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phausiid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6초

북태평양체제전환 (North Pacific Regime Shifts)과 한반도 주변해역 동물플랑크톤 계절주기 변동 특성 (Seasonal Variation in Zooplankton Related to North Pacific Regime Shift in Korea Sea)

  • 강영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93-504
    • /
    • 2008
  • In the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seasonal cycle of zooplankton related to North Pacific regime shifts was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reaction of the ecosystem to climate change using long-term data on zooplankton biomass (1965-2000) and the abundance of four major zooplankton groups: copepods, amphipods, chaetognaths, and euphausiids (1978-2000). In general, the zooplankton biomass showed a large peak in spring and a small peak in autumnin Korean waters, bu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he peak time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North Pacific regime shift. The zooplankton biomass showed conspicuous seasonal peaks in R-III (1990-2000) compared to R-I (1965-1976) and R-II (1977-1988), and the seasonal peak shifted from the autumn in R-II to the spring in R-III. The peak of copepods and euphausiids in abundance was from April to June, while chaetognaths peaked from August to October. We postulate that the time lag between the peaks for copepods and chaetognaths results from the predator-prey relationship. The regime shift in 1989 did not alter the seasonal cycle of the four major zooplankton groups, although it enhanced their production. The seasonal peaks of the four major zooplankton groups did not shift, while the seasonal peaks of the zooplankton biomass did shift. This was not only becausethe zooplankton biomass included other mesozooplankton groups but also because the abundance of the four major zooplankton groups increased significantly in spring.

2017년 봄철 한국 남해와 북부동중국해의 살파 Salpa fusiformis 대량 출현 (Mass Occurrence of the Salp Salpa fusiformis during Spring 2017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and the Northern East China Sea)

  • 강형구;김가람;강정훈;김민주;노재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135-145
    • /
    • 2019
  • We investigated the mass occurrence of the salp Salpa fusiformis during spring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and the northern East China Sea. Abundance of S. fusiformis and dominant taxonomic groups including copepods, ostracods, euphausiids, and appendicularian was examined along with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salinity, and chlorophyll-a concentration). The abundance of S. fusiformis at 27 stations ranged from 0 to $183\;inds\;m^{-3}$. Both aggregate and solitary forms of S. fusiformis occurred with a mean abundance of $62\;inds\;m^{-3}$ and $4\;inds\;m^{-3}$, and mean body length of 6.5 mm and 15.4 mm, respectively. Redundancy analysis showed that the abundance of S. fusiformi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lorophyll-a concentration, indicating the intensive grazing impact of S. fusiformis on phytoplankton. While the abundance of S. fusiformis increased, the species diversity of zooplankton community decreased. The abundances of total copepods and the dominant copepod species (e.g., adults and/or copepodites of Paracalansus parvus s.l., Calanus sinicus, Oithona similis, and Corycaeus affinis) also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 fusiformis abundance. However, the abundance of ostracods, euphausiids, and appendicularians was not affected by the mass occurrence of the sal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ass occurrence of S. fusiformis in spring could negatively affect ecosystem conditions by changing trophodynamics in the zooplankton community.

해저설치형 음향도플러유향유속계를 이용한 음향산란층의 연직이동속도 측정 (Measurement of vertical migration speed of Sound Scattering Layer using an bottom mooring type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 조현정;이경훈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6권4호
    • /
    • pp.449-457
    • /
    • 2010
  • This study shows that the vertical migration speed of sound scattering layers (SSLs), which is distributed in near Funka Bay, were measured by 3D velocity components acquired from a bottom moorng ADCP. While the bottom mooring type has a problem to measure the velocity vectors of sound scattering layer distributed near to surface, both the continuous vertical migration patterns and variability of backscatterers were routinely investigated as well. In addition, the velocity vectors were compared with the vertical migration velocity estimated from echograms of Mean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and estimated to produce observational bias due to SSLs which is composed of backscatterers such as euphausiids, nekton, and fishes have swimming ability.

