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anol-water Mixture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19초

알루미나에 담지된 플라티늄을 이용한 $NO_X$의 전환반응에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NO_X$ Conversion Reaction using Platinum supported on Alumina)

  • 안범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8-174
    • /
    • 2005
  • Aluminum tri-butoxide was mixed with the water/ethanol solution and then chloroplatinic acid was added to the solution. The solution was dried at $100^{\circ}C$ for 15hrs to remove the solvent and water then it was calcined at $500^{\circ}C$. The catalyst was activated with a gas mixture. During the activation,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from $150^{\circ}C$ to $500^{\circ}C$. The necessary amount of urea was dissolved in 50mL water and injected. Aqueous urea solution was then mixed with the feed gas stream. At low temperatures,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f urea decomposition are used as reductants in the reducton of $NO_X$. However at high temperatures the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are oxidized to NO and $NO_2$ by oxygen instead of being used in the reduction. The activity of the catalyst was dependent on urea concentration in the feed stream when there was not adequate water vapor in the feed. The maximum conversion was shifted from $250^{\circ}C$ to $150^{\circ}C$ when water concentration was increased from 2 to 17%. It seems that the maximum temperature shifts to lower temperatures because the hydrolysis rate of HNCO increases with water, resulting in higher amounts of $NH_3$.

에탄올의 첨가가 치과용 접착제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Addition on Efficacy of Dental Adhesive)

  • 민정범;김희중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2호
    • /
    • pp.161-17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과수분 상태에서 두단계 산부식 접착제를 적용할 때 부가적으로 에탄올을 첨가하였고 이러한 에탄올의 첨가가 접착제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접착제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잔존 휘발성분의 양을 측정하고 접착제의 상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전환율과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접착제 10 ${\mu}l$만을 사용한 1군, 증류수 3 ${\mu}l$에 접착제 10 ${\mu}l$를 적용한 2군, 그리고 여기에 부가적으로 100% 에탄올을 1 ${\mu}l$에서 6 ${\mu}l$까지 1 ${\mu}l$씩 단계적으로 추가한 6개의 실험군을 포함하여 총 8개의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서 10초, 30초, 60초 동안 공기건조하고 잔존 휘발성분의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각 실험군의 실험조건에 따라 미세인장 결합강도와 전환율을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값은 one-way ANOVA와 Tukey HSD test를 사용해 9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잔존 휘발성분의 양에 있어서 1군을 제외한 다른 모든 실험군들에서 공기건조 시간이 증가할수록 양이 감소하였고, 2군, 3군, 4군 보다 5군, 6군, 7군이 더 낮았다 (p < 0.05). 5군, 6군에서 공기건조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전환율이 증가하였다 (p < 0.05). 5군, 6군, 7군에서 공기건조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미세인장 결합강도가 증가하였다 (p < 0.05). 광학현미경 관찰에서 5군, 6군, 7군, 8군에서 공기건조 시간이 증가할수록 상분리가 소실되는 상이 관찰되었다. 이에 과수분 상태에서 두단계 산부식 접착제에 부가적으로 에탄올을 첨가하는 것은 수분을 제거하고 접착효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나노 실리카의 분무건조를 이용한 중공구 입자 제조와 실리카중공구의 열전달 특성 (Preparation of Hollow Silica by Spray Drying of Nano Silica Particles and Its Heat Transfer Property)

  • 윤찬기;임형미;차수진;김대성;이승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531-538
    • /
    • 2012
  • Hollow silica spheres were prepared by spray drying of precursor solution of colloidal silica. The precursor solution is composed of 10-20 nm colloidal silica dispersed in a water or ethanol-water mixture solvent with additives of tris hydroxymethyl aminomethane. The effect of pH and concentrations of the precursor and additives on the formation of hollow sphere particles was studied. The spray drying process parameters of the precursor feeding rate, inlet temperature, and gas flow rate are controlled to produce the hollow spherical silica. The mixed solvent of ethanol and water was preferred because it improved the hollowness of the spheres better than plain water did. It was possible to obtain hollow silica from high concentration of 14.3 wt% silica precursor with pH 3.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total solar reflectivity of the hollow silica sample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ose values of other commercial insulating fillers of glass beads and $TiO_2$ for applications of insulating paint, in which the glass beads are representative of the low thermal conductive fillers and the $TiO_2$ is representative of infrared reflective fillers. The thermal conductivity of hollow silica was comparable to that of the glass beads and the total solar reflectivity was higher than that of $TiO_2$.

