비슷하였으며, 서해안을 흐르는 황해난류의 영향으로 한서의 차가 비교적 적은 난온대성 기후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11개 식생구조구에 대한 식생조사 결과 곰솔이 우점종이었으며 1976년부터 식재하기 시작한 상록활엽수는 26종 708개체이었으며, 이 중 15종 121개체가 활착하여 약 19.1%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 PDF

천관산도립공원의 식생 특성 (Vegetation Characteristics in Cheongwansan Provincial Park)

  • 강지우;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3-178
    • /
    • 2023
  • 본 연구는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천관산도립공원의 식생 특성을 파악하여 천관산도립공원의 지속적인 관리와 보호에 필요한 자료를 구축하고자 진행되었다. 천관산도립공원의 63개 조사구에 대한 식물군집구조 분석 결과, TWINSPAN과 DCA분석을 통해 삼나무군락(I), 편백-소나무군락(II), 리기다소나무-소나무군락(III), 침활혼효군락(IV), 소나무군락(V), 낙엽성참나무류군락(VI), 신갈나무-소나무군락(VII), 곰솔군락(VIII)의 총 8개 군락으로 나뉘었다. 이는 조림수종인 삼나무와 편백, 리기다소나무가 우점하는 인공림 군락(I, II, III)과 자생수종이 우점하는 자연림 군락(IV, V, VI, VII, VIII)으로 나눌 수 있다. 천관산도립공원은 자연생태계나 경관을 대표할 만한 도립공원 지역임에도 다른 도립공원에 비해 인공림의 출현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인공림 군락은 조림수종이 인위적으로 식재된 형태로 대부분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주변 자연림을 통해 유입된 난온대 수종인 후박나무와 참식나무 등과 낙엽활엽수 등의 자생종이 하층에 출현하고 있어 관리를 통해 기후적 특성에 맞는 자연림으로의 천이 유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또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연림 군락은 대부분 낙엽성참나무류와 소나무가 경쟁하고 있는 상태로 한국 난온대 지역의 식생천이계열상 천이 초기단계로 보여지며, 천이계열상 침엽수 다음으로 출현하는 졸참나무나 신갈나무로의 천이가 진행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난온대 지역의 천이 중간단계에서 출현하는 후박나무, 참식나무 등이 출현을 시작하고 있으며, 기후 특성을 고려하면 장흥군은 난온대 지역에 속해있어 최종적으로 상록활엽수가 우점하는 난온대림으로의 천이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를 통해 식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천관산도립공원의 식생자료를 구축하였다. 하지만 천관산도립공원의 식생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으로 산림식생자료 구축과 식생변화 관찰 등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loristic study of bryophytes in a subtropical forest of Nabeup-ri at Aewol Gotjawal, Jejudo Island

  • YIM, Eun-Young;HYUN, Hwa-Ja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00-108
    • /
    • 2018
  • This study presents a survey of bryophytes in a subtropical forest of Nabeup-ri, known as Geumsan Park, located at Aewol Gotjawal in the northwestern part of Jejudo Island, Korea. A total of 63 taxa belonging to Bryophyta (22 families 37 genera 44 species), Marchantiophyta (7 families 11 genera 18 species), and Anthocerotophyta (1 family 1 genus 1 species) were determined, and the liverwort index was 30.2%. The predominant life form was the mat form. The rates of bryophytes dominating in mesic to hygric sites were higher than the bryophytes mainly observed in xeric habitats. These values indicate that such forests are widespread in this study area. Moreover, the rock was the substrate type, which plays a major role in providing micro-habitats for bryophytes. We suggest that more detailed studies of the bryophyte flora should be conducted on a regional scale to provide basic data for selecting indicator species of Gotjawal and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n Jejudo Is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