한국 동해 연안에 출현하는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Coastal Waters of East Sea, Korea)

  • 진수연;김도균;성기창;강다연;이주은;박현솔;양혜진;서호영;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3-118
    • /
    • 2022
  • 이번 연구에 사용된 도루묵은 2020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우리나라 동해에서 동해구외끌이저인망과 연안자망 어업을 통해 총 781개체를 채집하였다. 채집된 도루묵의 전장범위는 14.8~25.4 cm였다. 도루묵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54.7%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나타낸 단각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각각 33.7%와 11.6%를 차지한 두족류와 난바다곤쟁이류였다. 그외 게류, 새우류, 어류, 갯지렁이류가 출현하였으나 그 양은 매우 적었다. 계절별 위내용물 조성을 살펴본 결과, 모든 계절에 단각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여름철에 두족류의 섭식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봄철에 난바다곤쟁이류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크기군별 위내용물 조성을 살펴본 결과, 도루묵은 모든 크기군에서 단각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었으며, 성장함에 따라 단각류와 난바다곤쟁이류의 비율은 감소하고 두족류의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개체당 평균먹이생물 개체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중량은 크기군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동해 중부연안 벌레문치(Lycodes tanakae)의 식성 (Feeding Habits of Lycodes tanakae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middle East Sea, Korea)

  • 최영민;윤병선;김효선;박정호;박기영;이재봉;양재형;손명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43-850
    • /
    • 2013
  • The feeding habits of Lycodes tanakae Eelpout were studied with 722 specimens collected from March 2011 to December 2012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middle East Sea. The main prey of L. tanakae were fish, molluscs and arthropods. Nevertheless annelida, echinodermata and others were found in small amounts in the stomach contents. The L. tanakae stomach was empty of contents in 50.9% of specimens. While smaller size specimens of L. tanakae (less than 40 cm) fed mainly on euphausiids and amphipods, the larger specimens (more than 40 cm) fed on the fish Allolepis hollandi and Icelus cataphractus, and the molluscs Berryteuthis magister and Watasenia scintillans. The main prey items of L. tanakae varied seasonally. The fish Lycodes nakamurai was the dominat prey from November to January during its spawning season. Euphausiids and amphipods of the arthropods were the dominant prey from February to April. The molluscs Berryteuthis magister and Watasenia scintillans were the dominant prey from May to September. The diversity index (H') of diets showed variations by length class and month; the highest values were 2.61 in the length class of 51-55 cm, and the monthly highest were 2.68 in September with 23 species and 2.65 in November with 18 species. The highest dominance index (D') of diets was 0.57 in the length class of 31-35 cm, and the monthly highest was 0.71 in February. Cluster analysis divided prey groups into four groups by length class and three groups by monthly prey items. The gonad index gradually increased during the process of maturation while, contrary, stomach content index decreased during this period.

한국 남해 연안전선의 생물$\cdot$화학적 특성 및 영양역학 구조 (B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rophodynamics in the Frontal Zone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 강영실;전경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2-29
    • /
    • 1999
  • 전선역의 생물$\cdot$화학적 특성 및 영양역학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한국 남해안의 전선대 해역과 비전선대 해역에서 수온, 영양염, chlorophyll a와 동물플랑크톤을 조사, 분석하였다. 영양염은 비전선대 해역이 전선대 해역에 비해 높았으나, chlorophyll a는 전선대 해역에서 높았다. 특히, 전선의 중심지에서도 성층과 비성층의 분기점이 되는 수심 20m층에서 chlorophyll a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전선의 중심지인 정점의 수심 20m층에서 영양염이 가장 낮았다. Chlorophyll a는 영양염과 모두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특히 $SiO_2^{-}-Si$와 가장 높은 음의 상관성을 보석, 전선대에서 영양염 농도가 낮은 것은 chlorophyll a생산에 사용되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동물플랑크톤 출현량은 전선대해역에서 비전선대해역 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특히 전선대 해역의 전선을 중심으로 한 연안에서 가장 높았다. 동물플랑크톤 중 copepods가 $90\%$ 내외의 높은 조성률을 보이나, 전선의 중심지에서 copepods는 약 $60\%$의 조성률을 보인반면 siphonophores와 euphausiids가 높은 조성률을 나타내었다. Copepods는 비전선대 해역에서는 chlorophyll a와 높은 상관성을 보인반면, 전선대 해역에서는 포식자인 siphonophores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copepods 출현량은 전선대 해역에서는 top-down조절을 받고 있으며, 비전선대 해역에서는 bottom-up조절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강원도 속초 연안에서 산갈치(Regalecus russellii) 출현과 연안환경 (Occurrence of Regalecus russellii off the Coast of Gangwon-do, Korea and Coastal Environment)

