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er-polyol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2초

D상 유화물을 이용한 W/O 유화물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W/O Emulsion by D Phase Emulsification)

  • 김형진;정노희;윤영균;박관선;남기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5-32
    • /
    • 1998
  • The emulsion stability of W/O emulsion prepared by D phase emulsification during storage and handling is studied by using phase diagrams. The process of D phase emulsification begins with the formation of isotropic surfactant solution, followed by formation of oil-in-surfactant (O/D) gel emulsion by dispersion of octamethylcyclotetrasiloxane(OMCS) in the surfactant solution. Polyols were essential components for this purpose.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polyols, the solution behavior of nonionic surfactant/oil/water/polyol systems were investigated by the ternary phase diagrams of polyoxyethylene oleyl ether/OMCS/propylene glycol(PG) aqueous solutions. The addition of PG increased the solubility of oil in the isotropic surfactant phase. D phase emulsification method has been applied to a new type of cosmetics. By using this emulsification technique, O/W emulsion were formed without a need for adjust of HLB. Fine and stable W/O emulsions were prepared by D phase emulsion.

폴리올 농도를 변화시킨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유변학적 거동 (Rheological Behaviour of Surfactant Mixtures by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Polyols)

  • 조완구;김기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2-427
    • /
    • 2009
  •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lyols and NaCl on the rheological behaviours of surfactant mixtures. Sodium lauryl ether sulfate (SLES), cocamidopropyl betaine (CAPB), disodium cocoamphodiacetate (DSCA), cocamide DEA (CDEA) and lauroyl/myristoyl DEA (LMDE) were used as surfactants. The polyols added into the surfactant mixture were 1,3-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glycerin, sorbitol, dipropylene glycol, PEG 1500 and PEG 400. The addition of amphoteric surfactant to SLES aqueous solution lead to increase the height of foam and the viscosity of the system. The addition of nonionic surfactant, LMDE or CDEA to the SLES aqueous solution increased the viscosity and the effect of LMDE was better than that of CDEA. The effect of adding polyols and NaCl into the surfactant mixture aqueous solution lea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iscosity of the system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NaCl and the kinds of polyols.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salting in or salting out of surfactant of the systems.

Ester 및 Ether형 Polyurethane Ionomer의 Emulsion 블랜드 (Emulsion Blends of Polyurethane Ionomers from Ester and Ether Type Polyols)

  • 김상준;김병규
    • 공업화학
    • /
    • 제3권4호
    • /
    • pp.614-619
    • /
    • 1992
  • Soft segment가 각각 ester 및 ether형 polyol로된 2종의 polyurethane(PU) ionomer를 emulsion 블렌딩하여, 블렌드의 분산점도, 및 emulsion cast film의 접촉각, 기계적 특성을 조성의 함수로 측정하였다. 블렌드의 기계물성은 혼합법칙으로부터 심한 scattering이나, negative deviation을 보였으며, 이는 ester 및 ether형 polyol간의 상용성의 결여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았다. 접촉각 측정 결과로부터 유화입경이 작은 PPG PU 입자가 주로 도막표면층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음이온성 폴리우렌탄 분산체의 제조와 우레탄 물성에 대한 폴리올의 혼합 효과 (Preparation of Anionomeric Polyurethane Dispersions and Effects of Mixed Polyol on the Properties of Polyurethane)

  • 안재범;조항규;정창남;노시태
    • 공업화학
    • /
    • 제8권2호
    • /
    • pp.230-236
    • /
    • 1997
  • Isophorone diisocyante(IPDI), 각각 에스터와 에테르 타입의 폴리올인 poly[butyl/ethylene adipate] glycol(PBEAG), poly[oxytetramethylene] glycol(PTMG)과 잠재적 음이온기인 dimethylol propionic acid(DMPA)로부터 음이온성 폴리우레탄 분산체(PUD)를 제조하였다. 폴리올의 종류 및 조성이 PUD의 유화 입경과 건조 필름의 기계적, 열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토하였다. 혼합된 폴리올의 조성 변화 시, PTMG 함량이 증가할수록 PUD의 유화 입경은 점근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인장 강도는 완만한 감소를 나타내다가 증가하였다. 이는 두 폴리올간의 상용성이 적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 해석되며, 이러한 비상용성은 DSC분석을 통하여 유리전이온도(Tg) 측정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the Evaluation of Stability of Gel Structured Cosmetics

