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anol.

검색결과 9,343건 처리시간 0.03초

갈화와 갈근 열수추출물들이 에탄올 투여 흰쥐의 혈청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eraria flos and radix Water-extracts on levels of Several Serum Biomarkers in Ethanol-treated Rats)

  • 조수열;장주연;김명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2-96
    • /
    • 2001
  • 갈화와 갈근의 에탄올성 간손상 흰쥐의 혈액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에탄올을 투여한 흰쥐에게 갈화와 갈근을 수준별로 5주간 급여한 후 효과를 관찰하였다. 간손상 지표 효소인 혈청 AST, ALT, ALP와 ${\gamma}-GTP$ 활성은 에탄올 투여로 증가되었으나 칡추출물 급여로 감소 되였으며, ${\gamma}-GTP$의 경우 갈화추출물이 갈근추출물에 비하여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활성 감소효과가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청 혈당치와 간조직의 글리코겐 함량은 에탄올 투여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힘추출 물급여시 증가되었다. 힘의 부위에 따른 차이는 갈근추출물에 비해 갈화추출물이 함량 증가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알부민 함량은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였으며 칡추출물 급여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빌리루빈, 직접 빌리루빈, 간접 빌리루빈, 크레아 티닌과 요산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에탄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였으며 갈화와 갈근급여군에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갈화와 갈근추출물이 에탄올 투여로 인한 간조직 손상 지표효소의 활성을 감소시켜 에탄올성 간손상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옥수수 (Zea mays) 뿌리에서 에탄올에 의한 알데히드 산화효소의 활성 증가 (Promotion of Aldehyde Oxidase Activities by Ethanol in Maize (Zea mays) Roots)

  • 오영주;박웅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172-1175
    • /
    • 2007
  • 옥수수의 원뿌리(primary root)를 재료로 외부에서 처리한 에탄올이 알데히드 산화효소의 활성을 변화시키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에탄올의 촉진 효과는 처리된 에탄올의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알데히드 산화효소는 0.2-0.4% 에탄올 처리 구간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0.8-1.0% 에탄올 처리 구간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에탄올에 의하여 알데히드 산화효소의 활성이 증가하는 조건에서도 두 개의 알데히드 산화효소 유전자 AO1과 AO2 의 전사 수준에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에탄올 처리는 알데히드 산화효소의 단백질 함량을 현저히 증가시켰으며, 이는 에탄올이 알데히드 산화효소 활성을 증가시키는 조절작용이 번역(translation) 단계에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에탄올, 메탄올 그리고 이소프로판올을 처리한 실험 결과 에탄올에 의해서만 알데히드 산화효소의 활성 증가가 유도되었다. 에탄올은 식물체의 뿌리가 저산소 조건에서 에너지 확보를 위하여 발효를 진행하는 경우 자연적으로 식물체내 농도가 증가하는 물질이다. 따라서 에탄올 처리시에 알데히드 산화효소의 활성이 증가하는 현상은 알코올에 대한 일반적인 반응이 아니라 식물체의 뿌리가 생리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에탄올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나타내는 반응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체외수정과 단위발생된 돼지 난자의 체외발달 양상의 비교 (In Vitro Developments of Porcine Embryos Produced by In Vitro Fertilization and Parthenogenetic Activation)

  • 엄상준;김남형;김은영;김묘경;차수경;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4권1호
    • /
    • pp.43-49
    • /
    • 1997
  • 본 연구는 단위발생과 체외수정으로 생산된 돼지 난자의 발달양상과 inner cell mass(ICM) 그리고 trophectoderm (TE)의 세포배열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단위발생은 ethanol 단독처리(haploid) 혹은 ethanol과 cytochalasin B을 공동처리(diploid)하였던바, 단위발생란은 체외수정란에 비하여 배반포까지의 발달이 저조하였지만, 단위발생에 있어서 ethanol과 cytochalasin B을 공동처리한 군이 ethanol 단독처리한 군보다 배반포까지 발달이 촉진되었다. 또한 단위발생란의 경우 total 세포수와 ICM 수에 있어서 체외수정란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었지만, ethanol과 cytochalasin B을 공동처리한 단위발생란이 ethanol 처리된 단위발생란보다는 현저하게 높은 total 세포수와 ICM 수가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돼지의 착상전 배발달 양상과 ICM와 TE의 세포배열에 있어서 ploidy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 PDF

Effect of Hesperidin Supplementation on Lipid and Antioxidant Metabolism in Ethanol-fed Rats

