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phorbia ebracteolata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Euphorbia ebracteolata에 대한 생약학적 연구(I) -Euphorbia ebracteolata의 Flavonoid 성분- (Pharmacognostical Study on the Euphorbia ebracteolata(I) -On the Flavonoidal Constituents-)

  • 이상철;안병태;박웅양;이승호;노재섭;이경순;유응걸
    • 생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26-131
    • /
    • 1992
  • Four flavonoids were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s of Euphorbia ebracteolata. On the basis of chemical and spectroscopic evidence,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established as $quercetin-3-O-{\beta}-D-glucoside$(isoquercitrin)(I), quercetin-3-O-rutinoside(rutin)(II), kaempferol-3-O-rutinoside(III) and $quercetin-3-O-(2'-O-galloyl)-{\beta}-D-glucoside$(IV) which was the main flavonoidal component in this plant. The isolation of flavonoids from E. ebracteolata is the first example.

  • PDF

붉은대극의 페놀성 화합물 (Phenolic Compounds from Euphorbia ebracteolata)

  • 안병태;이경순
    • 생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6-141
    • /
    • 1996
  •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e isolation of nine hydrolisable tannins and five flavon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Euphorbia ebracteolata. Further investigation about the same plant has led to the isolation of 5-O-caffeoyl quinic acid, kaempferol $3-O-(2'-O-galloyl-{\beta}-_D-glucoside)$ and euphorbin A.

  • PDF

희귀생약 붉은대극(Euphorbia ebracteolata Hayata)에 대한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examination on Euphorbia ebracteolata Hayata)

  • 안병태;김재길;노재섭;육창수;이경순
    • 생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9-135
    • /
    • 1996
  • Euphorbia ebracteolata Hayata is a perennial herb of Euphorbiaceae that has a cyathumal inflorescence, the glands of the involucres are rounded-cordate and reddish, stems are erect, thick and 40-50 cm high. The leaves are alternate and rather numerous. So far this plant has been known as a unreported species in Korea. However,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is plant was found to be widely distributed in Korea over eight habitats, i.e. Keunduk, Dokye and Kaliwangsan, Kangwon-do: Dunduksan, Kyongsangbuk-do: Okcheon, Chungcheongbuk-do: Manduksan, Baekyangsan and Naejangsan, Jeolanam-do. On the other hand, its variety, E. ebracteolata var. coreana Hurusawa which grows only in Poong-do, Kyongki-do was reviewed by comparative morphology and chemotaxonomy to be resulted in the same species, E. ebracteolata.

  • PDF

한국산 붉은대극(대극과) 집단의 유전적 변이와 분화 (Genetic variation and differentiation among populations of Euphorbia ebracteolata (Euphorbiaceae) in Korea)

  • 조영우;박기룡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7
    • /
    • 2015
  • 한국산 붉은대극 9집단에 대해 전분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10개의 동위효소 유전자 좌위를 조사하였다. 붉은대극 집단은 기존의 대극속 식물과 비교해 볼 때 상대적으로 높은 집단 내 유전적 변이(A = 2.2, P = 61.1, $H_e$ = 0.165)와 낮은 집단 간 분화($F_{ST}$ = 0.075) 양상을 보여주었다. 붉은대극에서 나타나는 이와 같은 높은 집단 내 유전적 변이는 이들이 갖고 있는 오래 생존하고, 지역적으로 분포하며, 타가수분에 의존하는 생식특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국산 붉은 집단에서 보여주는 매우 낮은 유전적 분화와 독특한 대립인자가 나타나지 않는 특징은 이들 집단이 최근에 분화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동위효소 자료로 볼 때, 기존에 기재된 종하분류군인 풍도대극(var. coreana)과 설악대극(for. magna)은 붉은대극 한 종으로 통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추정된다.

