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anol Decomposition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4초

견 피브로인 분말과 필름의 제조 및 구조 분석 (Prepar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Silk Fibroin Powder and Film)

  • 최해경;남중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2-153
    • /
    • 1995
  • 특이한 분자 구조를 가진 생체 고분자로서 유용한 견 피브로인은 다양하게 성형 가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견 피브로인 수용액을 필요로 한다. 견 피브로인의 용해 조건이 형성되는 견 피브로인의 분말과 필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종성염과 산가수분해법으로 견 피브로인을 용해시킨 수용액으로부터 견 피브로인 분말과 필름을 제조하고 이들의 특성을 아미노산 조정 분석, SEM, DSC, IR, X-ray Diffraction 등의 방법을 통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염화칼슘법과 염산법에 의해 피브로이을 용해시켰을 때 처리에 따라 아미노산 조성은 달랐으며 분자량도 차이가 있었다. 2. 분말의 구조 분석 결과, 염화칼슘법에 의한 처리에서 열분해 온도는 대조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무정형의 분자 구조를 띄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염산 처리에 의한 잔유물은 대조보다 높은 온도에서 $\beta$구조에 의한 분해 거동을 보였으며 높은 결정화도를 나타냈다. 한편 염산에 용해된 부분은 열분해 분석 결과 a-helix에 의한 흡열 peak을 나타냈다. 3. 염화칼슘법에 의해 형성된 견 피브로인 필름은 모정형에 가까운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불용화 처리에 의해 결정성이 향상됨에 따라 피브로인 필름의 흡습율은 감소하였으며, 열분해 온도가 증가했다.

  • PDF

해조류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에탄올 생산기술 (Bioethanol Production from Macroalgal Biomass)

  • 라채훈;선우인영;김성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976-982
    • /
    • 2016
  • 해조류는 성장이 빠르고, 낮은 경작지 사용, 높은 이산화탄소 흡수 및 식량자원과 경쟁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리그닌이 없는 해조류 사용은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3세대 바이오매스로 주목받고 있다. 산 촉매 열가수분해 전처리법은 해조류로부터 높은 단당을 획득할 수 있는 경제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고온 전처리 조건들에서 3,6-anhydrogalactoe는 저해물질인 HMF로 전환되는데, 이 저해물질은 세포 성장과 에탄올 생산을 저해한다. 따라서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기 위해 해조류의 탄수화물을 분해할 때는 높은 단당 수율과 낮은 저해물질 생성을 하는 효과적인 전처리 방법이 필요하다. 혼합 당을 이용한 에탄올 발효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농도 당에 순치한 효모는 혼합 당의 사용을 통해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의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에탄올 용액에서 Dimethyl Oxalate에 의한 티탄산바륨의 균일한 제조 (Homogeneous Preparation of Barium Titanate by Dimethyl Oxalate in Ethanol Solution)

  • 류경열;임명희;허우영;이철
    • 분석과학
    • /
    • 제12권5호
    • /
    • pp.382-386
    • /
    • 1999
  • 구형의 BTO(barium titanyl oxalate) 입자들을 물과 에탄올의 염산성 혼합용액에서 DMO(dimethyl oxalate)의 열분해에 의해 침전시켰다. 혼합 용매의 조성, 염산의 농도 및 반응 온도와 같은 실험적인 변수가 120 min의 숙성 시간동안 용기 바닥에 쌓인 BTO 입자의 크기 및 조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비교적 적은 알코올의 함량, 비교적 높은 농도의 염산 및 비교적 높은 반응 온도 등의 실험조건에서 화학량론적인 BTO 분말이 합성되었다. 그와 반대의 실험 조건에서는 단일 크기이고 그 크기가 $1{\mu}m$ 이하이나 티탄이 여분으로 함유되는 분말이 얻어졌다.

  • PDF

효모(酵母)에 의(依)한 과실주(果實酒)의 감산(減酸) (Decomposition of Acid in Wine by Yeast)

  • 박윤중;손천배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176-181
    • /
    • 1980
  • 산미(酸味)가 과다(過多)한 과실주(果實酒)의 감산(減酸)에 이용(利用)하기 위한 시험(試驗)으로는 공시효모(供試酵母)의 균학적(菌學的) 성질(性質)을 검토(檢討)하고 사과주(酒) 양조(釀造)에 있어서의 공시효모(供試酵母)의 특성(特性)을 시험(試驗)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공시효모(供試酵母)는 Schizosaccharomyces pombe R-73로 동정(同定)되었다. 2. 공시효모(供試酵母)는 사과즙(汁) 중(中)에서의 아황산내성(亞黃酸耐性)이 포도주효모(酒酵母) 보다 강(强)하였다. 3. 사과즙(汁) 중(中)에서 배양(培養)하는 경우 $25^{\circ}C$에서는 공시효모(供試酵母)의 증식속도(增植速度)는 포도주효모(酒酵母)나 청주효모(淸酒酵母) 보다 빨랐다. 그러나 $15^{\circ}C$에서는 공시효모(供試酵母)의 증식속도(增植速度)가 대조균주(對照菌株) 보다 많이 느렸다. 4. 사과주양조(酒釀造)에 있어서 $25^{\circ}C$(고온(高溫))에서는 공시효모(供試酵母)의 Ethanol 생성력(生成力)이 강(强)하였고 감산효과(減酸效果)가 매우 컸다. 그러나 $15^{\circ}C$(저온(低溫))에서는 공시효모(供試酵母)의 Ethanol 생성력(生成力)이 떨어졌으며 감산효과(減酸效果)도 적었다.

