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lu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9초

정보조사제공에 있어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응용모형개발을 위한 실증적 연구 (A Pilot Study on the Practical Model of Nonverbal Communication for the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s)

  • 한상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83-150
    • /
    • 1993
  • Traditionally, the emphasis of the information services had been placed on the information provider's knowledge of information sources or information systems. However, in view of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the information environment. and changes taking place in information professions the evaluation of the information services has callded for further research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spects of the librarian user interface especially that which links to user satisfaction. This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nonverbal behaviors in measuring user satisfaction in the light of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nonverbal clues includes more than verbal communication especially in dealing with variable barriers even though they operate at low levels of awareness. In this sense, among the wide range of nonverbal communication areas in particular kinesics, artifacts and the proximics were examined to suggest alternative model which can be applied effectively in our specific set of information work environment. Two major university libraries and two research libraries in Korea were chosen and visited for the anlysis and per each refernce/information interview the librarian's nonverbal behaviors were checked on the observer's checklist and the qustionnaires completed by the user at a time. On the basis of these data firstly, the relation of user satisfaction concerned with the librarian's nonverbal communication to user satisfaction with information services was analyzed and the possible communication barrier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effect of training the information librarian with positive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on the user's satisfaction was analyzed in a SAS computer program in the area of kinesic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other nonverbal behaviors such as proximics and artifacts known very important clues to improving a complex human interaction was discussed along with their experimental result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most of users were not sensitive to the importance of nonverbal behaviors exposed by the information librarian, but it was proved that the ultimate user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librarian's nonverbal behaviors are correlated positively, Moreover, nonverbal behaviors displayed by the trained librarian toward the user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user's evalution of information services compared with those by the untrained. These findings imply that in order to control the librarian's nonverbal behaviors and to help the user overcome his barriers the information librarian as a specialist needs to assure and modify willilingly his communication behavior. Without making effective use of such nonverbal communication, information librarian could not expect to meet the user's information needs either. However, when these positive nonverbal behaviors are applied it would be highly desirable to be aware of cultural and contextual differences. With regard to increasing information services success the applicable nonverbal communication model for library management and education can be suggested as below.

  • PDF

대학도서관 사서의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Work Stress Measurement Tool for Academic Librarians)

  • 이종윤;조현양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81-205
    • /
    • 2013
  •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업무수행 과정에서 받고 있는 직무스트레스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실증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국내 외 대표적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분석하여 종합하고, 질적 연구방법 중 심층면접법을 도입하여 대학도서관 사서가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스트레스 요인을 추적하였다. 또한 두 척도를 종합한 직무스트레스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동료관계 갈등요인', '상하관계 갈등요인', '업무보상 평가요인', '감정노동 요인', '물리적 환경요인', '고용안정성', '심리적 직무요구요인', '의사결정 및 책임요인', '업무복잡성 요인', '업무경계 갈등요인', 그리고 '신체적 직무요구요인' 등 11개 요인, 46개 문항으로 구성된 사서를 위한 직무스트레스 척도가 개발되었다.

수소 전주기 시스템의 HAZOP 수행 시 위험 요인 라이브러리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azard Libraries When Using HAZOP in Hydrogen Systems)

  • 서두현;이광원;이동민;신단비;김현기;이충현;김태훈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381-387
    • /
    • 2023
  • The risk assessment (safety assessment) must be performed to verify the risks during operation and installation of the hydrogen system and to ensure safe design and operation. Among them, hazard and operability study (HAZOP), a qualitative risk assessment, is most often used to discover risk factors and secure safety. However, in HAZOP performanc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evaluation results depending on the level and experience of the evaluator,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ubjective results will be derived.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isk factor library that can list and provide information on potential risk factor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hen performing HAZOP, reduce risk factors that are omitted or overlook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acterial Communities of Meongge (Halocynthia roretzi) Jeotgal Prepared with 3 Different Types of Salts