  • Kim, Soon-Ja;Seo, Hyun-Ju;Kim, Hye-Jin;Cho, Yun-Young;Kwon, Eun-Young;Lee, Hyo-Sun;Choi, Myung-So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4호
    • /
    • pp.289-297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hesperidin supplementation with an ethanol diet on lipid and antioxidant metabolism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10), and were assigned to one of two dietary categories: $E_8$, ethanol diet (50 g/L) for 8 wks; $E_8H_4$, ethanol diet for the first 4 wks and hesperidin (0.02%, w/w) supplemented ethanol diet for the last 4 wks. The plasma and hepatic lipids, hepatic cholesterol regulating enzyme activity, hepatic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were determined. Supplementation with hesperidin for the last 4 wks during the 8 wks period of the ethanol die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DH activity. In conjunction with the chronic administration of ethanol, hesperidin supplementation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hepatic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e $E_8$ group. The hepatic HMG-CoA reductase and ACAT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esperidin-supplemented group. When comparing hepatic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SOD, GSH-Px, and G6PD activities and GSH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_8H_4$ group than in the E8 group. Plasma TBARS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rats fed ethanol with hesperidin compared to the rats fed only ethanol; however, the hepatic TBARS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Accordingly, the additional hesperidin supplement with an ethanol diet might be effective for improving the hepatic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defense system.

경제적 에탄올 생산을 위한 균주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Strain for Economical Ethanol Production)

  • 한효정;김성준
    • KSBB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267-272
    • /
    • 2006
  • 주정공장 근처 토양에서 분리한 에탄올 발효균주 KJ는 Saccharomyces italicus로 판명되었으며, glucose가 최적의 탄소원으로 확인되었다. 균주 KJ의 최적배양조건은 온도 $30^{\circ}C$, 초기 당 농도 10%, 초기 pH 5 근방, 혐기조건으로 판명되었다. 초기 탄소원이 동일한 조건에서 YM배지(glucose 10 g/L)와 SFW배지(RS 10 g/L)에서 에탄올 생산은 각각 5.34, 5.68 g/L로 나타나, KJ균주는 음식물쓰레기 당화액을 에탄올 발효배지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에탄올 생산배양에 SFW의 이용은 에탄올생산단가를 대폭 낮추게 하여 대체에너지인 에탄올의 대량생산기술의 경제성을 확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해수클로렐라 [Chlorella elliposidea C02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생리 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the seawater algae, Chlorella elliposidea C020)

  • 김현진;김인혜;이재화
    • KSBB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125-130
    • /
    • 2008
  • 해수클로렐라 (Chlorella elliposidea C02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항균 및 항곰팡이 활성, 항산화활성, tyrosinase inhibitory 활성 (미백효과)과 용혈활성을 실험하였다.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서 동결건조 후 95% 에탄올로 2시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수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및 항곰팡이에 대한 활성을 측정한 결과, B. subtilis PM125와 B. licheniformis, V. parahemolyticus와 E. tarda NUF251에서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곰팡이인 C. albicanse에 대하여서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인간의 적혈구로 용혈활성 실험한 결과, 아주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DPPH방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능력을 측정한 결과, 2 mg/mL에서 75% 라디칼 소거능력을 나타내었다. 해수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 $IC_{50}$는 10.87 mg/mL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해수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개발하여 고부가가치 제품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thanol이 Trichloroethylene 대사효소의 활성도와 유도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on the Activities and Inducibility of Trichloroethylene Metabolic Enzyme System in Rat Liver)

  • 김기웅;강성규;조영숙;이세휘;문영한;최병순;박상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1호
    • /
    • pp.141-152
    • /
    • 199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ethanol on the metabolism of trichloroethylene(TRI) in rats. TRI in corn oil at the dosage of 150, 300, 600 mg/kg was injected peritoneally once a day for two days to two groups. In one group ethanol(4 g/kg) was taken orally 30 minutes before TRI injection, and the other group ethanol was not. The results of experiments are as follows: 1. The contents of cytochrome P-450 and $b_5$ had inverse relationship with in-jected TRI amounts in both groups. 2. The activity of NADPH P-450 reductase was decreased slowly in TRI injected group related with TRI amount, but decreased drastically in the group pretreated with ethanol. 3. The activity of NADH $b_5$ reductase had relationship with injected nt amount , b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only in the groups of 300 and 600 mg/kg of TRI injected without relevance to ethanol when compared with the group that was not injected. 4. The activity of ADH was more decreased and ALDH activity was more increased in groups that TRI injected and ethanol was pretreated with ethanol groups than in group without any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anol may inhibit epoxide formulation, the first step of TRI metabolism, and change from TCE-OH to TCA also.

