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ics of Care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33초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Ethical Dilemma and Professionalism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 최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153-163
    • /
    • 2018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정도를 파악하여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과 전문직으로서의 성장을 통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4곳의 요양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 2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는 중간정도로 나타났고, 하위 영역 중 간호사와 대상자 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생명존중 및 건강의 권리 존중 영역이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전문직업성은 중간정도로 나타났고, 소명의식 영역의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을 반영한 간호윤리 지침서를 개발하여 간호사들이 실무현장에서 겪게 되는 윤리적 딜레마상황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주기를 제언한다. 또한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전문직업성 교육을 계획할 때 간호직에 대한 신념과 가치관을 강조하여 소명의식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가정전문간호사의 윤리적 가치인식, 윤리적 갈등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 of Ethical Values, Ethical Conflicts, and Job Satisfaction of Home Care Nurses)

  • 조영이;한성숙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12권1권
    • /
    • pp.1-40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home care nurses' perception of ethical values and conflicts and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7 home care nurses working at 101 institutions involved in home care practice,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December 28, 2004 February 14, 2005. The instruments were perception of ethical values, ethical conflicts, and job satisfaction and it was revised by the author. The reliability of Cronbach's a was .74, .93, .85, respectively. SAS 8.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frequency, percentage, unpaired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for data analysis.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cores of home care nurses' perception of ethical values were average 3.8points (5points sca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P=.001), religions (P=.001), ethical standard (P=.018), and current job satisfaction (P=.000). The scores of home care nurses' ethical conflicts were average 2.9points (5points sca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ay (P=.008) and employment status (P=.001) of general characteristics; conflicts was showed to go up with higher pay and temporary employment status. The scores of home care nurses' job satisfaction were average 3.3points (5points sca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age (P=.023), pay (P=.001), job career of home care (P=.030), and current job satisfaction (P=.000)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ject's perception of ethical values and ethical conflicts (P=.004) and perception of ethic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P=.005). However, ethical conflicts and job satisfaction (P=.772) showed negative correlation, but it was not significant. With the results, home care nurses showed firm perception of ethical values and relatively higher job satisfaction. However, they showed ethical conflicts regarding the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and dignity of human life. In conclusion, It requires some alternative measures to solve the ethical conflicts and to enhance job satisfaction of home care nurses through the support in policy, continuous ethics education, rewarding system, and introducing laws to protect individual home care nurses.

  • PDF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 (Community Child Care Center Work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and Their Job Satisfaction)

  • 김운정;최유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57-269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관리자와 실무자의 전문성과 직무만족도를 증진함으로써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강원지역의 지역아동센터 시설장 및 생활복지사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응답자의 전문성 인식은 중간 이상의 수준을 보였으며, 직무만족도는 중간보다 조금 높은 수준을 보였다. 직무내적 만족도에 비해, 직무외적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보상만족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전문성 인식과 그 하위영역인 전문적 지식/기술, 전문적 가치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직무내적 만족도, 직무외적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의료와 사법(司法)의 협력 -일본에서의 진료가이드라인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operation between Medical Care and Law -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the role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in Japan -)