  • Kim, Jeong A;Yao, Zhuang;Kim, Hyun-Jin;Kim, Jeong 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527-537
    • /
    • 2019
  • Three types of meongge (Halocynthia roretzi) jeotgal (MJ) were prepared with 3 different types of salts (12%, w/v): purified salt (PS), solar salt aged for 3 years (SS), and bamboo salt that had been recrystalized 3 times (BS). One set of MJ was fermented with starters, Bacillus subtilis JS2 and Tetragenococcus halophilus BS1-37 (each 6 log CFU/g), and another set without starters for 42 days at $10^{\circ}C$. The LAB count of the SSMJ (non-starter) was highest at day 28 (2.30 log CFU/g). The pH of the PSMJ and SSMJ was 5.72-5.77 at day 0, and 5.40-5.50 at day 42. BSMJ showed higher pH and lower titratable acidities than other samples. Amino-type nitrogen (ANN) increased continuously, and SSMJ showed higher values than other samples from day 14. Bacterial species of non-starter MJ were examined by culture independent method. Clone libraries of 16S rRNA genes were constructed in Escherichia coli from total DNA from non-starter MJ samples at day 0, 14, and 28. Thirty clones per each sample were randomly selected and DNA sequences were analyzed. Variovorax sp., uncultured bacterium, and Acidovorax sp. were the most dominant group at day 0, 14, and 28, respectively. Lactobacillus sakei and Streptococcus sp. were the next dominant group in SSMJ at day 28. A Streptococcus sp. was detected from PSMJ at day 28. Sensory evaluation for MJ samples at day 28 showed that SSMJ got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These results showed that solar salt can cause desirable changes in the microbial community of fermented foods, thereby positively affecting their overall quality.

Web을 기반으로 한 대학교 도서관 시스템에 있어서 용이한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nvenient Interface to the University Web-based Library System)

  • 이현정;정재욱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93-100
    • /
    • 2002
  • 대학 web도서관은 web으로 도서관에 소장된 서지나 기타 자료의 검색, 대출, 반납에 관한 정보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도서관의 형태이다. 정보화 사회에 진입 한 이후 네트워크와 멀티미디어란 것의 등장으로 인해 정보전달 및 획득의 수단과 과정에 있어서 엄청난 변화를 겪고 있다. 이미지 화, 동영상 화 된 방대한 멀티미디어 정보들이 네트 워크를 통해 정보 제공자와 정보 사용자간의 물리적 거리에 대한 한계를 느끼지 못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에 따르는 문제점으로는 저작잔 인식부족, 인프라의 미비, 기술적, 신뢰성 등으로 인해 발전이 요구되는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정 대학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20개 대학의 web기반 도서관 site에서, 각 시스템별 검색 형식과 user interface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web기반 대학 도서관의 실험적 user interface를 제작하고, 이 interface에 대한 설문조사 및 데이터를 수집, 정리,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현재web기반 대학도서관의 일반검색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도서의 위치, 도서의 대출 및 검색회수, 대학 web도서관 내에서의 도서구입에 대한 기능을 포함하는 새로운 user interface를 제안하였다.

  • PDF

장애인 이용자의 요구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Plan for Library Services Through the Disabled Users' Needs Analysis in University Library)

  • 정재영;정혜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89-207
    • /
    • 2010
  • 대학도서관은 장애인 이용자의 정보이용 및 학습의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시설과 장비를 구비하고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외 현황 조사와 장애인 이용자와의 심층면접을 기초로 대학도서관에 서 제공하고 있는 장애인 서비스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장애인 서비스를 개선하고 장애인 이용자의 이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비 도입과 서비스 제공 시 요구분석과 의견 수렴과정을 통해 장애인 이용자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시설과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전용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 직원에 대한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장애인 서비스 교육과 함께 장애인 전담사서를 지정해 One-stop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장애인 지원을 위한 교내 외 기관, 단체 등과의 협력 및 연계와 함께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기적인 실태조사와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대학도서관 통계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성과 및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and Prediction Factors in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using Statistical Analyses)

  • 김기영;최윤희;강재연;고평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1-214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이 운영하는 학술정보통계시스템(rinfo.kr)의 2010-2013년간 대학도서관통계를 대상으로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경영자원 확보를 성과요소로 한 탐색적 통계분석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되는 영향요소 및 후행되는 성과요소를 고려하고 규모 및 사회경제적인 외부변인들을 통제하기 위한 변화율 중심의 변수를 산출하는 전처리 방법을 통계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한 변수를 대상으로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13개의 요인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회귀분석 결과 대학도서관 경영자원 확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극단값의 문제, 변수 간 낮은 상관성, 그리고 낮은 효과크기를 배경으로 한 새로운 변수의 개발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대학도서관의 통계체계, 평가, 나아가 경영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도서관 사서의 수요 분석 연구 (Demand Analysis to Develop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Academic Librarians in Korea)

