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luation criteria of environmental assessment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6초

살포식 패류 양식어장 건강도 평가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Integrated Health Evaluation Criteria for Coastal Aquaculture System)

  • 고영신;이동헌;이영재;이원찬;황운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62-472
    • /
    • 2023
  • We investigated the physio-chemical and geochemical parameters in the spraying shellfish aquacultures (Yeoja and Gangjin Bay) to establish the systematic strategy for effe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Spatial variation of each parameter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Yeoja and Ganjin Bay, inferring the discriminative progress (i.e., accumulation and degradation) of the autochthonous organic matter within the aquaculture environments. We additionally integrated various properties (e.g., water/sediment quality, natural hazard, and biological health) which may affect the biological growth within the aquaculture habitats based on the biogeochemical cycles related to environmental components and aquaculture species. We used a screening approach (i.e., one out-all out; OOAO) which can permit the assessment of the health levels of aquaculture species, the scoring for other parameters (seawater, sediment, and natural hazard) as three levels (excellent, moderate and poor) depending on the complex interactive properties occurring in the aquaculture environments. Actual, discriminative scores obtained via our case studies may confirm that these stepwise processes are effectively evaluated for optimal health conditions within the aquaculture habitats. Thus, this approach may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effe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sustainable growth of aquaculture operation.

Risk Assessment Principle for Engineered Nanotechnology in Food and Drug

  • Hwang, Myung-Sil;Lee, Eun-Ji;Kweon, Se-Young;Park, Mi-Sun;Jeong, Ji-Yoon;Um, Jun-Ho;Kim, Sun-Ah;Han, Bum-Suk;Lee, Kwang-Ho;Yoon, Hae-Ju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73-79
    • /
    • 2012
  • While the ability to develop nanomaterials and incorporate them into products is advancing rapidly worldwide,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health safety effects of nanomaterials has proceeded at a much slower pace. Since 200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started an investigation to prepare "Strategic Action Plan" to evaluate safety and nano risk management associated with foods, drugs, medical devices and cosmetics using nano-scale materials. Although there are some studies related to potential risk of nanomaterials, physical-chemical characterization of nanomaterials is not clear yet and these do not offer enough information due to their limitations. Their uncertainties make it im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nanomaterials are actually hazardous to human. According to the above mention, we have some problems to conduct the human exposure risk assessment currently. On the other hand, uncertainty about safety may lead to polarized public debate and to businesses unwillingness for further nanotechnology investigation. Therefore, the criteria and methods to assess possible adverse effects of nanomaterials have been vigorously taken into consideration by man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and Commercial Development and the European Commission.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isk assessment principles for safety management of future nanoproducts and also to identify areas of research to strengthen risk assessment for nanomaterials. The research roadmaps which were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fill up the current gaps in knowledge relevant nano risk assessment.

인체 위해성기반 수질환경기준 항목 확대를 위한 연구 (Expanding the Substances of Water Quality Standard for the Protection of Human Health Based on Risk Assessment)

  • 안윤주;남선화;이재관
    • 생태와환경
    • /
    • 제41권1호
    • /
    • pp.34-4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건강 보호를 위한 수질환경기준 항목 확대를 위해 20개 수질유해화학물질을 대상으로 US EPA의 발암 비발암 영향 수식을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인체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인체 위해성 평가를 기반으로 선정된 우선순위 물질에 대해 기술적 경제적 영향 분석을 통해 행정적 목표로서의 적용 타당성을 판별하였다. 그리하여 20개 우선순위 물질 중 diethylhexylphthalate가 위해 우려가 가장 높은 물질로 평가되었고, 항목별 수질환경기준으로 활용 가능한 기준치(안)은 단계적 강화 측면에서 대체로 먹는물 기준 수준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인체 위해성 평가와 수질환경기준(안)제시 방안은 현 단계에서 적용 가능한 방법으로, 향후 보다 합리적인 기준 설정을 위해 수정 및 보완될 필요가 있다. 즉 담수어류 섭취량 자료 확보, 수질 모니터링 자료 축적, 먹는 물 기준 이하로의 수질환경기준치 설정 가능 기반 확립 등의 측면을 보강한다면 향후 국내 수질환경기준 항목 확대에 과학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경관자원 조사 현황과 향후 과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the Landscape Resources Survey in Korea)