콩기름 및 콩기름-물 에멀젼기질(基質)에서의 마이얄형(型) 갈색화반응생성물(褐色化反應生成物)과 일부(一部) 산화방지제(酸化防止劑)의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Extracts from a Maillard Browning Mixture and Some Antioxidants in Soybean Oil and Soybean Oil-Water Emulsion Systems)

  • 맹영선;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73-282
    • /
    • 1981
  • 콩기름기질(基質)과 에멀젼기질(基質)에서 반응(反應) 2 및 30시간(時間) 후(後)의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액(褐色化反應液)에서 얻은 에탄올 추출물(抽出物)(M-2와 M-30, 각각 10 ml과 BHA, BHT, TBHQ와 ascorbyl palmitate (각각 0,02%, w/w)의 산화방지효과(酸化防止效果)를 비교(比較)하고저 하였다. Control 및 각(各) 기질(氣質)은 $45.0{\pm}0.5^{\circ}C$에서 저장(貯藏)되었으며, 5일(日)마다 과산화물(過酸化物)값과 TBA값을 측정(測定)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주로 POV 측정결과(測定結果)에 의거한 무수기질(無水氣質)에서의 산화방지효과(酸化防止效果)의 순서(順序)는 As. palmitate, TBHQ >> M-30, M-2 > BHT, TBHQ ,BHA 였으며, 에멀전기질(基質)에서의 순서(順序)는 As. palmitate >> M-30, M-2 > BHT, TBHQ, BHA였었다. 한편,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褐色化反應) 추출물(抽出物)들은 무수기질(無水基質)에서 보다는 에멀전 기질(基質)에서 더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에멀전 기질(基質)에서는 그 효과(效果)는 phenol계(系) 산화방지제(酸化防止劑)인 BHT, TBHQ, BHA 보다 더 컸었다.

  • PDF

미선나무의 추출조건 확립 및 효능평가를 통한 기능성 탐색 (Screening of Functional Compound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for Optimize Extraction Condition and Efficacy Evaluation)

  • 조석철;김명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61-67
    • /
    • 2017
  • 미선나무 잎과 줄기 중 유효성분의 최적 추출조건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비율의 물과 에탄올 혼합물(0, 20, 40, 60, 80, 100% ethanol(v/v))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환류냉각, 초음파 및 침지법을 적용하여 추출을 진행하였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80% 에탄올로 2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하였을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미선나무 줄기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평가한 결과 침지 추출 시 71.3%로 가장 높았다. 미선나무 잎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용매별로 분획하여 측정한 결과 용매별로 다른 값을 나타내었으며 부탄올 층에서 10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미선나무의 잎과 줄기를 생리활성을 보유한 천연물 소재로써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델모사를 이용한 막모듈 연결 및 배열이 투과증발 막성능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Membrane Module Configuration on Pervaporative Performance through Model Simulation)

  • 염충균;윤석복;박유인
    • 멤브레인
    • /
    • 제18권4호
    • /
    • pp.294-305
    • /
    • 2008
  • 본 연구는 공정모사를 통해서 막모듈 배열 및 연결과 막모듈 내에서 공급 잔류액의 온도 변화가 투과증발 공정에 끼치는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위해서 기본 막모듈이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모듈들의 조합을 통한 투과탈수공정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식들을 확립하였다. 에탄올/물 혼합물을 모델 혼합물로 사용하였고 모델식들에 포함되어 있는 투과 파라메타들을 직접 실험에 의해 구하여 사용함으로써 모사의 현실성을 높였다. 모사를 통해서 모듈의 배열방식, 모듈 단의 갯수와 단사이의 공급액의 재가열등의 중요성을 검토하였다.

분리막 두께 조절에 의한 모데나이트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투과증발 물 투과유속 증진 연구 (Improvement of Pervaporative Water Flux of Mordenite Zeolite Membrane by Controlling Membrane Thickness)

  • 윤병진;김영무;이두형;조철희
    • 멤브레인
    • /
    • 제29권5호
    • /
    • pp.263-27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종결정 크기, 종결정 코팅양, 수열 용액 숙성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분리층 두께가 제어된 모데나이트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제조하고, 분리층 두께가 투과증발 물 투과유속에 미치는 영향을 90 wt.% 에탄올 수용액에서 고찰하였다. 유성 밀을 이용해 종결정을 분쇄시켜 20~30 nm 크기의 종결정을 제조하였고, 진공여과코팅 중에 종결정 용액의 농도와 통과된 양을 바꿔주면서 코팅양을 조절하였다. 제조된 분리막은 분리층 두께가 얇을수록 더 높은 물 투과유속을 나타내었으며, 약 $4{\mu}m$ 두께를 갖는 분리막의 경우, 760의 높은 물/에탄올 선택도와 $1.0kg/m^2h$의 높은 물 투과유속을 나타내었다. 이는 나노크기 종결정을 사용하여 $4{\mu}m$ 두께로 분리층을 얇게 만들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로부터 종결정의 크기와 진공여과 코팅양, 수열 용액 숙성시간을 조절하는 것은 분리 층의 두께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방법임을 알았다. 또한, 모데나이트 제올라이트 분리층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분리막의 물 투과유속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Synthesis, Molecular and Microstructural Study of Poly-N-Vinylpyrrolidone Oximo-L-Valyl-Siliconate with IR, 1H-NMR and SEM