  • Park, Chan-Ik;Kim, Ki-Sun;Lee, Sung-Jun;Yoon, Myeong-Suk;Kang, Seh-Hoon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7-173
    • /
    • 1996
  • The stability of gel structured emulsion and the effect of polyols on it have been studied by rheological property and interfacial tension. In this paper, three types of gel structured emulsions were prepared by using three polyols respectively(glycerine for sample 1, 1.3 BG for sample 2, PG for sample 3). And both complex modulus($G^*$) and loss angle[$\delta$ = tan-1(G"/G')] of samples were investigated against oscillating shear stress and frequency($\omega$). The results show sample 1 is most highly consistent with oscillating shear stres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ccelerated tests concerning storage stability of gel structured emulsion. To correlate consistency of rheological property with storage stability, interfacial tension from which adsorption efficiency of surfactant(Octyldodecyl Ether) could be known was measured. Sample 1 showed the largest value of [$d{\gamma}/dIn_{Cconc. of surfactant}$] in Gibbs equation. In summary, the prediction of stability could be correctly made by the consistency of rheological property(G*,$\gamma$) of gel structured emulsion against oscillating shear stress and it could be supported by measuring interfacial tension. And polyol affected the value of [$d{\gamma}/dIn_{Cconc. of surfactant}$], consequently affected the stability.lity.

  • PDF

Polyurethane과 polyurethane dimethacrylate를 이용한 내충격성 PMMA수지의 합성과 그 물성 (Synthesis and Property of Modified PMMA Resin Using Polyurethane and Polyurethane Dimethacrylate)

  • 김동현;김주영;서경도
    • 공업화학
    • /
    • 제4권3호
    • /
    • pp.616-626
    • /
    • 1993
  • 유연성과 강인성이 우수하여 탄성체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폴리우레탄(PU)을 이용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의 물성향상을 검토하여 보았다. PU와 PMMA블렌드의 분자량과 폴리올의 종류가 블렌드의 물성과 상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분자량 또는 폴리올의 종류가 각기 다른 ether type과 ester type의 PU를 합성하여서, 이를 PMMA와 블렌드 하였다. 블렌드의 인장강도는 Instron을 이용하여서 측정하였고,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와 Differental Scanning Calorimetry(DSC)를 이용하여서 두 고분자의 상용성의 변화에 따른 형태학과 유리전이온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haze meter를 이용하여 투명성을 측정하였다. 그러나, PU와 PMMA 두 고분자의 본질적인 비상용성으로 인하여 블렌드를 통한 PMMA의 물성 개량은 큰 성과를 얻지 못하였다. 따라서 PU와 유사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양말단에 비닐기가 도입된 형태인 폴리우레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PUD)를 합성하여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하여 가교 공중합체를 합성하였으며, 이 가교 공중합체의 기계적 물성을 Instron, Izod type(Cantilever Beam)impact tester와 haze meter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PMMA 단독수지의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내충격성이 상당히 개선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폴리에테르-디올과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계의 우레탄 프리폴리머 합성에 따른 특성연구 (A Study on Properties of the Urethane Prepolymer Synthesis with Polyether-diol and Aromatic Diisocyanate System)

  • 이현주;김광
    • 공업화학
    • /
    • 제9권4호
    • /
    • pp.491-496
    • /
    • 1998
  •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선택과 조성은 폴리우레탄 접착제와 calking sealant의 프리폴리머 제조에 많은 영향을 주는데, 이러한 접착제 및 sealant 제조의 전단계로써 피착제 표면의 습기와 반응하여 경화되는 일액습기경화형 프리폴리머를 여러 가지 조성으로 제조하여 반응성, 구조적 차이 및 물성을 비교검토하였다. 프리폴리머의 제조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로서 TDI 및 MDI를 사용하고, 폴리올로서는 내가수분해성 및 저온 물성이 우수한 에테르계의 PTMG와 PPG를 사용하여 [NCO]/[OH] 몰비에 따른 변화를 검토한 결과, 각각의 프리폴리머는 큰 구조적 변화가 없이 적절한 분자량의 조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고, [NCO]/[OH]의 몰비에 따른 반응성을 비교한 결과 [NCO]/[OH]=1.78/1의 경우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종류에 따른 반응성 비교에서 이소시아네이트에 따른 영향보다 폴리올 종류에 따른 영향이 지배적임을 확인하였고, 각각의 프리폴리머로 제조한 조성물의 인장강도와 토오크 강도의 측정 결과 가장 적합한 경화촉진제의 양은 0.05~0.1%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강도의 측정결과 원료성분중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MDI보다 TDI 쪽이 우수하게 나타났고 폴리올에서는 PTMG가 PPG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 PDF

에폭시 복합수지의 내충격성을 향상을 위한 PPG 기반 우레탄 변성 에폭시 합성 및 특성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PG-based urethane-modified epoxy resin for enhancing impact resistance of epoxy composite resin)