  • 송영민
    • 의료법학
    • /
    • 제23권2호
    • /
    • pp.39-65
    • /
    • 2022
  • 진료가이드라인은 의료행위 전의 비법적 통제로서 작용하는 측면과 의료행위 후의 법적인 통제기준으로 작용하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진료가이드라인의 본질적 목적은 전자이지만, 후자의 작용을 배제할 수 없다. 진료가이드라인은 법과 의료를 연결하는 수단이다. 진료가이드라인의 제정에 의해 의료전문가의 자율성이 침해될 수 있다는 진료가이드라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진료가이드라인에 대한 지나친 부정적 평가이다. 오히려 진료가이드라인에 의한 사법판단은 의료전문가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진료가이드라인은 의료에 대한 법적 규제를 최대한 억제하고, 의사의 직업윤리 및 자기규율과 환자의 자각 및 협력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다. 의사와 환자의 협력이라는 이상적인 관계를 정립하기 위해서는 「의료윤리」를 법적 수단으로 편입해야 한다. 이러한 의료윤리의 법적 절차에의 편입작업에 가장 적절한 수단이 의료가이드라인이다. 법률가는 규범을 정립하고, 그것에 사실을 적용하여 결론을 내리는 법적 삼단논법으로 사안을 해결한다. 의료분쟁의 해결은, 의사가 특정 질환에 어떠한 의료행위를 해야 하는가라는 규범을 정립할 때에 진료가이드라인을 사용하며, 정립된 규범을 구체적인 진료행위에 적용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정립된 규범을 구체적인 진료행위에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때에는 감정이나 전문가 증언, 전문위원의 설명과 같은 전문가의 의학적 판단을 이용한다. 이처럼 사법(司法)은 규범의 정립이나 규범의 적용에도 의료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있다. 특히 법적 삼단논법의 대전제인 규범의 정립에는 의료계가 자주적으로 작성한 진료가이드라인을 참고하고 있다. 이는 의료인이 판례의 형성에 참가하여 규범형성에 기여하는 모습이다. 진료가이드라인이 재판에 이용되는 것은 의료의 자율성에 대한 존중과 배려이다. 진료가이드라인에 의해 개개의 의사의 자율성이 제약되는 측면은 있을 수 있지만, 집단으로서의 의사의 자율성은 존중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처럼 진료가이드라인은 「법」의 논리에서 보면, 「의료」 집단의 자율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인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 Worker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n the Service Quality)

  • 신태휴;최영준;임동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297-307
    • /
    • 2016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인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향상과 서비스 질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전라남도 S, Y시 소재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190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은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t/F-검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인식변인 중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과 서비스 질의 감정이입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경력에 따라 서비스 질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인식은 서비스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보급, 요양보호사의 고용형태 및 임금 가이드라인의 설정, 요양보호사를 위한 윤리강령의 제도적 구축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일 도시 지역 근무지 형태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직무인식과 교육요구도 분석 (A Study on the Job Recogni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Care Work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Working Place in the Urban Area)

  • 박현주;변상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491-501
    • /
    • 2021
  • 본 연구는 근무지 형태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직무인식과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노인요양 서비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직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B 광역시의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주거복지시설, 재가복지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177명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2019년 4월부터 7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Win 21.0 Statistical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주거복지시설, 재가복지시설 요양보호사는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와 자세에 대한 직무인식정도가 가장 높았고, 교육요구도는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보호사는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와 자세, 노인주거복지시설 요양보호사는 요양보호 업무 기록 및 보고, 재가복지시설 요양보호사는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와 태도가 가장 높았다. 결과: 근무지별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차별화된 직무교육이 요구되며, 초급 요양보호사가 수행하는 직무와 숙련 요양보호사가 수행하는 직무를 구분하여 교육해야 될 것이다. 또한, 요양보호사 스스로가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는 전문성 향상과 요양보호서비스의 질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 이용자의 시설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A Study of Determinants on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using Home Care Services)

  • 한은정;강임옥;권진희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259-276
    • /
    • 2011
  •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노인도 적절한 재가서비스를 받으면서 가능한 오래 가정에 머물 수 있다면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시행한 후, 재가서비스 이용자가 시설서비스로 전환하여 입소하는 것에 대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 종적 연구이다. 이 연구는 장기요양급여 이용자와 주수발자를 대상으로 한 '2009년 노인장기요양서비스 만족도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자는 총 1,230명으로, 이들은 시도별, 장기요양등급별, 의료보장형태별로 비례할당으로 추출된 것이다. 종속변수는 연구대상자가 재가서비스를 이용하다가 시설로 입소하는 데까지 걸린 시간이고, 이것은 노인장기요양급여DB를 연계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hazard ratio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다른 변수들을 보정한 후에도 이용자가 골절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시설에 입소할 확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저하된 인지기능의 항목수가 많을수록 시설에 입소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요인들을 감안하여 향후에는 이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재가서비스 이용체계를 구축하고 보완하는 정책개발이 필요하다.

