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trophication

검색결과 640건 처리시간 0.036초

울산 반구대 암각화 인근 트렌치 퇴적물 내 규조의 환경 특성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Diatom in the Trench Sediments Around Bangudae Petroglyphs, Ulsan)

  • 박영숙;류춘길;조미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20
    • /
    • 2016
  • 울산 반구대 암각화 부근에 분포하는 퇴적층을 대상으로 사연댐 건설 전과 후의 퇴적환경을 알아보기 위해서 규조를 연구하였다. 사연댐 건설 이전의 하부 퇴적층으로 부터는 규조가 산출되지 않았으며, 사연댐 건설 이후의 퇴적층(두께 228 cm)으로부터 규조가 감정되었다. 규조는 총 27속 75종이 산출 되었으며 개체수 농도의 범위가 $0.2{\times}10^5-5.8{\times}10^5g^{-1}$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에서 산출된 규조 종의 산출분포에 의해서 사연댐 건설 후 퇴적된 퇴적물로부터 4개의 군집대를 설정하였다; 규조 군집대 I: 228-150 cm, 규조 군집대 II: 150-122 cm, 규조 군집대 III: 122-62 cm, 규조 군집대 IV: 62-0 cm. 또한, 환경지시종에 따라 부영양화, 산성도, $Cl^-$ 값 등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부영양화와 $Cl^-$ 값에 대한 결과는 74 cm 층준을 기준으로 하부 층준에서는 부영양화의 정도가 중간-높음으로 $Cl^-$ 값은 낮게 나타났으며, 상부 층준에서는 부영양화가 낮음, $Cl^-$ 값이 높음으로 나타났다. 산성화의 정도는 122 cm 층준의 하부에서는 중성-알칼리성을 띠며 상부에서는 산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영양염류의 경우, 175 cm 층준에서는 TP값이 높고, 62 cm 층준에서는 TN값이 높게 나타났다

득량만과 가막양 패류양식장의 부영양화 (Eutrophication of Shellfish Farms in Deukryang and Gamagyang Bays)

  • 조창환;박경양;양한섭;홍재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3-240
    • /
    • 1982
  • 남해안 서부에 위치한 득량만과 가막양에서 1981년 하계 중 해수의 클로로필-a양과 저이 중 COD, 강열감대, 파오파이틴양 그리고 황화물양을 측정하였다. 노경노은 약 $300km^2$로서 근래 피조개의 채묘 및 양성이 급증하고 있고, 가업양은 약 $150km^2$로서 수하식에 의한 굴 선성이 많다. 득량만 해수 중 클로로필-a양은 9월에 많아 $1.0\sim5.0{\mu}g/l$로서 평균 $2.5{\mu}g/l$이었다. 양적인 분포에선 득량만의 서북쪽에서 많았다. 저이 중 유기물양은 양서 모두, COD$5.0\sim10.0mg/g$, 강열감양$5.0\sim9.0\%$,체페오파이틴양 $2.0\sim 5.0{\mu}g/g$ 건이이었으며 황화물양은 $0.1\sim0.3mg/g$ 건이이었다. 유기물과 황화물양 모두, 득량만에서는 만입구에서 깊숙히 들어갈수록 증가하였고, 가막양에서는 만의 서편과 서북쪽에 많았다. 상기의 모든 양은 낙산$\cdot$거제만의 양들과 비슷하거나 약간 적었다. 클로로필-a양에 의한 해수의 부영선화는 제산$\cdot$거제만과 같이 중간 수준인데 비해, 저이의 부영양화는 초기단계이었다. 저이중 COD와 페오파이틴양으로부터 산출한 저오염도는$6\sim11$로서, 낙산$\cdot$거제만의 $7\sim18$, 진해서의 $11\sim30$에 비해 낮았다. 이는, COD양이 적다는 이유도 있지만, 굴 양성을 많이 하는 낙산$\cdot$거제만이나 진해만 서부해역과는 달리 페오파인틴양이 COD양보다 적었기 때문이다.

