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ent mean Concentrations (EMC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6초

강우시 한강유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과 토지이용도와의 관계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the Han River Watershed)

  • 정성민;엄재성;장창원;최영순;김범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55-268
    • /
    • 2012
  • Nonpoint source pollution has become a concern for water quality in the Han River system, especially during the high runoff events during the monsoon season. The patterns in nonpoint source runoff the relationships with land use, rainfall intensity, and stream nutrients concentrations were surveyed in 19 streams in the Han River watershed. The results show that the magnitude of NPS inputs of nutrients and sediment in the Han River watershed are of a serious concern. In the South Han River watershed, event mean concentrations (EMC) for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suspended sediment (SS),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dissolved total phosphorus (DTP), total nitrogen (TN) Nitrate ($NO_3$-N) and total phosphorus (TP) were $1.94mg{\cdot}L^{-1},\;251mg{\cdot}L^{-1},\;2.75mg{\cdot}L^{-1},\;0.076mg{\cdot}L^{-1},\;2.82mg{\cdot}L^{-1},\;2.40mg{\cdot}L^{-1}$ and $0.232mg{\cdot}L^{-1}$, respectively. In the North Han River watershed, EMCs for BOD, SS, DOC, DTP, TN, $NO_3$-N and TP were $1.34mg{\cdot}L^{-1},\;172mg{\cdot}L^{-1},\;2.63mg{\cdot}L^{-1},\;0.032mg{\cdot}L^{-1},\;1.97mg{\cdot}L^{-1},\;1.55mg{\cdot}L^{-1}$ and $0.148mg{\cdot}L^{-1}$, respectively. The specific export coefficients of nutrient and sediment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other reports. Our study also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agricultural field are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MCs for nutrients. Therefore, efforts to reduce NPS loading must focus on agricultural practices in the watershed.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and nutrient and sediment export foun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derive estimates of runoff coefficients for agricultural field and as input data for modeling works and to develop total maximum daily load and best management practices in the Han River watershed.

농촌 소유역에서 EMC를 이용한 오염물질 부하량 산정기법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EMC-based Empirical Model for Estimating Pollutant Loads from Small Agricultural Watersheds)

  • 김영철;김건하;이동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691-70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유역과 강우특성을 통합하여 오염물질 부하량을 계산할 수 있는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기법의 기본적인 개념은 특정유역에서 강우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유량 가중평균 농도, 즉 EMC 변화는 오로지 강우패턴에 의해 결정된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가정은 적어도 유역의 토지이용에 급격한 변화가 없고(적어도 강우가 집중되는 경작기간동안) 점 오염원이 적은 농촌유역에서는 타당하다. 따라서, 다양한 농촌유역과 강우 패턴 조건에서 조사된 많은 EMC 자료가 있다면 EMC와 토지이용, 그리고 강우특성 사이의 유용한 경험적인 관계식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9개의 서로 다른 유역에서 51개의 독립적인 강우사상에서 조사된 EMC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시 발생하는 EMC 값을 예측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통계학적인 검토결과 개발된 경험식은 실제 측정한 EMC 값을 양호한 수준에서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을 뿐만 아니라 EMC 자료와 유효 강우량에 기초하여 강우일, 주, 월, 년 단위의 부하량을 산출이 가능하였다. 또한, EMC 값과 유효 강우량에 의해 계산된 부하량으로부터 산출한 원 단위를 기존의 잘 알려진 경험적 원 단위와 비교 평가하였다.

교통관련 토지이용에서의 강우계급별 EMC 산정 (Determination of EMCs for Rainfall Ranges from Transportation Landuses)

  • 이소영;;최지연;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7-76
    • /
    • 2009
  • 비점오염원에 의한 4대강의 오염부하율은 2004년 기준으로 22~37 %로 나타났으며, 2020년에는 60 %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토지이용의 고도화에 따른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이 증가하기 때문이며, 지속적인 점오염원 관리와 더불어 비점오염원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시에는 하천의 수질개선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환경부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를 도입하여 수생태계의 입장에서 수질개선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비점오염원 관리에 관심을 쏟고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강우시 발생되어 유역의 특성 및 다양한 강우인자들의 영향을 받아 불확실성이 매우 크기에 오염물질별 EMC 및 부하량 산정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니터링 지점으로 국도와 주차장을 선정하여 최근 3년 동안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오염물질별 EMC산정과 함께 모니터링 지점에 대한 강우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산정된 EMC를 강우계급별로 나누어 EMC를 재 산정하였다. 그 결과, TSS의 평균 EMC는 강우계급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대부분 10 mm 이하의 강우에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의 강우특성이 반영된 EMC를 산정하여 제시함으로써 비점오염저감시설의 효율적 규모 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한 교통지역 비점오염원 EMCs 산정 연구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Nonpoint Source EMCs using SWMM in Transportation Area)

