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ical Perception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3초

초중등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기술 윤리교육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garding Ethics Education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 최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76-593
    • /
    • 2010
  • 본 연구는 예비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기술 윤리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의 과학기술 윤리 인식 및 초중등 교육현장에서의 윤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5개 지역에 위치한 6개 교육대학 및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과학교사 5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1) 과학기술 윤리교육에 대한 수강 경험, 2) 과학기술 윤리에 대한 인식, 3) 초중등과학기술 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의 3개 영역, 총 35문항(Likert 5점 척도, 선택형, 서술형)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전체 응답의 37.4%는 과학기술 관련 정보를 방송매체를 통해 얻는다고 하였으며, 학교를 통해 얻는 비율은 이보다 낮은 23.5%로 나타났다. 대학에서 개설된 과학기술 윤리 관련 강좌를 수강한 비율도 전체의 8.4%에 불과하여 예비과학교사 대상의 과학기술 윤리교육의 부재가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기술 윤리에 대한 자신감도 평균 이하(Mean=2.73)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이들의 과학기술 윤리 인식은 모든 항목에 대해 평균 이상(최소값=3.34, 최대값=4.58)로 전반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학기술 윤리 인식은 중등 예비과학 교사에 비해 초등 예비교사가 더 높았다(p<.05). 초중등 과학기술 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은 모든 항목에 대해 초중등 예비과학교사 모두 평균 4.0 이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기술 윤리교육이 실시되어야 하는 교과목은 과학이 62.4%로 가장 높았으며, 도덕 윤리(29.1%)가 다음으로 높았다. 과학기술 윤리 교육에 효과적인 수업의 형태로는 사례제시(43.5%), 토론 중심의 수업(41.4%)을 선택하였다. 서술형 응답에서도 많은 예비과학교사들이 과학기술 윤리교육이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사례에 대한 토론 중심의 수업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광고윤리의식과 소비주의촉진인식 관계성 비교: 한중소비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Study compares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 of advertising ethics and promote consumerism: Focus on the cogni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consumer)

  • 유승엽;김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85-93
    • /
    • 2013
  • 본 연구는 논쟁적인 광고 표현들에 대한 한중 소비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즉, 문제가 되는 광고유형들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어떠한 윤리적 평가를 하고 있는가를 알아보았으며, 또한 한중 소비자들의 광고윤리지각 평가에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한중 소비자들이 광고 유형에 대한 평가에서 소비주의촉진 인식과 관련성이 있는가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광고의 부정적 역할 측면에서 중국소비자의 긍정인식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 긍정적 역할 인식에서 한국소비자들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광고에 대해 한국소비자가 중국소비자에 비해 긍정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적소구 광고에 대해 중국의 소비자들이 한국소비자들에 비해 매우 관대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담배광고에 대해 한국과 중국소비자 모두 담배광고에 대해 부정적인 윤리지각을 보였다. 다섯째, 불쾌한 광고에 대해 인종차별과 같은 광고게재 행위에 대해 양국 소비자 모두 매우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으며, 에이즈 확산을 위해 콘돔광고 허용에 대해 양국 소비자 모두 긍정응답을 나타내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중국에 진출하고 있는 한국기업의 경영자 및 광고대행사의 광고실무자에게 효과적인 메시지 수용전략을 세우는데 활용가능 할 것이다.