연구 및 진료에서의 이해상충 (Conflicts of Interest in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신지훈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771-775
    • /
    • 2022
  • 최근 의사들이나 연구자들은 진료나 연구에서 독자적으로 수행하기보다는, 회사, 연구기관, 보건의료기관, 및 학술 저널의 관련인들과 관계를 맺게 된다, 혹은 그들이 관련 회사에서의 자문 및 주주 참여 등과 같은 다중적 이해관계(multiple interests)를 가지기도 한다. 그러한 이해관계가 연구자의 의사결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 이해상충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해상충은 연구 진실성을 침해하여 피험자나 환자를 위험에 빠뜨리기도 하고 공공에 대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고 과학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악화시킬 수도 있기에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 종설에서는 이해상충의 개념과 구체적인 사례 및 이에 대한 해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리인의 사전의료지시서와 기독교 생명윤리 (Deciding for Other as Christian Bioethics)

  • 오승훈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7권2호
    • /
    • pp.26-41
    • /
    • 2007
  • There are three things that are not known to the human being. That is when, where and how one will die. Most people live ignoring death. However, elements of death linger everywhere. The purpose of this treatise is investigates about justification Deciding for Other directions. First, I will investigate about Deciding for Other directions, when patient can not decide own, I will do investigate agent's decision's problem. Second, These four principles provide the common ground for biomedical ethics. Principlism argue that a method using four principles can resolve controversies in bioethics. The method holds that there are four principles-respect for autonomy, nonamleficence, beneficence, justice- that articulate the necessary conditions of common morality for health care and bioethics. Beauchamp and Childress respond by arguing that the two problems are nc the meaning or interpretation but the process of specification. Third, So, Supplement four principles' problem to Levinas concept of the Other theory. Levinas concept of the Other is very resemblant with 'Love your neighbour as yourself." Christians believe that Love is above all and they act accordingly. They base this faith mainly upon the motto of "love your neighbour as yourself." Fourth. difficult part of Levinas concept of the Other is that there is no human to equal infinite sense of responsibility. Can be supplemented about this through cooperation of community. Four principles can be brought to bear on moral choices. And they asserts that each principles has weigh but they do not assign a priority weighting of ranking. All the principles are equal in moral decision making.

  • PDF

Epidemiology and Preventive Medicine in Times of New Technologies

  • Jenicek Milos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예방의학회 1996년도 제48차 추계 학술대회 연제집
    • /
    • pp.3-26
    • /
    • 1996
  • Epidemiology and preventive medicine are changing together with Population and health and with ever expanding medical and non medical technologies. New technologies make epidemiology methodologically more sophisticated, but such advances risk overshadowing epidemiology's most important role: raising questions, providing answers, and helping the medical decision-making at ail levels of prevention. Epidemiology also plays a major role in the evaluation of new and other technologies whose effectiveness is poorly known. Epidemiological approaches, methods, techniques, and interpretations are widely used in new and rapidly expanding fields of medicine: research evaluation and synthesis (meta-analysis),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clinical preventive practices, new medical technology assessment, guidelines for national and international health policies, evidence-based medicine, outcomes research and disease management ('population-based' medicine and quality of care improvement). In the nearest future, infectious and noninfectious diseases may cease to be almost the sole subjects of epidemiology and they may share their place with other mass phenomena of the next millennium, such as medical practices and care, or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actions and their consequences. Not only will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Prevention will remain in the epidemiological mainstream, but health protection and health promotion will require perhaps a redefinition of epidemiology in these domains. Epidemiology and preventive medicine are both subjects of medical ethics and dilemma for right choi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