  • 권헌각;임태효;이재운;정현기;이춘식;천세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3-20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중 교통지역을 대상으로 장기 모니터링된 비점오염원 부하유출 결과를 검 보정 자료로 적용하여 SWMM 모형을 지점별로 구축하였다. SWMM을 통해 모의된 EMCs값의 변동범위는 BOD, $COD_{Mn}$, SS, T-N, T-P 농도가 각각 5.7~14.4 mg/L, 12.9~59.6 mg/L, 13.74~46.20 mg/L, 2.03~5.21 mg/L, 그리고 0.117~0.415 mg/L이었다. 또 이 결과를 현장 실측치와 비교한 결과, 실측치에 대한 모의치 오차(%)가 각각 4.2%, 4.8%, 2.3%, 5.7%, 14.4%으로 총인의 14.4%를 제외하고 오차범위가 10% 이하이었다. 문헌조사 결과와의 비교에서도, BOD, T-P의 경우는 문헌조사 농도변화 범위 내에 포함되었으며, CODMn, SS의 경우 범위보다 낮게 산정되었다. 그러나 T-N의 경우 범위보다 높았다. 이러한 차이는 기존 문헌이 조사된 시기와 토지이용형태가 달라진 최근의 비점오염원 유출 농도를 장기 모니터링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구축, 모의 된 EMCs의 경우 실측값을 잘 대변하였다. 따라서 문헌 결과와의 일부 차이는 조사 시기별 토지이용 형태에 의한 차이로 보이며, 향후 좀 더 다양한 강우사상 및 지점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국내 대푯값으로 적용할 수 있는 EMCs를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산강 유역 도시지역의 비점오염원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Source in the Urban Area of the Youngsan-River Basin)

  • 진영훈;박성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05-613
    • /
    • 2006
  •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and load amount of the discharge in the urban area were investigated in the Pungyeongjeong-stream basin and the Yongbong-stream basin in this present study. The land use of the studied basins were divided into paddy field, industrial complex area, combined sewage system, separate sewer system and point sources discharge. The descriptive statistics on the event mean concentrations (EMCs) of non-point pollutants by the the land use showed in the range of 4.43-32.28 mg/L for BOD and 8.27~56.17 mg/L for COD.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shown from the combined sewage system. The EMC of SS at the paddy field in the Pungyeongjeong-stream basin showed the highest range with the values ~ from 35.76 to 358.86 mg/L, which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a levee construction in the adjacent of the area. Th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values of 4.43~32.28 mg/L and 1.617.13 mg/L emerged from TN and TP,respectively, at the discharge points of the both stream basins.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지역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분석 (Evaluation of Pollutants Concentrations and Runoff Characteristics in Highway Rest Area)

  • 김정현;강희만;고석오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31-137
    • /
    • 2010
  • 최근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경부 및 유관단체를 중심으로 노면 유출수를 포함한 비점오염원(Non point source)에 대한 현황 조사 및 처리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고속도로 휴게소 주차장 노면 유출수는 고속도로 본선 노면 유출수보다 유해물질 오염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본 연구는 이 지역의 노면 유출수 오염도 조사를 통해 유출수 평가 및 노면 유출수 저감시설의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휴게소 노면유출수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휴게소지점에 대한 강우 유출수 분석 결과 포장지역의 특성인 초기강우현상을 볼 수 있었으며, 강우초기에 입자상물질은 중금속과 결합하여 다량 유출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휴게소 지점의 강우유출수에 대한 오염물질별 EMC에 대한 95% 확신범위로는 TSS 128.2-273.4mg/L, COD 145.4-310.1mg/L, TN 6.1-11mg/L, TP 1.9-2.9mg/L의 범위로 분석되어 고속도로에서 유출되는 강우유출수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중금속의 경우 고속도로에 비해 고농도의 중금속이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차량 정차시 브레이크 패드나 타이어의 마모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휴게소지점에 대한 면적당 발생되는 부하량 통계분석결과, TSS의 평균 부하량은 $1411.6mg/m^2$로 산정되었으며, COD $709.7mg/m^2$, TN $44.0mg/m^2$, TP $10.4mg/m^2$로 산정되었다. 중금속의 경우 Total Cu $12927.4{\mu}g/m^2$, Total Fe $32074.4{\mu}g/m^2$, Total Pb $40371{\mu}g/m^2$, Total Ni $10679.2{\mu}g/m^2$로 산정되었다.