  • 주신하;신윤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7-42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의 경관자원에 대한 유형별 평가 현황과 해외 경관자원 평가사례를 비교분석을 통하여, 경관자원 평가 체계에 있어 평가방법, 평가기준, 활용방안 등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경관자원 평가의 의미와 중요성 등을 파악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경관자원의 정의와 유형을 검토하고, 경관자원에 관한 평가방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12개 국내 경관자원 조사 및 평가 사례 비교를 통해서 우리나라 경관자원 관련 조사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5개의 외국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경관자원 관리체계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12개의 국내 경관자원 조사 현황과 향후 과제로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종합하였다. 첫째, 경관자원 조사 기준이나 선정 절차에 있어 보다 객관적인 기준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경관자원의 다양한 가치를 포함하고, 지역민들의 참여를 확대하며, 명확한 평가기준 제시가 매우 중요하다. 두 번째로는, 경관자원의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경관자원에 대한 재평가제도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경관자원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조사된 경관자원을 영향평가나 경관계획과 같은 다른 제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유형의 경관자원을 포함한 종합적인 경관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된 경관자원 조사에 대한 현황 파악과 해외사례 검토를 통한 시사점 도출에 그치고 있어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나, 국내외 경관자원 조사현황을 분석하여 경관자원에 대한 평가방법, 기준, 활용방안 등을 파악을 통하여 향후 경관자원관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녹색도서관 인증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Evaluation Items for the Green Libraries Certification)

  • 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99-13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녹색도서관을 인증함에 있어 도서관의 친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녹색도서관 관련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해 도서관 녹색요소를 추출하였으며, 평가요소에 대한 도서관 직원들의 인식을 설문조사하였다. 최종적으로 11개의 평가영역, 31개의 평가항목, 135개의 평가지표를 가진 녹색도서관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11개의 평가영역은 토지이용 및 교통, 에너지 및 환경오염 방지, 재료 및 자원, 물순환 관리, 유지관리, 생태환경, 실내환경, 도서관 자원, 친환경 교육프로그램 및 캠페인, 직원 및 운영, 전산화 등이다.

주거단지 건설이 하천에 미치는 생태영향평가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along with Construction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 안광국;한정호;이재훈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5호
    • /
    • pp.631-648
    • /
    • 2012
  • The integrative ecological approaches of chemical assessments, physical habitat modelling, and multi-metric biological health modelling were applied to Gwanpyeong Stream within Gap-Stream watersheds to evaluate environmental impacts on the constructions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For the analysis, the surveys conducted from 45 sites of reference streams within the Gap-Stream watershed and 3 regular sites during 2009 - 2010. Physical habitat health, based on the habitat model of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QHEI) declined from the headwaters(good - fair condition) to the downstream(poor condition). Chemical water quality, based turbidity and electric conductivity(EC), was degraded toward to the downstream, and especially showed abrupt increases, compared to the values of control streams(CS). Also,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a in the downstreams were greater compared to the control stream(CS), indicating an eutrophication. Biological health conditions, based on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IBI) using fish assemblages, averaged 19.3 which is judged as a fair condition by the biological criteria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The comparisons of model metric values in sensitive species and riffle-benthic species on the Maximum Species Richness Line(MSRL) of 45 reference streams indicated a massive disturbances in all sampling locations. Also, tolerance guild and trophic guild analyses suggest that dominances of tolerant species and omnivores were evident, indicating a biological degradation by habitat disturbances and organic matter pollutions. There was no distinct longitudinal variations of IBI model values from the headwater to the downstream in spite of slight chemical and habitat health gradients among the sampling sites. Overall, integrative ecological health(IEH) scores, based on the chemical, physical, and biological parameters, were low compared to the 45 reference streams due to physical and chemical disturbances of massive constructions of the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This stream, thus showed a tendency of typical urban streams which are disturbed in the chemical water quality, habitat structures, and biological integrity. Effective stream management plans and restoration strategies are required in this urban stream for improving integrative stream health.

기후위기 대응 외부공간의 지속가능성 평가지표의 검토 및 고찰 (Review of Assessment Criteria for Sustainable Outdoor Space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 전승훈;채수권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6호
    • /
    • pp.393-412
    • /
    • 2021
  • 본 연구는 미국의 친환경 건축 평가시스템인 LEED v4.1과 지속가능한 외부공간의 평가시스템인 SITE v2의 평가체계를 검토한 다음 우리나라의 관련 법, 제도적 지침과 기준의 관점에서 비교, 고찰한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친환경 인증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전문분야에 따른 독립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후위기의 대응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와 공동체, 그리고 외부공간환경의 쾌적성 확보를 통한 지속가능하면서도 건강하고 행복한 도시민의 삶의 질 확보가 최우선이라 평가할 수 있다. 둘째, 우리나라 녹색건축물 인증시스템(G-LEED)은 기본적으로 미국의 LEED 시스템을 근간으로 한 것이나 근본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양한 전문가그룹과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통한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을 뿐 만 아니라 최첨단 정보통신이나 장비의 적용을 통한 보다 과학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 및 정보 축적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우리나라 외부공간의 경우 지속가능한 평가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못한 채 여러 법제도적 지침으로 분산되어 있을 뿐 만 아니라 그 실효성도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미국의 지속가능한 외부공간 평가체계인 SITES v2의 도입과 적용성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며, 기존의 관련 지침인 생태면적율 제도는 환경영향평가과정에서 목표치의 상향이 요구될 뿐 만 아니라 조경기준의 최소 자연지반 녹지율의 상향 조정을 통해 그 실효성이 확보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국토환경 모니터링 지표로서의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활용방안 (Application of ECVAM as a Indicator for Monitoring National Environment in Korea)

