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lhaeja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4종 『어약원방(御藥院方)』에 대한 비교연구 -치소아제질문(治小兒諸疾門)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he Four Editions of 『Eoyakwonbang』 -Based on the Chapter of Pediatric Diseases-)

  • 송지청;엄동명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3-49
    • /
    • 2020
  • Objectives : While the original version of 『Eoyakwonbang』 does not exist, its contents have been introduced in several studies. The existing editions are the Joseon versions 『SinganHyeminEoyakwonbang』(Eulhaeja edition) and 『GyesaSinganHyeminEoyakwonbang』(Gapjinja edition), and a Japanese version, 『GyesaSinganHyeminEoyakwonbang』(Gwanjeong edition). In a recent research,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re is a fourth edition of the book, 『SinganHyeminEoyakwonbang』(Jeonggadang edition), in the Japanese Parliament Library collection. Methods : Contents of the chapter on pediatric diseases were compared among the four editions to clarify their relation with each other. Results : Based on the organization of the chapter, formula names in the list and body, explanatory methods of the formulas, application, formula construction and methods of application, we found that there were great similarities between Eulhaeja edition and Jeonggadang edition, and between Gapjinja edition and Gwanjeong edition. Conclusions : 1. Jeonggadang edition is similar to Eulhaeja edition in contents and form. 2. Although the exact publication date of Jeonggadang edition is unknown, based on the fact that it was mostly circulated in the Qing period, it can be assumed to have been published after the Eulhaeja edition which was published in the 15th century. 3. Gapjinja edition was published in the 16th century and shares little similarity in form, organization and contents with Eulhaeja edition, indicating that a different version was used as the original script. 4. Gwanjeong edition was published in the 18th century, and is very similar in form, organization and contents with Gapjinja edition, repeating the same errors made in the Gapjinja edition. This indicate that Gapjinja edition was the mother script of Gwanjeong edition.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 전기 금속활자의 조성성분과 통계분석 (The Component and Statistical Analyses of Early-Joseon Metal Types in National Museum of Korea)

  • 신용비;허일권;이수진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8권
    • /
    • pp.89-108
    • /
    • 2022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속활자는 약 50만자로 앞서 연구된 조선 금속활자에 기초해 갑인자(甲寅字)활자 33점, 을해자(乙亥字)병용한글활자 29점 등 조선 전기 금속활자 62점의 형태 조사, 비중을 측정하고 조성성분을 바탕으로 통계분석하였다. 갑인자활자 33점, 을해자병용한글활자 24점은 2성분계 청동(구리-주석)([A]그룹), 을해자병용 한글활자 5점 중 4점은 3성분계 청동(구리-주석-납)([B]그룹) 1점은 2성분계 청동(구리-주석)([C]그룹)으로 주석 함량이 높다. 본 연구에서 다수의 활자 성분 통계분석을 토대로 조선 후기 임진자(壬辰字)활자와 비교한 결과, 후기 활자는 구리 함량이 낮고 아연, 납 함량이 높은 특징이 있어 조선 전기와 후기 활자의 분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조선시대 금속활자본 불교서적의 서지적 연구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Metal Type Buddhist Book Editions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 송일기;정왕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23-246
    • /
    • 2015
  • 이 연구는 조선시대 금속활자로 간인한 불교서적에 대해서 서지학적 측면에서 그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시대 금속활자로 간행한 불교서적은 모두 36종이 현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간행에 사용한 활자별로 분석해 보면, 갑인자본이 9종, 을해자본이 13종, 정축자본이 2종, 을유자본이 3종, 그리고 전사자본이 9종으로 밝혀졌다. 그 가운데 을해자로 간인된 불서가 13종으로 가장 많은 수량을 보이고 있어 전체 3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이를 간행시기로 분석한 결과, 조선전기에는 모두 27종이, 조선후기에는 모두 9종의 불교서적이 간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중 세조대에 간행된 금속활자본은 19종으로 조사되어 전체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세조의 비정상적 즉위와 더불어 호불적 성향과 깊은 영향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왕실 주조 청동활자의 복원과 과학적 분석 (Restoration and Scientific Analysis of Casting Bronze Type in Joseon Dynasty)