강우시 시화호 농촌 및 공단유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Runoff from Agricultural and Industrial Areas in Lake Sihwa Watershed)

  • 김세원;최광순;김동섭;이미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68-777
    • /
    • 2009
  • The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runoff was examined on distinct types of agricultural and industrial area in Lake Sihwa watershed. During rainfall event, the peak concentrations of SS, $COD_{Mn}$, and TP were observed after 6~11 hours of rainfall in agricultural areas. Whereas, the peak concentrations occurred within the first one hour after rainfall and then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NPS pollutants sharply decreased, showing strong first flush effect in industrial areas. The strong first flush effect of suspended solid was apparent in agricultural areas, while those of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were clear in industrial areas. The cumulative load curves for NPS pollutants showed above the $45^{\circ}$ straight line, indicating that first flush effect occurred in industrial areas. The mean SS EMC values of agricultural areas ranged from 60~598 mg/L (Avg. 285 mg/L), it was higher value when compare to other areas. While the mean $COD_{Mn}$, TN, and TP EMCs values of industrial areas were shown the highest values as 67.7 mg/L, 12.1 mg/L and 2.1 mg/L respectively.

강우시 불투수성 지역의 비점오염물질 EMCs 산정 및 초기세척효과 분석 (Analysis of First Flushing Effects and EMCs of Non-point Pollutants from Impervious Area during Rainfall)

  • 안태웅;김태훈;오종민
    • 생태와환경
    • /
    • 제45권4호
    • /
    • pp.459-473
    • /
    • 2012
  • 본 연구는 강우시 불투수성 지역에서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불투수성 지역의 강우사상 특성은 강우강도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강도가 크게 작용하면, 초기강우 현상이 잘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무강우일수에 의해서 비점오염물질의 농도차가 큰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불투수성 지역의 비점오염원 유출 경향을 보면, 강우초기 유출 유량에 포함되어 유출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지속되는 강우에도 불구하고 오염물질의 농도는 증가하지 않고 낮은 농도로 안정적인 유출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이유는 건기 시 도로 표면에 집적되어 있던 오염물질들이 강우시 초기에 유출되어 비점오염물질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투수성 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 오염물질 항목별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은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불투수성 지역의 특성상 아스팔트로 되어 있는 도로 및 주차장, 교량 등이 있는 불투수면이 대부분의 토양상부를 덮고 있기 때문에 강우시 불투수성 지역 내 모니터링 지점에서 강우가 집중되어 유출되기 때문에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이 증가하기 때문에 오염부하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강우시 초기세척 효과는 TSS의 경우, Event 1, Event 2에서 초기세척효과가 매우 잘 관찰되었으며, TSS> $COD_{Mn}$ >T-P 순으로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SS와 $COD_{Mn}$가 가장 민감하게 강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향후 비점오염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비점오염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수계환경의 오염부하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속도로 강우 유출수내 오염물질의 EMC 및 부하량 원단위 산정 (Determination of Event Mean Concentrations and Pollutant Loadings in Highway Storm Runoff)

  • 김이형;강주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31-640
    • /
    • 2004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agnitude and nature of the stormwater emissions with the goal of quantifying stormwater pollutant concentrations and mass emission rates of pollutants. Eight highway sites in Southern California area were monitored for three years with collecting of grab and flow-weighted composite samples, rainfall and runoff flow. Generally the EMCs cannot be determined by simple statistical averaging of measured pollutant concentrations because of random characteristics of runoff quality and quantity. Therefore, this manuscripts will show a new EMC determination method. The EMC ranges of 95% confidence intervals are 102.78-216.37mg/L for TSS, 104.53-251.79mg/L for COD, 5.42-10.58mg/L for oil & grease and 2.42-10.18mg/L for TKN. The ranges of washed-off mass loading are determined to $0.06g/m^2-17.27g/m^2$ for TSS and $0.1-3.23g/m^2$for COD.

도로노면 유출수의 비점오염원 배출 특성(1): 기본 수질 항목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from the Road Runoff (1): Water Quality)

  • 박상우;오재일;최영화;서정우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25-233
    • /
    • 2007
  • Road runoff water is one of the non-point sources (NPSs) of pollution negatively influencing drinking water source. Numerous road runoff NPS waters have been studied for over the last decade. However, the sources of pollution can be conditional, seasonal, or accidental. Therefore, measurement of pollutant loadings in different site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effect of road runoff wat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ality of road runoff water from a city bridge in Seoul,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wo years to assess annual discharge pollution loads. In this study, key water quality parameters including chemical oxygen demand ($COD_{Cr}$), biochemcial oxygen demand ($BOD_5$),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us (T-P), and suspended solid (SS) were measured at 18 different ev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ypically the pollutant concentrations are higher at the beginning of each event and decrease afterwards. The first 20% of the volume of the runoff from each event is transporting 46% ($COD_{Cr}$), 48% ($BOD_5$), 50% (T-N), 34% (T-P), 30% (SS), respectively. The event mean concentrations (EMCs) were $COD_{Cr}$ (199 mg/L), $BOD_5$ (41.2 mg/L), T-N (7.97 mg/L), T-P (0.42 mg/L) and SS (113 mg/L). Although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y (Barbosa and Hvitved-Jacobsen, 1999), $COD_{Cr}$, $BOD_5$, T-N exhibit a stronger first flush effect compared to the other contamin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