  • Singh, Man;Padmaja, G. Van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7호
    • /
    • pp.1869-1874
    • /
    • 2010
  • By reducing PVP with $H_2NOH$.HCl and NaOH 2:2:1 mass ratios in aqueous ethanol, poly-N-vinyl pyrrolidone oxime [PVPO] was prepared with 92% yield. Applying the sol-gel concept, orthosilicic acid [OSA] was made by hydrolyzing TEOS with ethanol in 1:0.5 molar ratios using 1 N KOH aqueous solution as a catalyst. The OSA + PVPO + $_L$-Valine ($\alpha$-amino acid) were mixed with pure ethanolic medium in 1:2:2 mass ratios and refluxed at $78^{\circ}C$ and 6 pH for 6.5 h. A white residue of poly-N-vinyl pyrrolidone oximo-L-valyl-siliconate [POVS] appeared after 5 h. The heating of reaction mixture was stopped and the contents were brought to NTP. The residue formation of POVS was intensified with lowering a temperature and completely solidified within 5 h, was filtered using a vacuum pump with Whatmann filter paper no. 42. The residue of POVS was washed several times with 20% aqueous cold ethanolic solution and dried in vacuum chamber at $25^{\circ}C$ for 24 h. The MP was noted above $350^{\circ}C$. Structural and internal morphology were analyzed with IR and $^1H$-NMR, and SEM respectively. A drug loading and transporting ability of the POVS in water and at pH = 5 and 8 was determined chromatographically.

피리도스티그민 정제의 함량 측정을 위한 HPLC 분석법 (Quantitative Analysis of Pyridostigmine Bromide in Tablets by HPLC)

  • 피택산;조영;석대은;차승희;정윤수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1권3호
    • /
    • pp.171-177
    • /
    • 1991
  • A reverse-phase, ion-pair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HPLC) method for the simultaneous quantative determination of pyridostigmine and its hydrolytic product, 3-hydroxy-N-methylpyridinium (HMP), is descrihed, The assay of pyridostigmine and HMP was linear in the range of amount from 24 to 60 mg/tablet and from 2.4 to 12.0 mg/tablet, respectively, with coefficient of variation (C.V.) of 0.05-0.12% (n=7) and 0.25-0.52% (n=5), respectively, and applicable conveniently even in the case of the mixture of pyridostigmine and HMP. Meanwhile, the conventional UV method gave inaccurate results for the aged pyridostigmine tablets. In the extraction of pyridostigmine from tablets prior to be assayed by HPLC, methanol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ethanol or distilled water. Multiple extraction (four times) with methanol resulted in the full recovery of pyridostigmine, whereas ethanol gave 95% recovery even after four times extr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method would be very useful for the accurate determination of pyridostigmine in the aged pyridostigmine tablets.

  • PDF

Benzyl Chloride의 Chlorine 交換反應 (Kinetic Studies of Chlorine Exchange between Benzyl Chloride and Radioactive Chloride Ion)

  • 박용자;이익춘
    • 대한화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3-28
    • /
    • 1965
  • 90% ethanol solution에서 benzyl chloride와 radioactive chloride($^{36}Cl^-$)와의 exchange를 反應速度論的으로 硏究하였으며 그 結果로 交換反應은 typical bimolecular reaction임을 알았고 그 activation parameter들은 각기 다음과 같았다. ${\Delta}H^{\neq}$= 18.50 Kcal ${\Delta}S^{\neq}$= -22.09 e.u. 특히 本實驗 缺課와 다른 實驗結果를 綜合討論함으로써 反應速度는 attacking anion의 nuclephilic ability에 크게 관계 됨을 입증할 수 있었으며 또한 exchange reaction에 있어서 halide들의 reactivity의 순서는 bond dissociation energy의 差로써 보다는 오히려 Swain의 nucleophilic parameter(n)로써 설명함이 더욱 타당함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