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ene glycol 시험법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9초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의 체적안정성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Evaluation on Volume Stability of the Elec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Aggregate)

  • 임희섭;이한승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78-86
    • /
    • 2017
  • 본 논문은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의 체적안정성 평가를 위해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의 체적안정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체적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고안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물리적 방법으로는 오토클레이브의 고온 고압을 이용하여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의 체가름 변화를 확인하는 방법과 모르타르바를 제작하여 길이변화율에 따른 체적팽창성을 확인하였다. 화학적 방법으로는 Ethylene glycol 시험법을 이용하여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의 free CaO 함량을 정량 평가하였다.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의 free CaO 정량 평가 결과 0.5% 이하의 함량으로 나타났으며, 화학 분석 결과 KS F 4571의 CaO 40%이하로 확인 되었다. 전기로 산화슬래그의 free CaO가 소량 함유됨에 따라 건설재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친수성 Poly(ethylene glycol)을 이용한 프란루카스트 고체분산체의 제조 및 특성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ethylene glycol) Based Pranlukast Solid Dispersion)

  • 김형은;황준석;조선행;김영진;허강무
    • 폴리머
    • /
    • 제36권1호
    • /
    • pp.41-4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난용성 약물이며, 경구용 천식 치료제 중 하나인 pranlukast의 용해도 및 용출성 개선 제제 개발을 위해 친수성 고분자인 poly(ethylene glycol) (PEG)와 고분자 계면활성제인 poloxamer를 사용하여 열용융법(HM)과 용매증발법(SE)에 의한 고체분산체를 제조하였다. 고체분산체 내 약물의 결정성 변화를 DSC, PXRD로 분석한 결과, 약물의 결정성이 크게 감소하였고, 부분적으로 무정형으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용출시험 및 용해도 분석결과, 고유 약물에 비해 용해도와 용출 속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Pranlukast, PEG, poloxamer가 1:5:1의 조성으로 열용융법에 의해 제조된 고체분산체가 가장 우수한 용해도 및 용출속도 향상 결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PEG과 poloxamer를 이용한 고체분산체 제제는 난용성 약물인 pranlukast의 용해도와 생체이용률을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계 폴리올을 이용한 난연성 폴리우레탄의 합성 및 특성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hosphorus Polyurethanes Using Phosphorus Polyols)

  • 김태윤;김용갑;임충선;서봉국;이원주
    • 접착 및 계면
    • /
    • 제20권2호
    • /
    • pp.61-6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인계 폴리올을 phenylphosphonic dichloride (PPDC), allylphosphonic dichloride (APDC)에 ethylene glycol (EG)을 반응시켜 합성하였고 분자량이 880~1,560 g/mol의 폴리올 얻었다. 이를 이용하여 polycarbonate diol (PCD)와 함께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와 중합하여 인계 폴리우레탄을 얻었다. 합성한 인계 폴리우레탄의 인의 합량이 높아질수록 열분해 온도는 감소하였지만 챠 (char)의 발생과 발생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UL-94V 시험법을 통하여 APDC를 포함하는 인계 폴리우레탄 인의 함유량이 0.5 wt%이상일 때 V-0의 난연등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무용제형 저기포성 정련제의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Solvent-Free Low Foaming Scouring Agents)

  • 근장현;김승진;함현식;박홍수
    • 공업화학
    • /
    • 제4권4호
    • /
    • pp.760-769
    • /
    • 1993
  • Polyoxyethylene(30) octadecylbenzylammonium chloride(POAC), propylene oxide와 ethylene oxide의 블럭 공중합체[p(PO-b-EO)glycol], Sedlan FF-200(FF-200) 및 polyoxyethylene(10) nonylphenyl ether의 술폰산-아민축합물 (PSAC) 등을 블렌딩하여 무용제형 저기포성 정련제 (LFSA)를 제조하였다. LFSA로서 여러 가지 물성시험을 해 본 결과 FF-200/POAC/p(Po-b-EO) glycol/PSAC/water(20g/10g/5g/5g/60g) 혼합물(LFSA-5)은 세정력, 침투력, 유화력, 알칼리 안정성 등이 양호하였으며, 수질오염에 대한 영향이 크지 않았다. LFSA-5의 정련효과는 정련전 후의 염색온도에 따른 염착률의 변화로서 확인하였는데, 정련전 PET 직물인 경우는 $70^{\circ}C$에서 4.5%의 염착률을 나타낸데 반하여, LFSA-5로서 정련된 직물은 1.3%의 염착률을 나타냄으로써 LFSA-5의 정련효과가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LFSA-5는 Ross and Miles법에 의한 거품 생성 직후의 기포력이 포고 6mm로 나타났고, Ross and Clark법에 의한 기포력이 $30^{\circ}C$에서는 포고 300mm 이하로, $80^{\circ}C$에서는 20mm를 각각 나타내어 양호한 저기포성 정련제임이 입증되었다.