  • PDF

고성${\cdot}$자란만 패류양식장 저이의 부영양화 (Eutrophication of Bottom Mud in Shellfish Farms, the Goseong-Jaran Bay)

  • 조창환;박경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0-264
    • /
    • 1983
  • 고성${\cdot}$자란만 패류 양성장 저질의 부영양화정도와 부영양화속도를 구명하고 양성장의 적절한 관리,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저 1981년 하계중앙성장 저니중에 함유된 유기물량 및 유화물량을 측정하였다. 1. 표충저니 중 COD양은 $12.5{\sim}19.5mg/g$으로 평 군 15.3 mg/g이었고 강열감량은 $6.7{\sim}12.4\%$로 평균 $9.1\%$, 페오파이친색소량은 $6.8{\sim}11.0{\mu}g/g$으로 평균 $9.1{\mu}g/g$이었다. 유화물량은 $0.18{\sim}0.64{\mu}g/g$으로 평균 0.36 mg/g이었다. 2. 상기 양들은 유화물의 경우, 부영양화의 상한치인 0.3mg/g을 약간 상회하고 있지만, 그 밖의 값들은 대체로 낮은 값이고, 1976년의 조사치와 비교해도 6년간 약간만이 증가한것으르 보아, 부영양화의 속도는 매우 완만하였다. 3. 저이오염도로 보아, 득량만과 가막양만에 비하면 약간 나쁜 편이었지만 인근에 위치한 진해만이나 한산${\cdot}$거제만에 비하aus 매우 양호한 편이었다. 또, 페오파이친색소량이 적은 것으로 보아 양성패에 의한 배설물의 다량 축적으로 인한 문제는 없는 것 같다.

  • PDF

새만금호의 수질 특성 및 영양상태지수를 이용한 부영양화 평가 (Assessment of Eutrophication Using Trophic State Index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emangeum Lake)

  • 김종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87-597
    • /
    • 2023
  • 조류의 이상증식을 일으키는 새만금호 부영양화를 평가하기 위해 Carlson 지수를 적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2021년 월별로 새만금호내 총 7개 정점에서 수질조사를 실시하였다. Chl.a의 농도는 동계에는 만경수계가 약간 높았고, 춘계와 하계에는 동진수계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일부 시기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호소 수질환경기준 3등급과 비슷하거나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COD는 만경수계와 동진수계 모두 하계와 추계에 호소 수질환경기준 4등급과 유사하거나 상회하는 수질을 나타내었다. TOC는 모든 지점에서 3등급 이내의 수질을 보였다. 총인 농도는 호수 수질환경기준 4등급을 초과하였고, 월별로는 1월과 강우 후 8월에 높게 나타났다. 수질인자간의 상관성 분석에서 염분 농도에 대한 유기물, 총인, 총질소의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배수갑문을 통한 해수유입과 상류 하천을 통한 담수 유입에 의한 담수역, 기수역, 해수역의 수질 특징을 반영하고 있었다. 영양상태지수에 의한 새만금호의 부영양화 변동 특성을 보면, Chl.a와 SD, TN의 지수에서 부영양화 초기 단계의 수질을 보였으며, TP 지수의 경우 심각한 부영양화 상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수질인자간 부영양화 지수의 크기는 모든 수계에서 TSI(TP) > TSI(TN) > TSI(SD) > TSI(CHL)의 순으로 나타났다. TSI(CHL)에 대한 TSI(TP) 및 TSI(SD)와의 편차를 2차원 평면으로 나타낸 사분면 분석 결과를 보면, 조류 성장에 대한 총인이 영향에서는 모든 수계에서 대부분의 총인(TP)에 의한 제한적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빛 감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적은 입자상 물질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백로와 왜가리 집단번식이 소나무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up Breedling of Herons of Pine Community)

  • Mun, Hyeong-Tae;Sam-Rae C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1호
    • /
    • pp.47-53
    • /
    • 1996
  • Effects of group breeding of herons on pine community were studied at Pomaeri, in Yangyang, Kangwon Province, Korea. This site has been protected as a Natural Monument (No. 229) since 1970. Herons have used this habitat as a breeding site from] anuary to October every year. In 1995, more than 500 herons were observed in this habitat. Many big pine trees are dying or already dead due to group inhabitation of herons, and no pine saplings were found at forest floor in this habitat. Nutrient contents of soil in this habitat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plot. This must be due to the addition of feces from herons and of thin twigs and other organic materials from the canopy and bird nests. Species composition of herb layer in this habitat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in control plot. Breeding site was dominated by Humulus japonicus. Persiearia perJohata, Persicaria thunbergii. and Commelina communis. which are indicator species of soil eutrophication.