Euphorbia ebracteolata에 대한 생약학적 연구(II) -Tannin 및 관련화합물에 관한 화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y on Euphorbia ebracteolata(II) -On the chemical study of the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 안병태;이상철;박웅양;이승호;노재섭;이경순;유응걸
    • 생약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1-217
    • /
    • 1992
  • Seven hydrolysable tannins and two related compounds have been isolated from the acetone-water(4 : 1) soluble portion of the aerial parts of Euphorbia ebracteolata(Euphorbiaceae). Seven hydrolysable tannins have been determined as 3-O-galloyl-shikimic acid, 1, 3, 4, 6-tetra-O- and $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 corilagin, tercatain, punicafolin and geraniin and two related compounds determinedasgallicacidandellagicacidonthebasisof spectral data and physico-chemical evidence.

  • PDF

붉은대극의 자생지 환경과 생태적 특성 (Environment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Euphorbia ebracteolata Hayata Flora)

  • 안병태;김재길;노재섭;박인근;이경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8-35
    • /
    • 1997
  • 붉은대극의 생태를 조사한 결과 이 식물의 개화 및 결실기인 $4{\sim}5$월에 상대조도 $16{\sim}49%$의 계곡에서 잘 자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식실험 결과 이 식물은 직사광선을 거의 받지 못하여도 상대조도 10% 이상에서는 개화가 가능하나, 결실을 위해서는 최소한 1시간 이상의 가조시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잎이나 뿌리의 형태 등은 생육환경에 의해 좌우되었으나, 자방 및 총포 내의 털은 유전적으로 고정된 형질로 관찰되었다.

  • PDF

한국산 대극속(Euphorbia L., Euphorbiaceae)의 세포분류학적 연구 (Cytotaxonomic study of Korean Euphorbia L. (Euphorbiaceae))

  • 정규영;오병운;박기룡;김주환;김미숙;남기흠;장창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79-293
    • /
    • 2003
  • 한국산 대극속(Euphorbia L.) 13종의 체세포염색체의 분류학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취급된 분류군들의 체세포염색체수는 2n= 12, 20, 22, 28, 40, 42, 56이었고, 기본염색체수는 x=6, 7, 10, 11이었다. 본 연구에서 체세포염색체수가 처음으로 밝혀진 분류군은 낭독(E. pallasii Turcz.; 2n=20), 단주낭독(E. hylonoma Hand.-Mazz; 2n=20.), 두메대극(E. fauriei H. L$\acute{e}$v. & Vaniot ex H. L$\acute{e}$v.;2n=28), 암대극(E. jolkini Boiss.; 2n=28)의 4종류이었으며, 기존의 보고와 일치하는 분류군은 개감수(E. sieboldiana Moor. & Decne.; 2n=20), 붉은대극(E. ebracteolata Hayata; 2n=20), 땅빈대(E. humifusa Willd. ex Schlecht.; 2n=22)의 3종류이었다. 반면 기존의 보고와 다르게 나타난 종류는 흰대극(E. esula L.; 2n= 16, 20, 60, 64 vs 2n=20), 등대풀(E. helioscopia L.; 2n=12, 42 vs 2n=42), 참대극(E. lucorum Rupr.; 2n=28, 40 vs 2n=56), 대극(E. pekinensis Rupr. in Maxim.; 2n=24 vs 2n=28, 56), 큰땅빈대(E. maculata L.; 2n=28, 42 vs 2n=12), 애기땅빈대(E. supina Raf.; n=7 vs 2n=40)이었다. 낭독, 붉은대극, 단주대극은 염색체의 수와 크기 및 부수체의 존재에 의해 다른 분류군들과 뚜렷히 구분되었으며, 큰땅빈대, 땅빈대, 애기땅빈대는 외부형태, 해부, 화분학적 형질의 공통성에도 불구하고 기본염색체수 및 체세포염색체수에서 차이를 보였다. 체세포염색체에서 얻어진 결과는 Webster(1967)의 분류체계보다 Ma and Hu(1992)의 분류체계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얻어진 체세포염색체에 관한 형질은 절 수준에서 분류학적으로 유용하게 적용되었으며, 일부 종의 유연관계를 파악하는데 그 유용성이 인정되었다.