  • 장혜란;홍현진;노영희;오의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9-207
    • /
    • 2008
  •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한 국내외 계속교육 프로그램과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 현황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전국 대학도서관 사서의 33.3%를 체계적으로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계속교육 참여경험과 만족도, 계속교육 주제, 계속교육 운영방법, 계속교육 프로그램 평가방법, 계속교육 활성화 방안, 참여요인 등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요분석 결과 첫째, 대학도서관 사서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참석했던 계속교육 유형 및 교육의 만족도는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요구 주제조사에서 도서관 홍보, 정보자원 및 지식콘텐츠 관리, 도서관환경변화와 적응에 대해 높은 요구도를 보였다. 셋째, 선호하는 계속교육 유형은 전문주제별 교육과 업무기능별 교육이었고, 가장 선호하는 교육기간은 일주일로 나타났다. 넷째, 계속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내용의 전문성 증대, 지원체계확립, 교육수준의 다양화 등으로 나타났다.

Lifecycle and Requirements for Digital Collection Management of Thai Theses and Dissertations

  • Jareonruen, Yuttana;Tuamsuk, Kulthid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7권3호
    • /
    • pp.52-64
    • /
    • 2019
  • This research was aimed at studying the situation, problems, and requirements for digital collection lifecycle management of Thai theses and dissertations. The mixed research method used was composed of: (1) Study of the problem and situation in which the qualitative method was applied. The research site covered 10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here the Thailand Digital Collection (TDC) project is operated. The informants were key administrative officers of the TDC project of each institution. In-depth and 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an individual basis to obtain the most accurate answers. (2) Study of requirements based on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o survey the requirements for the digital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for Thai theses and dissertations from 84 purposively-selected TDC project officers and 527 end users selected by accidental sampling, totaling 611 sample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 (1) The study of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digital collection lifecycle management shows that Thai higher institutions systematically manage their digital collection. The management lifecycle is consistent with the Guidance documents for lifecycle management of ETDs, which included seven steps: program planning, creation, submission, and ingestion, access and retrieval of digital objects, archiving and preservation, evaluation and assessment, interoperation (creation of institutional collaboration), and development of link data. (2) The study of requirements for digital collection management of Thai theses and dissertations shows five system requirements: acquisition and gathering, digitization, metadata standards, management of rights, and storage and retrieval, all of which are at M (mandatory) and D (desirable) levels.

대학도서관 유튜브 콘텐츠 내용분석과 이용자 감성반응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YouTube Content Analysis and Users' Emotional Responses Analysis)

  • 송영;김지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3-93
    • /
    • 2023
  • 이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유튜브 콘텐츠에 대한 내용분석과 이용자의 댓글에 대한 감성 반응분석을 통해 국내 대학도서관들의 유튜브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에 대해 종합적인 분석과 평가를 하였다. 연구분석대상은 61개 대학도서관의 2,169개 유튜브 콘텐츠와 이용자의 댓글 6,487개였다. 연구결과로 국내 대학도서관의 유튜브 콘텐츠는 대분류 중 '자료' 콘텐츠의 수량이 가장 많고 '소통' 콘텐츠와 '교육' 콘텐츠가 뒤를 이었으며, '홍보' 콘텐츠가 가장 적었다. 소분류 중 '정보서비스' 콘텐츠의 수량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지원 서비스를 주된 내용으로 수록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의 유튜브 콘텐츠를 열람한 이용자의 감성 반응에 대한 분석에서 이용자 감성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난 대분류는 '자료' 콘텐츠와 '소통' 콘텐츠였다. 이용자 감성 반응은 모든 범주의 콘텐츠에서 긍정 반응이 대부분이었고 부정 반응은 긍정 반응에 비하여 적었으며, 빈번히 나타난 이용자 감성 표현은 '좋다'였다. 또한, 이용자 감성 반응에 사용된 어휘는 유튜브 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표현보다 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에 대한 표현이 많았다. 이용자의 평가는 콘텐츠의 기술적 품질에 관한 것 평가보다 콘텐츠의 내용에 관한 것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