  • PDF

A Revisit on Zonal Macrobenthic Communities in Chokchon Tidal Elat, Incheon, Korea, After the Survey in 1986

  • Hong, Jae-Sang;Yoo, Jae-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6권3호
    • /
    • pp.83-92
    • /
    • 2001
  • An investigation on the zonal communities in Chokchon macrotidal flat, Incheon, Korea, was carried out on July 1994, eight years after the initial survey done by Frey et al. (1987a and b). A survey transect (4 km long) was established with 41 stations having an equi-interval of 100 m. Macrofaunas were sampled in July 1994. R-mode cluster analysis and ordination analysis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or DCA) were performed. The aims of the investigation were to: (1) observe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patterns, including zonation of benthic macrofaunal communities in the area; and (2) gain information about faunal changes between two different periods. The primary feature of distribution was corresponded with Frey's zonation, and this was shaped by three level-specific species groups. Significant changes in dominant species were detected when compared with the faunal assemblages of 1986. The bivalve mollusk, Meretrix petechialis, seemed to have disappeared. Two newly arrived organic pollution indicator species, Theora fragilis and Capitella capitata, were regarded as impregnable proof of response to eutrophication, although the concrete evidence on the eutrophication source was not found.

  • PDF

낙동강 상·중·하 수역에서의 질화세균군의 변화 (Changes of Nitrifying Bacteria in the Different Zone (Upper·Mid·Lower Part) of the Nak-Dong River)

  • 이영옥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4-220
    • /
    • 2008
  • Nitrifying bacteria were detected by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 method at 6 sampling sites with different eutrophication degree in the Nak-Dong River and their tributaries. And conventional physico-chemical parameters including $NH_4-N$, $NO_3-N$, and TN were determined concurrently. In rainy period (July), there was no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ammonia/nitrite-oxidizing bacteria detected at each site except Sang-Ju and the ratio of nitrifying bacteria to total counts stained by DAPI varied in 6~33%. By contrast, in the dry period (October), both of bacterial population was increased differently and the ratio of nitrifying bacteria to total counts ranged more widely from 6% in heavily polluted water zone, Hwa-Won to 60% in upper tributary with high agricultural land use. Byung-Sung-Chun. In January, the numbers of ammonia-oxidizing bacteria was reduced up to one tenth, while those of nitrite-oxidizing bacteria was apparently increased maybe due to high DO and low DOC.

낙동강 하구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극대역 변동에 관한 수직시뮬레이션 -I. 식물플랑크톤 극대역 변동 현황- (The numerical simulation on variation of phytoplankton maximum region in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I. The state of variation of phytoplankton maximum region-)

  • 이대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369-374
    • /
    • 2000
  •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is very influenced by the freshwater contained nutrients and organic materials. The response results of these influences are eutrophication and red tide outbreak in this region.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was 0.78~62.55$\mu\textrm{g}$/L in February 1.20~21.29$\mu\textrm{g}$/L in April 1.88~188.35$\mu\textrm{g}$/L in June and 0.78~11.21$\mu\textrm{g}$/L in August respectively. The decrease of chlorophyll a is considered that residence time is shorten by increase of freshwater discharge and unfavorable growth condition of phytoplankton is created by diffusion of low salinity and increase of turbidity. The phytoplankton maximum region located inner side of this estuary during winter season whereas it was moved to outer side when mean discharge of the Nakdong risver was increased, Therefore the variation of phytoplankton maximum region was affected by input discharge from the Nakdong river bas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