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luation of surgical outcome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6초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 A Review of Techniques Used for Brain Tumor Surgery in Children

  • Kim, Keewon;Cho, Charles;Bang, Moon-suk;Shin, Hyung-ik;Phi, Ji-Hoon;Kim, Seung-Ki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3호
    • /
    • pp.363-375
    • /
    • 2018
  • Intraoperative monitoring (IOM) utilizes electrophysiological techniques as a surrogate test and evaluation of nervous function while a patient is under general anesthesia. They are increasingly used for procedures, both surgical and endovascular, to avoid injury during an operation, examine neurological tissue to guide the surgery, or to test electrophysiological function to allow for more complete resection or corrections. The application of IOM during pediatric brain tumor resections encompasses a unique set of technical issues. First, obtaining stable and reliable responses in children of different ages requires detailed understanding of normal age-adjusted brain-spine development. Neurophysiology, anatomy, and anthropometry of childre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adults. Second, monitoring of the brain may include risk to eloquent functions and cranial nerve functions that are difficult with the usual neurophysiological techniques. Third, interpretation of signal change requires unique sets of normative values specific for children of that age. Fourth, tumor resection involves multiple considerations including defining tumor type, size, location, pathophysiology that might require maximal removal of lesion or minimal intervention. IOM techniques can be divided into monitoring and mapping. Mapping involves identification of specific neural structures to avoid or minimize injury. Monitoring is continuous acquisition of neural signals to determine the integrity of the full longitudinal path of the neural system of interest. Motor evoked potentials and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are representative methodologies for monitoring. Free-running electromyography is also used to monitor irritation or damage to the motor nerves in the lower motor neuron level : cranial nerves, roots, and peripheral nerves. For the surgery of infratentorial tumors, in addition to free-running electromyography of the bulbar muscles, brainstem auditory evoked potentials or corticobulbar motor evoked potentials could be combined to prevent injury of the cranial nerves or nucleus. IOM for cerebral tumors can adopt direct cortical stimulation or direct subcortical stimulation to map the corticospinal pathways in the vicinity of lesion. IOM is a diagnostic as well as interventional tool for neurosurgery. To prove clinical evidence of it is not simple. Randomized controlled prospective studies may not be possible due to ethical reasons. However,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ies confirming prognostic value of IOM are available. Furthermore, oncological outcome has also been shown to be superior in some brain tumors, with IOM. New methodologies of IOM are being developed and clinically applied. This review establishes a composite view of techniques used today, noting differences between adult and pediatric monitoring.

Wolter 금속판를 이용한 제 2형 원위부 쇄골 골절의 치료 (Treatment of Type 2 Distal Clavicle Fracture using Wolter Plate)

  • 신성일;송경원;이진영;이승용;김갑래;현윤석;이광남;이은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14-20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Wolter 금속판을 이용한 제 2형 원위부 쇄골 골절 치료의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부터 2007년까지 Wolter 금속판으로 치료한 제 2형 원위부 쇄골 골절을 가진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32.6세 이었고, 수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22.9 개월이었다. 정복 및 골유합의 평가는 수술 직후 및 최종 방사선 소견을 이용하였고, 기능적 평가는 Kona의 기능적 평가 기준 및 Constant 점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Kona의 기능적 평가기준에 의해 우수 12예, 양호 3예, 보통 1예의 결과를 보였으며 Constant 점수는 평균 90점을 보였다. 16예 모두에서 골 유합을 확인하였으며, 합병증으로는 1예에서 금속판의 갈고리 부분이 돌출되어 피부에서 촉지 되었으며, 1예에서 견봉 골절이 발생하였으나 2예 모두 만족할 만한 골유합 소견을 보였으며, 그 외 견봉-쇄골 관절의 관절염, 감염증 등 다른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제 2형 원위부 쇄골 골절에서 Wolter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법은 쉽게 만족스런 정복과 견고한 고정을 얻을 수 있고, 불유합의 발생이 적으며, 임상적 결과가 우수한 수술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활로 4징증 수술 전후 압력 측정치가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rognosis with Hemodynamic data in Corrective Surgery of Tetralogy of Fallot - PA-LA peak pressure gradient as a new criteria -)