  • PDF

마우스 성숙난자의 유리화동결법에 따른 동결 융해후의 염색체와 방추사의 분석

  • 박성은;신태은;김승범;차수경;임정묵;정형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5-75
    • /
    • 2001
  • 유리화 동결법은 동결중 ice crystal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난자의 동결보존을 위한 유용한 동결방법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마우스의 난자를 ethylene glycol과 electron microscope grid를 이용한 유리화 동결법으로 동결 융해한 결과 기존의 slow freezing 방법에서보다 높은 생존율과 배발달율이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동물과 인간 난자를 이용한 연구를 통하여 난자의 경우 동결 융해후 염색체에 부착되어 있는 미세소관인 방추사가 온도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염색체 이상성이 증가되는 것이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숙난자를 유리화동결법에 의해 동결 융해후 난자의 염색체와 방추사의 이상성이 증가되는지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ICR mouse의 성숙란을 채취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fresh한 대조군과 동결음해 시킨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동결방법은 난자를 1.5 M ethylene glycol (EG)에 2분 30초간 노출 시킨후 5.5 M EG와 1M sucrose가 첨가된 동결액에 20초간 노출시킨 후 Grid에 난자를 부착시킨 후 직접 액체질소에 침지하여 동결하였다. 동결후 난자는 5단계로 융해를 실시한 후 생존된 난자는 tubulin 항체를 이용한 immunostaining 방법으로 방추사의 이상성을 관찰하였고, 염색체는 난자를 고정 후 10% Giemza로 염색 후 염색체의 수적인 이상성을 관찰하였다. 염색체 분석결과 염색체 이상 빈도는 대조군의 경우 19.6%, 동결융해군은 32.8%로 관찰되었다. 또 방추사의 이상빈도는 대조군의 경우 20.2%, 동결 융해군은 32.3%로 관찰되어 동결 융해후의 난자에서 염색체와 방추사의 이상 빈도가 증가됨이 관찰되었다.찰되었다. 배아이식후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2 마리가 임신이되어 정상적인 산자를 분만하였다. 따라서 항동해제에 taxol의 첨가는 동결 융해후의 난자의 배발달율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8%로 나타나 난할율 및 배반포 발생율에 있어서 융합조건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나 1.9㎸/cm, 30$\mu\textrm{s}$ 2회의 조건이 다른 조건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체세포와 수핵란 세포질간의 융합율과 배반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전압보다는 시간에 더 크게 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에서 융합시 시간을 오래 주는 것보다 전압을 높이는 것이 수핵난자의 세포질에 상해를 줄이고 이후 배반포 발생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면에서도 더욱 더 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란후 72시간째에 초음파진단기를 이용하여 난소의 난포발달을 조사한 결과 , 대조구와 bFF처리구에 비해 AI처리구에서 발달난포가 유의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Anti-inhibin serum은 한우 자체에서 분비하는 Inhibin을 특이하게 억제하여 Inhibin에 의해 억제되는 FSH분비가 촉진됨으로써 난포발달과 estrogen의 농도가 촉진되는 것으로 사료되어 anti-inhibin serum이 한우의 과배란유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 PDF

제올라이트로부터 스멕타이트 수열 합성에 대한 연구 (Hydrothermal Synthesis of Smectite from Zeolite)