  • PDF

투과증발과 결합된 에탄올 발효 공정의 모델링 및 특성 (Modeling and Characteristics of Ethanol Fermentation Process Combined with Pervaporation)

  • 최은수;김진현;유영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1-458
    • /
    • 1992
  • 에탄올발효에서 에탄올은 세포의 성장 및 에탄올생합성에 저해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저해작용을 감소시켜주기 위하여 에탄올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투과증발법을 이용하였다. 실리콘폴리슬폰 복합막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는데, 이 막은 유입액의 에탄올 농도가 25g/l, 온도가 30'C, 막하부의 압력이 10mmHg일 때 에탄올의 선택도가 약 4 이었으며, 총 투과유속은 300g/m2h이었다. 에탄올 발효는 Saccharomyces cerevisiae를 Ca-alginate에 고정화시켜 유동층 생물반응기에 접종하여 수행하였고, 이 반응기를 투과증발장치와 연결한 혼합공정을 구성하였는데, 혼합공정의 경우 발효배지의 에탄올농도는 막을 연결하지 않았을 때보다 감소하여 저해작용을 감소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 PDF

수성이상계에서 K.fragilis의 에탄올 추출발효 특성에 관한 연구 (Extractive Ethano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fragilis in an Aqueous Two Phase System)

  • 김진한;허병기목영일
    • KSBB Journal
    • /
    • 제9권5호
    • /
    • pp.443-449
    • /
    • 1994
  • 여러 가지 조성의 PEG 20000jDx로 구성한 수성 이상계를 사용한 에탄올 추출발효실험을 통하여 K. fragilis에 의한 돼지감자 주스의 발효 특성을 초기 당농도 및 생성 알코올 농도의 함수로 규명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균체의 비증식속도 빛 에탄올 비생성속도는 PEG 및 Dx 농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비증식속도는 조성에 무관하게 초기 당농도 $80g/\ell$에서 최대치를 보였고, 에탄올 비생성속도는 $120g/\ell$최대치를 보였다. 생성 알코올 농도에 의한 저해 영향은 비증식속도에 대하여 지수함수형 을, 에탄올 비생성속도에 대하여 쌍곡선함수형을 나타냈다. Dx 농도가 2.5~5% 범위에셔 PEG 농도 가 낮을수록 에탄올 저해 영향은 감소하였다. 총괄 에탄올 생산성은 초기 당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았으 며 생산성이 최대치에 도랄하는 소요시간도 당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시간별 에탄올 생산 속도는 초기 당농도 $160g/\ell$ 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 였다. 총괄 에탄올 생산성은 대조실험에 비하여 수 성이상계 추출발효를 통하여 1.2배 이상 증가하였고 초기 당농도가 높을수록 이상계 추출발효가 더욱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thanol Induces Cell Death by Activating Caspase-3 in the Rat Cerebral Cortex

  • Han, Jae Yoon;Joo, Yeon;Kim, Yoon Sook;Lee, Young Ki;Kim, Hyun Joon;Cho, Gyeong Jae;Choi, Wan Sung;Kang, Sang Soo
    • Molecules and Cells
    • /
    • 제20권2호
    • /
    • pp.189-195
    • /
    • 2005
  • Ethanol has long been implicated in triggering apoptotic neurodegeneration. We examined the effects of ethanol on the rat brain during synaptogenesis when a spurt in brain growth occurs. This period corresponds to the first 2 postnatal weeks in rats and is very sensitive to ethanol exposure. Ethanol was administered subcutaneously to 7-day- postnatal rat pups by a dosing regimen of 3 g/kg at 0 h and again at 2 h. Blood ethanol levels peaked ($677{\pm}16.4mg/dl$) at 4 h after the first ethanol administration. The cerebral cortexes of the ethanol-treated group showed several typical symptoms of apoptosis such as chromosome condensation and disintegration of cell bodies. Activated caspase-3 positive cells were found in the cortex within 2 h of the first injection, and reached a peak at 12 h. In addition, TUNEL staining revealed DNA fragmentation in the same reg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cute ethanol administration causes neuronal cell death via a caspase-3-dependent pathway within 24 h, suggesting that activation of caspase-3 is a marker of the developmental neurotoxicity of ethan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