  • 김응수;김근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0권1호
    • /
    • pp.30-38
    • /
    • 1987
  • Sixty-eight consecutive patients have been subjected to total corrective surgery of tetralogy of Fallot at the Hanyang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ugust 1975 and December 1984. Of these, the pressure of chambers and great arteries were measured, before and immediately following an operation in 39 of the survived group and 11 of the expired group. The values of postoperative peak pressure were correlated with the outcome of the operation. The result are as followings; 1] Compared to the average peak pressure of right atrium in the survived group, 14.46*4.16 mmHg, that in the expired group, 19.36*8.19 mmHg, was significantly lower, 2] Compared to the average systolic pressure of right ventricle in the survived group, 56.72z16.37 mmHg, that in the expired group, 70.45*15.26 mmHg, was significantly lower. 3] Compared to the average systolic pressure of pulmonary artery in the survived group, 33.26*12.95 mmHg, that in the expired group, 37.55*11.63 mmHg, was higher.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4] Compared to the average peak pressure of left atrium in the survived group, 17.41*6.90 mmHg, that in the expired group, 31.18*12.47 mmHg, was significantly higher. 5] Compared to the average systolic pressure of left ventricle in the survived group, 103.82~12.83 mmHg, that in the expired group, 90.55*20.02 mmHg, was significantly lower. 6] Compared to the average value of the right ventricle-pulmonary artery systolic pressure gradient [RV-PA] in the survived group, 24.95a15.44 mmHg, that in the expired group, 35.09*17.01 mmHg, was significantly higher. 7] Compared to the average value of the right ventricle to left ventricle systolic pressure ratio [RV/LV] in the survived group, 0.55*0.15, that in the expired group, 0.80a0.20, was significantly higher. 8] Compared to the average value of the pulmonary artery-left atrium peak pressure gradient [PA-LA] in 15.85x12.29 mmHg that in the expired group, 4.18x6.00 mmHg, was significantly lower.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in the operating room, PA-LA is as valuable as RV - PA, RV/LV in making important surgical decision and predicting the prognosis.

  • PDF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echniques for Control of Pain in Lung Cancer Patients: An Integrated Review

  • Phianmongkhol, Yupin;Thongubon, Kannika;Woottiluk, Pakap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6033-6038
    • /
    • 2015
  • Background: Experience of lung cancer includes negative impacts on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Pain is one of the negative experiences of lung canc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echniques are often recommended as treatments for lung cancer pain. The objective of this review was to synthesize the evidence on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echniques in treating lung cancer pain. This review considered studies that included lung cancer patients who were required to 1) be at least 18 years old; 2) speak and read English or Thai; 3) have a life expectancy of at least two months; 4) experience daily cancer pain requiring an opioid medication; 5) have a positive response to opioid medication; 6) have "average or usual" pain between 4 and 7 on a scale of 0-10 for the day before the clinic visit or for a typical day; and 7) able to participate in a pain evaluation and treatment program. This review considered studies to examine interventions for use in treatment of pain in lung cancer patients, including: biofeedback, cognitive/attentional distraction, imagery, hypnosis, and meditation. Any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that examin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echniques for pain specifically in lung cancer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bsence of RCTs, quasi-experimental designs were reviewed for possible conclusion in a narrative summary. Outcome measures were pain intensity before and after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techniques. The search strategy aimed to find both published and unpublished literature. A three-step search was utilised by using identified keywords and text term. An initial limited search of MEDLINE and CINAHL was undertaken followed by analysis of the text words contained in the title and abstract, and of the index terms used to describe the article. A second search using all the identified keywords and index terms was then undertaken across all included databases. Thirdly, the reference list of all identified reports and articles were searched for additional studies. Searches were conducted during January 1991- March 2014 limited to English and Thai languages with no date restriction. Materials and Methods: All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assessed for methodological quality by three reviewers using a standardized critical appraisal tool from the Joanna Briggs Institute (JBI). Three reviewers extracted data independently, using a standardized data extraction tool from the Joanna Briggs Institute (JBI). Ideally for quantitative data meta-analysis was to be conducted where all results were subject to double data entry. Odds ratios (for categorical data) and weighted mean differences (for continuous data) and their 95% confidence intervals were to be calculated for analysis and heterogeneity was to be assessed using the standard Chi-square. Where statistical pooling was not possible the finding were be presented in narrative form. Results: There were no studies located that met the inclusion requirements of this review. There were also no text and opinion pieces that were specific to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echniques pain and lung cancer patients.Conclusions: There is currently no evidence available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techniques for pain in lung cancer patients.