  • 윤용현;조남철;이승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7-217
    • /
    • 2009
  • 임진왜란 이전의 청동활자인 계미자, 경자자, 을해자 등 10종을 복원하기 위하여 계축자인 동국여지승람의 복원 활자를 통하여 주조할 당시의 합금비율, 주조방법과 각 주조 단계 별 미세조직 변화를 관찰하였다. 청동활자의 평균 조성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을해자의 평균 성분조성(Cu: 86.7%, Sn: 9.7%, Pb: 2.3% 등)을 기준으로 하여 구리와 주석, 납의 합금 비율을 구리 87%, 주석 15%, 납 8%로 정하였다. 주요 금속활자를 복원하기 전에 모합금을 제작한 후 다시 모합금을 용융하여 활자를 복원하였다. 1차로 복원한 계축자의 성분조성은 Cu 85.81~87.63%, Sn 9.27~10.51%, Pb 3.05~3.19%의 범위를 보였다. 2차로 복원한 계축자는 1차 주조 후 남은 가지쇠를 용융하여 주조한 것으로서 성분조성은 Cu 87.21~88.09%, Sn 9.06~9.36%, Pb 2.80~3.05%의 범위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는 1차로 복원한 활자에 비하여 주석과 납의 함량이 소량 감소하였으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을해자의 평균조성과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복원한 계축자의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 청동의 전형적인 주조조직인 수지상(dendrite)조직이 잘 발달해 있으며, 납편석물들이 조직 내에 산재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1차 주조 후 관찰한 미세조직과 남은 가지쇠를 용융하여 2차로 활자를 제작한 후 미세조직을 비교한 결과 1차로 주조한 것에 비하여 2차로 주조한 것이 일부 공석상 영역이 감소한 것으로 보이나 조직별 차이점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조선왕실 금속활자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복원 실험을 통해 활자 주조방법의 기준 및 합금조성의 비율 등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활자 복원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 PDF

을해자본(乙亥字本)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에 대한 조사 연구 - 간행연대 고증과 내의원각본(內醫院刻本)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Eulhaeja(乙亥字) "Huangjenaegyeongsomun(黃帝內經素問)" - Focused on Investigation of Publish era and Comparision with Other Korea-published "Huangjenaegyeong(黃帝內經)")

  • 백유상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13-124
    • /
    • 2011
  • In this article the purpose of the study on Eulhae metal type(乙亥字) "Huangjenaegyeongsomun(黃帝內經素問)" is to ascertain the era of that publication according to recent investigation and find the properties of that book through comparision with other "Huangjenaegyeongsomun(黃帝內經素問)" published in ancient Korea, Choseon Dynasty. Because we are not yet secure more various Eulhae metal type(乙亥字) books and collaterally printed books, and there would be more unknown Eulhae metal type(乙亥字) "Huangjenaegyeongsomun(黃帝內經素問)" in Korea or abroad, so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on of publish are only based on the record in that book, and comparision with the context of other Korea-published "Huangjenaegyeongsomun(黃帝內經素問)". As a result Eulhae metal type(乙亥字) "Huangjenaegyeongsomun(黃帝內經素問)" was published in Myeongjong era about 1554-1557, was the very original book of exiting Naeeuwon(內醫院) type "Huangjenaegyeongsomun(黃帝內經素問)". This Publication of this book published with Eulhae metal type(乙亥字) "Huangjenaegyeongyeongchu(黃帝內經靈樞)" at the same period explains that at that time Choseon Dynasty lay emphasis on promoting Medicine and teach "Huangjenaegyeong(黃帝內經)".

조선조 활자본계의 묘법연화경 판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Xylographica of Myopopyunhwakyung Printed by Movable Type in the Chosun Dynasty)

  • 강순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5-92
    • /
    • 1999
  • 이 논문은 조선조 활자본계의 묘법연화경 판본에 관한 연구를 위해 묘법연화경의 동전과 유통 활자본계의 묘법연화경 판본의 유통, 각 판본들의 서지적 성격을 고찰하였다. 묘법연화경은 유통본의 종류가 많아서 그 계열을 가름하여 그 가치를 제고하는 것은 중요하다. 활자본은 초주갑인자본과 을해자본으로 세종.세조조에 찍어 유통시켰고 이들의 번각 본이 성종부터 영조조까지 유통되었다. 이들 판본에 나타나는 서지적인 성격은 사찰, 서체, 변상도, 경판간행질에 있어 다양하고 독특한 내용을 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