  • 황치원;전재희;안도원;유영창;이원주
    • 접착 및 계면
    • /
    • 제23권2호
    • /
    • pp.44-52
    • /
    • 2022
  • 에폭시 수지는 높은 유리전이 온도 (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와 우수한 물성에도 불구하고 높은 가교밀도로 인해 순간적인 충격에 쉽게 파괴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PPG; poly(propylene glycol)) 구조 기반의 diamine 물질인 Jeffamine D 2000과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PC; propylene carbonate)의 개환중합으로 폴리올을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우레탄 변성 에폭시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우레탄 변성 에폭시의 특성은 FT-IR, 1H-NMR로 확인하였고 접착제로서 내충격성 향상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스페놀계 에폭시인 DGEBA (diglycidyl ether bisphenol A)와 경화제, 경화촉진제와 배합하여 우레탄 변성 에폭시 접착제를 만들고 전단강도, 인장강도, 충격강도 실험을 통해 우레탄 변성 에폭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DGEBA와 우레탄 변성 에폭시의 비율이 8:2 일 때, 접착제 내 수소결합에 의한 최적의 시너지 효과로 향상된 기계적 물성을 달성할 수 있었다.

화장품 원료 중 폴리올, 오일 농도에 따른 피부 보습과 피부 표면 거칠기의 변화 (How Skin Care Ingredient Concentrations Can Modulate the Effect of polyols and Oils on Skin Moisturization and Skin Surface Roughness)

  • 남개원;김승훈;김은주;김진한;채병근;이해광;문성준;강학희;장이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37-342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폴리올류와 오일류 등 스킨케어 원료의 농도 변화에 따라 인체 피부의 보습력과 피부 표면의 거칠기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폴리올류와 오일류는 스킨케어 제품을 만드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원료이다. 그러나, 폴리올류와 오일류가 어느 농도 범위에서 인체 피부에서 객관적 효능 및 관능적 효능의 평가를 할 수 있는지 아직 연구되어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비침습적 방법을 이용하여 화장품 회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여러 원료들을 이용하여 농도에 따른 효능을 비교 하고자 한다. 폴리올류는 글리세롤과 부틸렌 그리콜(BG)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오일류는 $Pursyn\;4^{(R)}$, CEH, $PTO^{(R)}$을 1: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제품은 모두 O/W 에멀젼 형태이며, $0{\sim}27%dml$ 폴리올류, $0{\sim}35%$의 오일류의 농도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자는 인체 하박 내측에 제품을 도포한 후, 피부 수분량과 각질층의 거칠기를 측정하였다 피부의 수분량은 피부 저기용량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피부 표면 거칠기는 피부 각질을 채취하여 SEM을 이용하여 촬영한 후 육아평가로 그 값을 나타내었다. 피부의 수분량은 폴리올류에 있어서 상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농도는 20%까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오일류에 있어서는 12%의 농도 범위까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상관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각각 0.629와 0.603을 나타내었다(p<0.01). 이에 반해 피부 표면 거칠기는 농도의존적으로 폴리올류와 강한 상관성을 갖고 오일류는 6%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가졌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표면 거칠기를 폴리올류와 오일류로 나타내었을 때, 2:5:1의 계수 비율로 연관성을 나타내었다(p<0.01). 향후 시험은 폴리올류와 오일류를 제외한 다른 원료들(계면활성제, 지질, 수용성보습물질 등)과 다른 비침습적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그 관계를 조사할 계획이다.

PVP(polyvinylpyrrolidone)가 리버스 오프셋용 은 나노 잉크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VP(polyvinylpyrrolidone) on the Ag Nano Ink Property for Reverse Offset Printing)

  • 한현숙;곽선우;김봉민;이택민;김상호;김인영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476-481
    • /
    • 2012
  • Among the various roll-to-roll printing technologies such as gravure, gravure-offset, and reverse offset printing, reverse offset printing has the advantage of fine patterning, with less than 5 ${\mu}m$ line width. However, it involves complex processes, consisting of 1) the coating process, 2) the off process, 3) the patterning process, and 4) the set process of the ink. Each process demands various ink properties, including viscosity, surface tension, stickiness, and adhesion with substrate or clich$\acute{e}$; these properties are critical factors for the printing quality of fine patterning. In this study, Ag nano ink was developed for reverse offset printing and the effect of polyvinylpyrrolidone(PVP), used as a capping agent of Ag nano particles, on the printing quality was investigated. Ag nano particles with a diameter of ~60 nm were synthesized using the conventional polyol synthesis process. Ethanol and ethylene glycol monopropyl ether(EGPE) were used together as the main solvent in order to control the drying and absorption of the solvents during the printing process. The rheological behavior, especially ink adhesion and stickiness, was controlled with washing processes that have an effect on the offset process and that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fine patterning. The electrical and thermal behavio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PVP in the Ag ink. Finally, an Ag mesh pattern with a line width of 10 ${\mu}m$ was printed using reverse offset printing; this printing showed an electrical resistivity of 36 ${\mu}{\Omega}{\cdot}cm$ after sintering at $200^{\cir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