한국형 환자참여 간호사 침상인계 프로토콜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rotocol for Bedside Nursing Handoff with Patient Engagement in a Tertiary Hospital in South Korea)

  • 이태화;지윤정;장연수;도현옥;오경환;김창경;천자혜;신혜경;조미영;배정임
    • 임상간호연구
    • /
    • 제26권1호
    • /
    • pp.117-13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bedside nursing shift report protocol and evaluate the effect of the protocol in a tertiary hospital in South Korea. Methods: The bedside nursing handoff protocol with patient engagement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validation of an expert group. The effect of the protocol on clinical implication was tested in three medical-surgical units in a tertiary hospital. Outcomes were assessed by patient perception, nurse perception, and reporting time. Data collected from June to August in 2018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 using SPSS version 25.0. Results: The bedside nursing shift report protocol with patient engagement consisted of two steps: nurse to nurse report and bedside report with patients. Nurse's perception with patient engagem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pplying protocol (F=17.85, p<.001). Patient's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areas of discharge plan (F=7.86, p<.001), health information privacy (F=4.46, p=.012) and identify attending nurse (F=3.19, p=.04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porting time between the bedside nursing shift report and a traditional shift report (F=0.61, p=.054). Conclusion: Patient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nurse perception was not different after applying this protocol. For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nurses, education may be preceded to improve nurses' competence for the bedside shift report. Furthermore, the support in enough nurse staffing should be needed for encouraging the bedside shift report. The bedside shift report may enhance patient engagement. Therefore it may improve patient safety and health outcome in clinics.

흉강 튜브 삽입을 위한 넓은 등근 아래 터널 만들기 방법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a Tunneling Technique under the Latissimus Dorsi Muscle for Thoracostomy Tube Placement in Eleven Dogs)

  • 윤헌영;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368-371
    • /
    • 2012
  • 본 연구는 개흉술을 실시한 11 마리 개에서 수술 후 흉강 내 음압 형성을 위한 흉강 튜브 삽입방법으로 넓은 등근 아래 흉강 튜브 삽입 방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 하였다. 흉강 튜브 삽입을 위해 수술 창 뒤쪽으로 다섯 번째 늑간 늑골 위 피부와 넓은 등근에 작은 절개창을 형성하였다. 지혈겸자를 장착한 흉강 튜브를 근육 아래 터널을 통과하여 흉강 내로 삽입하였으며 튜브 장착 후 절개창 주위에 매트리스 봉합법을 이용하여 봉합사를 설치하였다. 수술 후 흉강 내 음압을 형성한 다음 흉강 튜브를 제거하였다. 튜브 관련 부작용을 확인 하기 위해 튜브 삽입 시 튜브 꺽임 현상과 수술 후 신체 검사 및 방사선 검사를 통한 기흉, 피하 기종, 호흡곤란 여부를 확인 하였다. 튜브 삽입 시 튜브 꺽임 현상과 수술 후 기흉 및 호흡 곤란 증상이 11 마리 개 모두에서 확인 되지 않았다. 신체 검사에서 튜브 삽입 주위 피하 기종이 한 마리에서 관찰 되었으나 별다른 치료 없이 3일 후에 사라졌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음압 형성 후 평균 (${\pm}SD$) 추적 기간은 $19{\pm}10$ 개월 이었다. 결론적으로 넓은 등근 아래 흉강 튜브 삽입 방법은 튜브가 흉강 내 유지 될 때와 튜브 제거 후 남게 되는 터널을 통한 흉강 내 공기 유입 차단에 효과적이며 흉강 튜브 장착 시 우선적으로 고려 되야 할 방법으로 사료 된다.