보험범죄특별조사팀(SIU)의 근무환경과 보험범죄에 대한 일반적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factors, Perception of Insurance Crime and Job Satisfaction among Special Investigation Unit(SIU))

  • 윤명성;이완희;이승애
    • 시큐리티연구
    • /
    • 제32호
    • /
    • pp.151-176
    • /
    • 2012
  • 현재 보험범죄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나 정부차원에서 보험범죄를 적발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전문조직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보험범죄로 인한 피해는 인명과 국민경제 측면에서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보험범죄는 보험회사의 경영수지를 악화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보험금의 부정유출로 인해 보험사의 손해율을 악화시킴으로써 보험사 부실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결국 보험사의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져 결국, 보험가입자의 보험료 인상이라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1996년부터 보험회사들은 보상조직 내에 보험사기를 전문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보험범죄특별조사팀(Special Investigation Unit, SIU)을 구성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현재의 SIU는 보험범죄의 예방을 위한 다양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에는 아직 그 인력과 재원이 부족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갈수록 심각한 사회문제로 주목받고 있는 보험범죄를 실제 현장에서 담당하고 있는 SIU 구성원을 대상으로 현재의 근무환경과 보험범죄에 대한 일반적 인식이 그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장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현재 SIU 구성원들의 보험범죄 인식 및 근무 환경을 분석하고, 직무만족 향상을 통하여 구축할 수 있는 효과적인 보험범죄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 PDF

소비자인지도화령수상사회책임(消费者认知度和零售商社会责任): 종미국시각출발적도덕구매행위적탐색성연구(从美国视角出发的道德购买行为的探索性研究) (Consumer Awareness and Evaluation of Retailers' Social Responsibility: An Exploratory Approach into Ethical Purchase Behavior from a U.S Perspective)

  • Lee, Min-Young;Jackson, Vanessa P.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49-58
    • /
    • 2010
  • 企业社会责任已经成为学者们进行研究的一个重要课题. 多数认为企业社会责任对企业去定义他们在社会中的责任是必要的, 并且为他们的商业活动提供社会和道德标准. 其结果是, 相当数量的零售商已经采用企业社会责任为一个战略工具来宣传他们的商业活动. 为此, 本研究企图探索美国消费者在他们对零售商主观的感知和评估的基础上在道德购买和消费中的态度和行为. 本文的目的包括: 1)测定参与者对零售商企业社会责任的认知度. 2)评定参与者如何评估零售商企业社会责任. 3)测定参与者对零售商企业社会责任的评估过程是否影响他们对零售商的态度. 4)评定参与者对零售商企业社会责任的态度是否影响他们的购买行为. 本文并没有关注实际的零售商企业社会责任表现. 因为消费者的决定过程是基于个体的评定而不是实际的事实. 本研究调查了美国大学生对零售商企业社会责任的认知和评估. 本研究的参与者是56名来自美国东南大学的大学生. 他们的年龄在18岁到26岁之间. 使用开放性译码和选择性译码进行内容分析. 我们收集和分析了超过100张单倍行距的答复. 使用两步骤的译码(即开放性译码和选择性译码. 译码结果和分析笔记用来理解参与者对企业社会责任的认知和从书写的回复中提炼出来包括直接引用的答案所支持的伦理购买行为. 为保护参与者隐私, 这里使用的都是化名. 参与者被要求写下有关零售商, 他们对企业社会责任问题的认识和评估一个零售商的企业社会责任表现. 大部分应答者(n=28)表明他们对企业社会责任有一定的认识但是不觉得需要按这个要求去做. 少数应答者(n=8)表明他们对企业社会责任有一定的认识但是基本不关心. 结果表明当大学生评估零售商的几页社会责任表现时, 他们使用企业社会责任的三个纬度: 员工支持, 社区支持和环境支持. 我们发现如何对待和支持员工是一个评估零售商的企业社会责任的重要准则. 应答者表明作为一个员工和零售商有好的经历会使他们对此零售商有积极的感知和态度. 和员工支持相关的有四个主题: 根据员工表现的奖励和惩罚, 工作环境, 员工教育和训练课程, 以及员工和员工家人折扣. 良好的赏罚机制被认为是一个重要的属性. 和工作环境相关的因素包括: 零售商如何良好的遵守与工作时间相关的规则, 午餐时间和休息同样被认为是重要的属性之一. 有关社区支持, 有三个方面: 对当地社区销售比率的贡献, 对慈善组织的财政贡献和对社区大型活动的支持. 在环境方面, 有两个主题: 循环利用和销售有机或绿色产品. 在回复中有提到, 零售商正在尝试去做对环境友好所能做的. 一位应答者提到这个公司正在创造有环保设计的店铺. 并且能在这家公司的网站上轻松的找到为帮助环境所做的事情的信息. 应答者还注意到这些店铺可提供有机和亲环境产品. 应答者在此类中还提到关于这个公司如何使用环保的杯子和他们如何帮助新奥尔良的居民重建家园. 应答者注意到零售商为购买产品的消费者提供可再使用的袋子. 一位应答者说一家零售商通过提供有机棉来使他们的产品帮助环境. 在分析应答者之后, 我们发现参与者对零售商的企业社会责任的评估影响他们对零售商的态度. 然而, 在态度和购买行为之间有显著的差异. 尽管参与者对零售商的企业社会责任有积极的态度, 但资金和时间的缺乏也影响他们的购买行为. 总体来看, 一半的应答者(n=28)提到在购物时企业社会责任表现影响他们的购买决定. 本研究的结果为零售商针对消费者提高他们的形象而考虑企业社会责任提供了支持. 本研究暗示出消费者根据员工, 社区和环境三方面的支持来评估零售商. 评估, 态度和购买行为似乎是密切相关的. 也就是说, 评估是基于消费者对零售商企业社会责任的认识. 这些认识可以影响他们对零售商的态度从而进一步影响他们的购买行为. 参与者同时表明企业社会责任会使他们对零售商印象良好但是并不会影响他们的购买行为. 在参与者中, 价格和便利似乎超越了企业社会责任的重要性. 本文还讨论了此研究的启示, 对未来研究的建议和研究的局限.