  • 채수천;김유동;장영남;배인국;류경원;이성기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1-310
    • /
    • 2006
  • 수열합성법에 의하여 Na-P 형 및 Na-A형 제올라이트로부터 스멕타이트를 합성하였고 이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제올라이트로부터 스멕타이트의 최적 합성조건은 반응온도 $290^{\circ}C$, 반응시간 72 h, 자생압력 $75{\sim}100kgf/cm^2$였으며, 스멕타이트의 합성을 위한 초기 반응 용액의 pH는 Na-P형 제올라이트의 경우, pH 6, 그리고 Na-A형 제올라이트의 경우, pH 10이었다. Na-P형 및 Na-A 형 제올라이트로부터 합성된 스멕타이트에 대한 부정방위, 정방위, 에티렌 그리콜 및 Greene-Kelly 시험법 등을 통하여 합성된 스멕타이트가 $12{\AA}$-바이델라이트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유리화 동결법에 의한 난자의 동결 중 항동해제에 Cytoskeleton Stabilizer, Taxol의 처리 후 배발달율의 개선에 관한 연구

  • 정형민;박성은;임정묵;고정재;정미경;차광렬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4-74
    • /
    • 2001
  • 난자 동결방법의 선별은 보다 효과적인 난자은행의 개발에 필수 불가결한 중요한 요소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마우스의 난자를 ethylene glycol과 electron microscope grid를 이용한 유리화 동결법으로 동결 융해한 결과 기존의 slow freezing 방법에서보다 높은 생존율과 배발달율이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동결융해후의 난자는 방추사와 염색체의 이상성이 대조군에 비해 높은 빈도로 나타나 융해후의 배발달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리화동결법동안 항동해제에 Cytoskeleton system을 안정화시키는 cytoskeleton stabilizer인 taxol을 첨가시킨후 동결시켰을때 생존율과 발달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ICR mouse의 성숙란을 채취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taxol을 첨가시키지 않은 대조군과 첨가시킨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동결방법은 난자를 1.5 M ethylene glycol (EG)에 2분 30초간 노출시킨후 5.5 M EG와 1 M sucrose가 첨가된 동결액에 20초간 노출시킨 후 Grid에 난자를 부착시킨후 직접 액체질소에 침지하여 동결하였다. 동결후 난자는 5단계로 융해를 실시한 후 정자와 체외수정을 시킨 후 수정된 난자는 modified P1 배약액에 124 h까지 발달율을 관찰하였고, 배양 후 발달된 배반포는 대조군과 실험군, 각각 4마리의 발정동기화된 recipient에 이식을 시행하였다. 배발달율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4세포기 (48 vs. 84.4%), 8세포기 (34% vs. 70.6%), 상실배 (26% vs. 58.6%) 그리고 배반포 발달율은 (24% vs. 58.6%)로 높게 관찰되었다. 배아이식후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2 마리가 임신이되어 정상적인 산자를 분만하였다. 따라서 항동해제에 taxol의 첨가는 동결 융해후의 난자의 배발달율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8%로 나타나 난할율 및 배반포 발생율에 있어서 융합조건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나 1.9㎸/cm, 30$\mu\textrm{s}$ 2회의 조건이 다른 조건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체세포와 수핵란 세포질간의 융합율과 배반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전압보다는 시간에 더 크게 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에서 융합시 시간을 오래 주는 것보다 전압을 높이는 것이 수핵난자의 세포질에 상해를 줄이고 이후 배반포 발생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면에서도 더욱 더 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란후 72시간째에 초음파진단기를 이용하여 난소의 난포발달을 조사한 결과 , 대조구와 bFF처리구에 비해 AI처리구에서 발달난포가 유의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Anti-inhibin serum은 한우 자체에서 분비하는 Inhibin을 특이하게 억제하여 Inhibin에 의해 억제되는 FSH분비가 촉진됨으로써 난포발달과 estrogen의 농도가 촉진되는 것으로 사료되어 anti-inhibin serum이 한우의 과배란유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low in two aspects, named "the Nonsignificant group". And the issues were high risk perception in general setting and

  • PDF

용제형 저기포성 정련제의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Solvent Type Low Foaming Scouring Agents)

  • 박은경;박홍수;김영근
    • 공업화학
    • /
    • 제4권2호
    • /
    • pp.358-364
    • /
    • 1993
  • 2-Ethylhexylaminoethyl sulfate, Na-dioctyl sulfosuccinate, Newpol PP-2000, MJU-100, 에틸렌글리콜 및 유기용제 등을 블렌딩하여 저기포성 정련제(SLFS)를 제조하였다. SLFS로서 여러가지 물성시험을 해 본 결과, SLFS-2는 정련효과, 침투력, 유화력, 내알칼리성 등이 양호하였으며, 수질오염에 대한 영향이 크지 않았다. 또한 SLFS-2는 Ross & Miles법에 의한 거품생성 직후의 기포력이 포고 8mm로 나타났고, Ross & Clark법에 의한 기포력이 $30^{\circ}C$에서는 포고 300mm 이하로, $80^{\circ}C$에서는 15mm를 각각 나타내어 양호한 저기포성 정련제임이 입증되었다.