하지 관절 부위에 발생한 전이성 종양 환자의 종양 대치물 및 골시멘트와 인공관절 삽입술 (Tumor Prosthetic Arthroplasty and Arthroplasty with Bone Cement for the Metastatic Malignant Bone Tumor in the lower Extremity)

  • 양준영;이준규;황득수;신현대;곽상구;김경천;남대철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17
    • /
    • 2003
  • 목적: 전이성 종양이 사지에 발생한 경우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이 있으나 종양 대치물 삽입술을 시행한 예를 중심으로 기능적 평가 및 환자의 치료 경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전이성 종양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 종양대치물 삽입술을 시행 받은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49세부터 63세까지로 평균 56.3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3.4개월이었다. 원발 부위의 암으로는 폐암 2명, 유방암 3명, 신장암 2명, 대장암 1명 그리고 다발성 골수종이 1명이었다. 전이된 부위는 대퇴 근위부가 6명, 대퇴 원위부가 2명, 경골 근위부가 1명이었다. 종양의 절제는 생검 후 원발성 종양의 치료 원칙대로 가능한 한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6례는 종양 대치물로, 나머지 3례는 골 시멘트와 인공관절을 이용하여 재건하였다. 결과: 사지 기능 평가는 Enneking 등의 하지 평가기준 6항목에 대하여 환자의 최종 추시 시에 평가하였다. 최고 점수는 26점이었고 최하는 10점으로 평균 19.5점이었으며 최종 추시 시까지 7명이 생존하였으며 대장암 환자 1례는 술후 68일째 사망하였고 유방암 환자 1례는 술후 15일째 사망하였다. 평가 기준 항목 중 수술 후 기능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와 통증의 경감 부분이 다른 항목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론: 전이성 종양이 관절 부위에 발생 시에는 원발성 종양과 동일한 원칙으로 치료 방법의 접근이 필요하며, 종양대치물의 삽입으로 환자의 사지 기능의 개선과 통증의 제거 등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한 의료 혜택 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국소 치료 후 잔존 간세포암의 진단을 위한 LI-RADS 치료 반응 알고리즘과 Modified RECIST 기준 간 비교: 비교 연구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LI-RADS Treatment Response versus Modified RECIST for Diagnosing Vi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after Locoregional Therap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omparative Studies)

  • 김동환;김보현;최준일;오순남;나성은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331-343
    • /
    • 2022
  • 목적 국소 치료 후 잔존 간세포암 진단을 위한 LI-RADS 치료 반응(liver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treatment response; 이하 LR-TR)과 modified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이하 mRECIST) 기준의 진단능을 체계적으로 비교한다. 대상과 방법 MEDLINE과 EMBASE에서 역동적 조영증강 CT 또는 MRI를 이용하여 LR-TR과 mRECIST의 진단능을 개인 내 비교한 원저를 검색하였다. 생존 종양에 대한 참조 표준은 수술을 통한 병리 진단을 사용하였다. 각 기준의 생존 카테고리에 대한 메타분석적 통합 민감도와 특이도는 bivariate random-effects model을 통해 계산하였고 bivariate meta-regression을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총 다섯 개의 포함된 연구들에서(430명 환자들 및 631개 치료된 병변들), LR-TR 생존 카테고리의 병변별 통합 민감도와 특이도는 58% (95% 신뢰구간, 45%-70%)와 93% (95% 신뢰구간, 88%-96%)이었으며 mRECIST 생존 카테고리는 56% (95% 신뢰구간, 42%-69%)와 86% (95% 신뢰구간, 72%-94%)이었다. LR-TR 생존 카테고리는 mRECIST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특이도를 보였으나(p < 0.01) 민감도는 유사하였다(p = 0.53). 결론 LR-TR 알고리즘은 국소 치료 후 병리학적 잔존 간세포암의 진단에 대하여 민감도의 유의한 차이 없이 mRECIST보다 높은 특이도를 보였다.