  • 김은영;전성우;송원경;곽재련;이준
    • 환경정책연구
    • /
    • 제11권2호
    • /
    • pp.3-16
    • /
    • 2012
  • 국토환경성평가지도는 종합적인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환경적 가치를 평가한 지도로서 친환경적인 토지이용 및 관리를 유도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2001년 평가항목 및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전국 국토환경성평가지도가 제작되었으며, 국토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매년 지도를 갱신하고 있다. 이처럼 지도의 정확도 개선을 위해 매년 타당성 연구를 기반으로 평가기준을 변경하였기 때문에 동일한 기준으로 국토의 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모니터링 지표로서 국토환경성평가지도를 활용하기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05년부터 현재까지 국토환경성평가지도에 사용된 데이터를 현재 평가기준으로 재평가하여 6년 동안의 국토환경성평가지도 변화 내역을 분석하고, 본 지도가 국토환경 모니터링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국토환경성평가 1등급 지역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등급 변화는 10년 단위로 갱신되는 4차 임상도 갱신(2008), 백두대간 보호지역 등 신규 법정 보호지역 반영(2010), 광역생태축 등 환경생태적 평가항목 자료 추가(2009) 등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국토환경성평가지도가 산림지역의 지속적인 관리로 인한 영급 증가, 신규 환경생태적 보전지역 추가 지정 등과 같은 개별적인 환경지표를 통합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속적인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제작은 국토환경 및 정책 변화의 통합 모니터링 지표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 향후 국토환경성 평가지도가 보다 정확한 모니터링 자료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평가항목으로 활용되는 환경 주제도의 정확도 확보, 갱신주기 단축이 요구된다.

  • PDF

인천경제자유구역 건축물의 친환경성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ng on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Incheon Free Economic Zone constructions)

  • 박태범;김용식
    • KIEAE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91-96
    • /
    • 2010
  • Incheon Free Economic Zone's Songdo Area is a newly constructed city built on land reclaimed from the seaside and the surrounding area. Yeongjong Area is made after Land reclamation between Yeongjong Island and Yongyou Island began in November 1992. The first phase linking these islands to create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phase 1) and the Airport Town Square community was finished in March 2001. However, if we take a look at the overall status of the project as it is carried on at present, it is hard to deny that the project is trapped inside the same legal restrictions as are all other existing cities, which permits Songdo Area and Yeongjong Area to meet only very minimum standards.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and assess the Incheon Free Economic Zone's Songdo Area and Yeongjong Area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truction and to rate its current development status, exposing any problems and offering alternative solutions. In this paper, the current state of constructions in Songdo Area and Yeongjong Area were reviewed. Then a quantitative analysis and assessment for the Songdo Area and Yeongjong Area constructions of apartments, complex buildings, office buildings, school facilities, store and hotel facilities were conducted by using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Finally the synthetic results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for Incheon Free Economic Zone's Songdo Area and Yeongjong Area constructions and follow-up suggestions were described.

수도권 지역 골프장의 환경친화성 평가 (Environmental Friendliness Assessment of Golf Courses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 김광두;방광자;강현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20-30
    • /
    • 2003
  • This study is aimed at establishing the categories and items for ecological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golf courses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The categories and items for the assessment have been derived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and interviews with golf experts. This study covers 32 golf courses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that are available in terms of data and on-site surveys. In order to conduct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the golf courses, the assessment area was divided into 4 categories that include a total of 14 sub-categories. The 4 categories encompass 1) location, 2) topography, 3) vegetation, and 4) construction. As its sub-categories, the location category includes current land use and zoning in the National Land Use Management Law. Topography has 2 sub-categories in the damage ratio of existing topography, gradient, cut area, and slope height. The assessment of vegetation is largely based on site surveys in the categories of preservation of the existing vegetation, the use of natural resources and existing trees, the component ratio of native tree species,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vegetation, and the utilization of water purification plants. In the aspect of construction, afforestation on tile slopes and the utilization of existing surface soil were evaluated. The examination of comparative analysis among the 10 items as a ratio measure showed that the scores were low in the sub-categories of current land we, the use of existing trees, and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vegetation. However, the rating results were satisfactory in the 2 sub-categories including cut area, and the utilization of native tree species. Those proved to be contributing factors in the ecological health of the golf courses.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of the 10 items to the overall ecological rating of each golf course, the sizes of the 32 golf courses were mainly affected by the damage ratio of existing topography, gradient, preservation of vegetation and slope height. This study has the initiative to conduct an ecological assessment of golf courses in the country based on site survey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location factors such as current land use, damage ratio of topography and gradient and topographical factors wer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golf courses. This indicates indicating the significance of these factors in the future construction practices of golf courses. Furthermore, this study raises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to establish more detailed assessment criteria and to develop assessment techniques for areas such as slope afforestation and water purification plants that need a qualitative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