  • PDF

수침고목재(水浸古木材)의 보존(保存)을 위한 PEG, Sucrose, Lactitol 처리(處理) 및 습도조건(濕度條件)에 따른 상태변화(狀態變化) 실험(實驗) (Experiment on Conservation Treatment Method(PEG, Sucrose and Lactitol) and Degree of State-change with RH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

  • 이용희;김수철;박영만;김경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권
    • /
    • pp.19-25
    • /
    • 2000
  • 광주 신창동 저습지 유적에서 출토된 수침목재유물에 적합한 보존처리 방법을 설정하고자 동일유적에서 출토된 2종의 자연목재를 PEG(Poly-Ethylene Glycol), Sucrose, Lactitol로 처리하고 약제별 치수안정성 및 처리목재의 습윤↔건조 특성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상수리나무류는 저분자의 PEG#200(MW:200)과 고분자량의 PEG#4000(MW:3,350)을 이용한 2단계 PEG처리(PEG-2Step)에서, 단풍나무류는 PEG#4000만을 단독으로 적용한 처리에서 가장 높은 치수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처리 후 습윤↔건조 실험에서는 2단계 PEG처리한 시험재의 치수변화가 가장 작게 나타났다. 반면 Sucrose와 Lactitol의 경우 약제 확산속도가 빠르지만 Sucrose처리재는 84%의 높은 습도조건에서 흡습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약제가 다량 용출되었고, Lactitol은 습윤↔건조 후 미세한 할렬과 함께 처리재가 팽창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또한 습윤↔건조 실험에서 2단계 PEG처리를 제외한 모든 시험재에서 갈라짐이 발생하였다. 이번 실험결과 신창동 저습지 출토수침목재는 2단계 PEG처리법을 적용한 경우에 치수안정성이 가장 높고 습도변화에 대한 적응성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닐 단량체 그라프트 중합견의 물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Vinyl Monomers Graft Polymerized Silk Fibre)

  • 이용우;송기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7-50
    • /
    • 1985
  • 견의 증량 및 실용성 향상을 위한 견에 대한 비닐 단량체 그라프트 중합법에 관한 연구에서 각종 단량체에 의한 그라프트 중합견의 물성 변화에 대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사에 대한 스타이렌 및 M.M.A.의 그라프트 중합에 있어서 그라프트 중합율이 높을수록 생사의 sericin 정착율이 높았으며 단량체별로는 스타이렌 중합구가 M.M.A. 중합구보다 sericin 정착율이 높았다. 비닐 단량체 그라프트 중합 생사는 무처리 생사에 비하여 강력 (g/d) 및 신도가 저하되었다. 2. G.M.A. 그라프트 중합견의 그라프트율은 53.7%로서 M.A.A. 중합견의 48.6%에 비하여 약간 높았으며 중합견포의 급수율은 그라프트 중합율이 높을수록 떨어졌으나 G.M.A. 중합견은 39.6%로서 M.M.A. 중합견의 25.0%에 비하여 14.6%가 높았다. 3. E.G.M. 그라프트 중합견의 그라프트율은 58.3%로서 G.M.A. 중합견의 53.9%에 비하여 약간 높았으며 E.A. 중합견은 33.7%로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E.G.M. 중합견의 급수율은 G.M.A. 및 E.A. 중합견에 비하여 우수하였으며 견포의 강연도는 E.G.M. 및 G.M.A. 중합견 모두 미중합견에 비하여 증가되므로서 촉감이 저하되었다. 4. 그라프트 중합사의 중합균일도에 있어서 그라프트 중합욕을 진양 처리하면 관행 중합법에 비하여 중합 가공 견사의 섬도편차와 견포의 두께 편차를 감소시키므로서 중합규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