기구에 의한 식도천공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Instrumental Esophageal Perforation)

  • 사영조;강철웅;조규도;박건;왕영필;박재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5호
    • /
    • pp.387-393
    • /
    • 2006
  • 배경: 위내시경 검사나 기관삽관 시 식도 손상에 의한 식도 천공례는 대단히 드물다. 그러나 식도 천공의 발생 시 신속한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예후는 매우 불량하다. 저자들은 기구에 의한 식도 천공례에서 기존 치료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1999년 1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저자들이 치험하였던 기구에 의한 식도 천공환자 1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천공의 원인과 부위, 내원까지의 지연 시간, 그리고 치료방법 등에 따른 예후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위내시경 검사에 의한 천공이 6예로 가장 많았으며(50.0%), 식도확장술에 의한 경우가 4예(33.3%), 그리고 내시경 포트삽입술과 기관삽관에 의한 경우가 각각 1예(8.3%)씩 있었다. 이 중 7예가 흉부 식도의 천공이었으며, 5예가 경부 식도의 천공이었다. 치료 방법으로는 식도절제 및 재건술이 5예, 절개 및 배농술이 4예, 폐쇄성 흉강 삽관술이 1예, 그리고 내과적 치료가 2예였다. 수술에 의한 위중한 합병증은 없었으며, 경미한 폐렴과 창상 감염이 각각 1예에서 발생되었다. 수술을 거부하여 내과적 치료를 시행하였던 1예에서 사망하여 사망률은 8.3%이었다. 결론: 기구에 의한 식도 천공에서 부위와 지연 시간에 상관없이 외과적 수술은 안전하며 또한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라고 생각되었다.

온전한 심실중격를 가진 폐동맥 폐쇄증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장기 결과 (Long-Term Results for Repair of Pulmonary Atresia with Intact Ventricular Septum)

  • 이창하;황성욱;임홍국;김웅한;김종환;이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403-409
    • /
    • 2005
  • 온전한 심실중격을 가진 폐동맥 폐쇄증은 병변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의 외과적 술식이 요구되는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전한 심실중격을 가진 폐동맥 폐쇄증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방법에 따른 결과 및 장기 성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2004년 6월 사이에 외과적 치료를 받았던 총 3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18일$(2\~382일)$이었으며, 삼첨판막륜 크기의 평균 Z값은 $-3.1(-5.6\~0.8)$이었다. 우심실-관상동맥루를 동반한 환자는 13명$(36\%)$이었으며, 우심실의존 관상동맥순환을 보인 환자는 4명$(11\%)$이었다. 평균 추적기간은 55개월(3개월-12.2년)이었다. 결과: 24명의 환자들에서 우심실 감압술이 시행되었고, 14명의 환자들에서는 체폐동맥 단락술만이 시행되었다. 우심실 감압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평균 삼첨판막륜 Z-값은 $-2.2\pm1.1$로 체폐동맥 단락술만 시행받은 환자들의 평균 Z값 $-4.8\pm0.6$보다 컸다(p=0.000). 5명$(13\%)$의 조기 사망과 1명의 만기 사망이 발생하였다. 조기 사망은 우심실 감압술을 시행받은 환자들 중 3명$(13\%)$, 체페동맥 단락술만 시행받은 환자들 중에서 2명$(14\%)$이 발생하였다(p=1.0). 양심실 교정을 받은 환자가 12명$(32\%)$, 단심실 교정을 받은 환자가 8명$(21\%)$, 부분양심실 교정을 받은 환자가 4명$(11\%)$, 최종 교정을 기다리고 있는 환자가 9명$(24\%)$이었다. Kaplan-Meier방법으로 산출한 5년 및 8년 생존율은 $83.2\%$이었다. 결론: 대부분의 사망은 초기 수술 후에 발생하였으며, 양심실 혹은 단심실 교정을 의도한 군간에 사망률의 차이는 없었다. 전체적인 장기 생존율은 비교적 양호하였다. 환자 각각의 삼첨판막륜 및 우심실 크기, 그리고 관상동맥 이상 유무를 정확히 평가하여 적절한 수술 방법을 적용하면 조기 사망률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