한국산 흰대극(Euphorbia esula)과 섬흰대극(E. maackii)의 유전적, 형태적 분화 (Genetic and morphological divergence of Euphorbia esula and E. maackii in Korea (Euphorbiaceae))

  • 정한진;박기룡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67-274
    • /
    • 2012
  • 흰대극과 섬흰대극의 형태적, 유전적 분화를 알아보기 위해 두 종의 14개 자연 집단으로부터 12개의 형태형질과 11개의 동위효소 유전좌위를 조사하였다. 흰대극복합체의 유전적 다양성 측정치(A=1.63, P=44.83, $H_e$=0.198)는 기존의 동북아산 암대극과 두메대극의 보고와 유사하며, 한국산 붉은대극과 대극보다는 약간 낮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비록 대부분 두 종사이의 형태형질의 측정범위가 중복되나 흰대극과 섬흰대극은 형태형질의 조합에 의해 구별되며, 이를 기초로 한 전형질도는 한국에 두 종이 분포함을 지지해주고 있다. 하지만 동위효소 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두 종이 구별되지 않았으며, 이와 같은 두 자료의 불일치는 두 종이 최근에 분화 하였거나 종간 형질이입에 의한 교잡에 의해 이와 같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추측된다.

화분 형태에 의한 한국산 대극속(Euphorbia L., Euphorbiaceae) 식물의 분류학적 유연관계 (Relationships of Korean Euphorbia L.(Euphorbiaceae) based on pollen morphology)

  • 오병운;김영수;정규영;김미경;박기룡;김주환;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9-362
    • /
    • 2002
  • 한국산 대극속(Euphorbia L.) 13종의 화분 형태에 대한 재검토가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수행되었으며, 특히 화분 극축의 길이, 적도면의 직경, 발아구의 크기, 표벽의 두께 등이 측정되었다. 또한 화분 형질의 분석을 바탕으로 화분 형질에 대한 분류학적 평가 및 분류군의 유연관계가 논의되었다. 화분 극축의 길이(P)와 적도면 직경(E)의 평균치를 바탕으로 한국산 대극속은 다음과 같이 3군으로 구분되었다 : 1군. 흰대극아속의 낭독절, 대극절; $(P)x(E)=(54.88-67.17{\mu}m)x(44.30-64.75{\mu}m)$, 2군. 흰대극아속의 흰대극절, 등대풀절; $(P)x(E)=(39.98-47.24{\mu}m)x(36.07-38.83{\mu}m)$, 3군. 땅빈대아속의 큰땅빈대절, 땅빈대절; $(P)x(E)=(30.32-32.51{\mu}m)x(21.71-26.23{\mu}m)$. 또한 각 분류군에서 관찰된 다양한 표벽무늬는 소공의 크기와 소공 간 간격의 차이에 따라 8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조사된 화분 형질 중에서 화분의 크기 및 표벽무늬는 비교적 아속과 절 수준에서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땅빈대아속은 매우 작은 화분의 크기에서 뿐만 아니라 표벽에 소공이 치밀하게 분포한다는 점에 의해서 흰대극아속과 뚜렷이 구분되었다. 각 종의 지역집단에 따라 화분의 크기에 심한 변이가 존재하였고 또한 여러 유형의 표벽무늬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화분의 크기 및 표벽무늬는 대극속의 각 종을 분류하는 데에는 적절치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표벽무늬의 유사성을 근거로 단주낭독이 낭독보다는 붉은대극에 더 가깝고, 대극, 두메대극, 참대극은 밀접한 유연관계가 있음이 밝혀지는 등, 대극속 일부종의 분류에는 그의 유용성이 인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