  • 박종원;권순만;한표일;이충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20-524
    • /
    • 2023
  • 산갈치(Regalecus russellii)는 대부분을 심해에서 보내며 가끔 연안에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산갈치는 주로 동해 연안을 따라 출현하는데, 특히 자망 등 어구에 의해 포획되는 경우와 연안에 좌초되어 출몰하는 경우가 높고 그 빈도는 극히 낮다. 또한 발견된다고, 하더라도 산갈치와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투라치(Trachipterus ishikawae)로 판별되는 경우가 높다. 산갈치의 표본을 구하여 분석하는 것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 연안에 출현하는 산갈치의 생태학적 특징에 대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2023년 3월 14일 강원도 앞바다에서 어획된 산갈치의 해부학적 특징을 관찰하였고, 해양 부이 자료를 이용한 수온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산갈치는 수컷이었고, 전장은 320 cm, 전중은 27.52 kg, 체고는 26.62 cm, 생식소 중량은 619.45 g, 간중량은 218.71 g이었다. 산갈치의 위는 난바다 곤쟁이류로 가득 차 있었고, 산갈치가 어획되기 약 일주일 전부터 15~30 m 수심에서 강한 수온 변동이 있었으며, 저층 수온은 10℃ 미만이었다. 본 기술보고는 우리나라 동해 연안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산갈치의 생태학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을철 서해에 출현하는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섭식특성 (Feeding Characteristics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the Yellow Sea of Korea in Autumn)

  • 박현솔;김창신;양재형;송세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78-284
    • /
    • 2023
  • 우리나라 가을철 서해에 출현하는 고등어의 섭식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21년 10~12월, 2022년 9~11월에 대형선망어업에 의해 어획된 827개체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고등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였으며, 어류 중에서도 멸치가 가장 우점하였다. 그 외에, 요각류, 단각류, 난바다곤쟁이류, 두족류, 곤쟁이류, 생이류, 게류 등이 출현하였으나, 각각 13.7% 이하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보여 그 양은 매우 적었다. 고등어의 생태적 지위를 알아보기 위해 고등어의 영양단계를 살펴본 결과, 3.84의 값을 나타내었다. 크기군별 위내용물 조성을 알아본 결과(<25.0 cm, 25.0~30.0 cm, 30.0~35.0 cm, 35.0~40.0 cm, ≥40.0 cm), 큰 크기군으로 갈수록 난바다곤쟁이류, 요각류와 단각류의 상대중요도지수비는 감소하는 반면, 어류의 상대중요도지수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성장함에 따라 고등어의 평균 먹이생물 개체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평균 먹이생물 중량 또한 크기군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줄삼치(Sarda orientalis)의 위내용물 조성 (Diet Composition of Oriental Bonito (Sarda orientalis) in Coa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 김현지;정재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13
    • /
    • 2020
  • 줄삼치(Sarda orientalis)는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 제주 주변해역에서 고등어 선망어선에 혼획된 288개체를 이용하였으며, 가랑이체장(fork length)과 체중을 각각 0.1 cm와 0.1 g까지 측정한 뒤 해부하여 먹이생물의 크기와 무게를 측정하고 최대한 종 수준까지 분석하였다. 먹이생물은 상대중요성지수비(%IRI)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크기군과 계절에 따른 먹이조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줄삼치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Pisces)였으며, 그중에서도 멸치(Engraulis japonicus)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 외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 단각류(Amphipoda), 두족류(Cephalopoda)가 출현하였으나 그 양은 적었다. 줄삼치는 모든 크기군과 계절에서 어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었으며, 성장하면서 먹이생물의 중량이 증가하였다.

고리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꼬마달재 (Lepidotrigla guentheri)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Redbanded Searobin Lepidotrigla guentheri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 백근욱;허성회;최희찬;박주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72-377
    • /
    • 2011
  • The feeding habits of the redbanded searobin Lepidotrigla guentheri were studied using 186 specimens colle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6,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The sizes of L. guentheri ranged from 7.1 to 16.7 cm total length(TL). L. guentheri is a bottom-feeding carnivore that consumes mainly shrimp, especially Leptochela sydniensis, amphipods, and crabs. Its diet also includes small quantities of stomatopods, mysids, cumaceans, euphausiids, polychaetes, and copepods. Our feeding-strategy graphical method reveled that L. guentheri is a specialized feeder, with a narrow niche width. L. guentheri mainly consumed shrimp of all size classes and did not show significant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er individuals(7-11 cm TL) secondly consumed amphipods, with the portion of amphipods in the total diet decreasing as body size increased. Prey size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fish grew in s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