공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orporate Evaluation of the Public Sector)

  • 강영선;류준열;서유미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55-170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whether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the public sector affect on its corporate evaluation in their perspective of consumers.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are being encouraged to conduct the CSR activities in the four dimensions of economic, legal, ethical,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While many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corporate's business performance, these studies focus on the private companies, not the public sector. In this paper, we offer a consumer-side study about the effect of CSR on the corporate evaluation on the public s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fit of CSR activity, perceived engagement, and perceived authenticity on the consumer's corporate evaluation of the public sector. We conducted two quasi-experiments involving 223 respondents using the actual CSR cases of two Korean public sectors. As a result, consumer's perception of engagement and authenticity about the CSR of public sector affects the corporate evaluation in a positive way. The 3-way interaction effect among fit of CSR activity, perceived engagement, and perceived authenticity was significant in corporate evaluation. To achieve successful CSR of the public sector, the public organizations need to increase the communication with their consumers and to implement the strategic CSR activities which can improve the consumer's perception of authenticity about CSR.

소비자의 부적절한 불평행동에 대한 소비자와 사업자의 인식 차이 연구 : 개인적 요인, 사회적 요인 (Difference between Consumers' and Front-line Workers' Perceptions on Consumer Complaint Behavior with Hateful Intentions: Based on the Personal and Social Factor)

  • 김혜진;이승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1호
    • /
    • pp.15-32
    • /
    • 2018
  • This study analyzes difference in consumers' and front-line workers' perceptions on 'consumer complaint behavior with hateful intentions' though the Co-orientation Model in three dimensions. In addition, we seek to contribute to reducing the conflict between consumers and front-line workers in the service contact point by finding factors that affec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wo parties. This study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aking a look at the mutual orientation between consumers and front-line workers, mutual perceptions have been found to match in agreement but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agreement (congruence), which indicates that the internal perceptions of both consumers and front-line workers do not match. The findings confirm that consumers and front-line workers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consumer complaint behavior with hateful intentions and therefore raise a need for efforts and institutional devices for improvement. Second, the study has found that consumers' economic responsibility as part of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and front-line workers' perceptions on consumers' civic responsibility affect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roups and suggest a need for educating consumers about economic responsibility. Meanwhile, unlike consumers, front-line workers view consumers' complaint behavior with hateful intentions from an ethical point of view, raising a need for a transition of perspectives on complaint behavior with hateful intentions.

The effect of consumers' awareness of e-commerce firm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CSR) activitie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 Dong, Cui;Yoon, Sung-j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225-232
    • /
    • 2022
  • 본 연구는 합리적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중국 전자상거래 CSR 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기업-소비자 동일시, 기업의 신뢰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하였으며 최종 분석에는 총 240부 유휴설문지를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전자상거래 CSR의 네 가지 차원에서 자선적 책임을 제외하고, 경제적 책임, 윤리적 책임, 법적 책임 순으로 구매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기업 신뢰와 기업-소비자 동일시가 소비자의 CSR 인식과 구매의향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의 CSR 인식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현재의 이해를 높이는 데 유용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성취도 (Achievement of Nursing Program Outcome among Nursing Students)

  • 이외선;임정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1-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성취도를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G군과 C시 간호대학생 4학년 14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1년 11월 28일부터 12월 7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로 SPSS WIN 2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성취도는 5점 만점에 4.30점으로 나타났고, 법/윤리 이해 학습성과가 4.61점으로 가장 높고, 국제적 인지 학습성과가 3.8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과와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성과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졸업학년의 국제적 인지 학습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과목 및 교과외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한국 드라마에 등장하는 PPL에 대한 인식이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브랜드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업체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Korean and Chinese Customers' Perception about Product Placement inserted into Korean TV Dramas on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 Focusing on the Foodservice Industry -)

  • 장란군;황동희;전민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09-324
    • /
    • 2015
  • 최근 한국에서 방송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제품간접광고, 즉 Product Placement(PPL)는 영화 또는 TV 프로그램이 방영되는 중에 자연스럽게 노출됨으로 다른 종류의 광고에 비해 노출수준이 높다. 또한, PPL이 비용대비 높은 효과를 보임에 따라 외식업체들은 적극적으로 PPL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 속에 등장하는 외식업체 PPL에 대한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인식 차이를 파악하고, PPL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TV드라마를 통해 PPL 광고를 시청한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 중국인과 한국인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한달 동안 두 가지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조사 방법을 병행하여 양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소비자들의 경우 PPL에 대한 친숙도가 높고, 그 소비유도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있을 때 브랜드이미지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PPL의 부정적인 면을 잘 인식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브랜드이미지와 구매의도는 낮추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 PPL에 대해 긍정적이고 친숙할수록 브랜드이미지와 구매의도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PPL에 대한 부정적인 면을 인식하고 있더라도 브랜드이미지와 구매의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드라마 속 PPL에 대한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인식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PPL 활용 전략을 차별화하여야 할 것이다.

The Perceptions of Apparel Design and Merchandising Students on Creativity and Apparel Design Copyright

  • Salusso, Carol J.;Lee, Jaeil;Lee, Yoon-Jung;Kim Lin, Janet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16권1호
    • /
    • pp.1-1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students' perception of creativity and the copyright protection of apparel design. A survey with open-ended questions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a total of 100 fashion major students with specializations in apparel design and merchandising from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located in a northwestern state of the United States. A majority of respondents showed their awareness that copying apparel design is ethically wrong and counterfeiting is legally wrong. They were able to distinguish between copying and interpreting and were aware that incorporating limited elements from inspirations was ethically acceptable. However, many of the students look for design inspiration from secondary sources, such as existing designers' works which they observe over the Internet, magazines, fashion shows, and store shopping, which may pose them to the temptation to copy such ideas. Although fashion copyright protection law has yet to become enacted, a majority of respondents support passage of fashion copyright protection law. The results give support to the needs for addressing the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es and ethical decision-making jointly within apparel design and merchandising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