  • PDF

탄소나노튜브 복합재의 수소저장특성 (Hydrogen Storage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 Composites)

  • 안중호;장민규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88-195
    • /
    • 2008
  • Carbon nanotube (CNT)/$Mg_2Ni$ composites were synthesized to enhance the hydrogen storage properties. The emphasis was made on the effect of different shortening methods of CNTs on the open-tip structure and the resulting properties. The use of open CNTs as a starting material resulted in an enhanced hydrogen properties of CNT/$Mg_2Ni$ composites. Among the employed methods for the shortening of CNTs, wet milling using ethanol was the most efficient, while ultrasonic acid treatment or thermal decomposition resulted in a less hydrogen storage capacity.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적합한 백합나무(Liriodendron tulipifera)의 oxalic acid 전처리 효과 탐색 (Effect of Oxalic Acid Pretreatment on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for Ethanol Production)

  • 김혜연;이재원;;곽기섭;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397-40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조림 수종인 백합나무를 바이오에탄올 생산용 자원으로 이용하고자 oxalic acid 전처리 방법을 도입하여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160^{\circ}C$에서 0.037 g/g oxalic acid로 20분 전처리하였을 때 $40.22g/{\ell}$의 발효가능한 당을 생산하였으며, 처리된 고형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동시당화발효를 수행한 결과 72시간 후 $8.6g/{\ell}$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다. 같은 조건에서 반응시간을 증가시켜 40분 처리하였을 때 $32.66g/{\ell}$의 발효가능한 당을 생산하였고 동시당화발효로 72시간 후 $9.5g/{\ell}$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다. 가수분해산물을 분석한 결과, 같은 조건에서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acetic acid, 5-HMF, furfural, total phenols와 같은 발효저해물질이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발효저해물질은 반응시간보다는 초기 oxalic acid 첨가량에 영향을 받았다. Acetic acid 생산량은 저농도(0.013 g/g)의 oxalic acid를 사용하였을 때 $3.39{\sim}5.78g/{\ell}$로 나타났으며 xylose 분해산물인 furfural은 glucose의 분해산물인 5-HMF보다 2~3배 많게 가수분해산물에 존재하였다. 리그닌 분해산물로 예측되는 total phenols는 모든 조건에서 $5g/{\ell}$ 이상이 검출되었다. 가수분해산물과 동시당화발효로부터 에탄올 생산량을 분석한 결과 0.037 g/g oxalic acid로 20분 전처리한 가수분해산물과 고형 바이오매스로부터 가장 높은 에탄올 생산을 예측할 수 있다.

헤테로폴리산 촉매의 산점 형성과 역할 (Formation and Role of Acid Sites of Heteropoly Acid Catalysts)

  • 송인규;이종국;송재천;이화영
    • 공업화학
    • /
    • 제5권3호
    • /
    • pp.431-437
    • /
    • 1994
  • 에탄을 전화반응 및 MTBE (methyl t-butyl ether)분해반응을 통하여 헤테로폴리산 촉매가 지니는 표면 및 내부 산점의 역할과 형성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12-텅스토인산에서 에탄올 탈수반응을 수행할 경우 디에틸에테르는 표면산점에서 생성되며 에틸렌은 촉매 내부산점에서 생성된다. 물은 산점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지만 유기염기의 경우 내부 산점을 약화시킨다. 금속염의 산점 형성은 결정수의 가수분해 혹은 금속의 부분적 치환에 따른 양성자에 기인하며 수소로 처리할 경우 산점이 재생되었다. 또한 산 특성 제어를 통하여 선택적 산화반응 촉매로서의 헤테로폴리산 설계가 가능하다.

  • PDF

미생물을 이용한 합성가스로부터 바이오 알코올 생산 최신 동향 (Recent advances on bio-alcohol production from syngas using microorganisms)

  • 우지은;장유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4호
    • /
    • pp.333-338
    • /
    • 2017
  • 최근 미생물을 이용하여 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에탄올, 부탄올, 2,3-부탄디올과 같은 바이오 알코올을 생산하고자 하는 관심이 매우 높아져 있다. 하지만,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전처리 과정에서 높은 비용이 발생함과 동시에 리그닌과 같은 이용하지 못하는 성분들이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하여 바이오매스를 합성가스로 전환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바이오 알코올을 생산하는 전략이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합성가스를 이용하는 미생물인 아세토젠(acetogen)을 소개하고, 이들의 중심대사회로인 우드-륭달 대사회로(Wood-Ljungdahl pathway)를 리뷰하였다. 또한, 최근 합성가스로부터 바이오 알코올을 생산하기 위한 대사공학 연구 전략을 리뷰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전망하였다.

Malo-Alcohol 발효(醱酵)에 관여(關與)하는 분열효모균(分裂酵母菌)이 생성(生成)하는 Malic Enzyme의 효소학적(酵素學的) 성질(性質) (Some Properties of Malic Enzyme From Malo-Alcoholic Yeast)

  • 정기택;유대식;김재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04-408
    • /
    • 1983
  • Malo-alcohol 발효(醱酵)에 관여하는 분열효모균(分裂酵母菌), Schizos-accharomyces japonicus var. japonicus St-3가 생성(生成)하는 malic enzyme(EC 1.1.1 40)의 몇가지 성질(性質)을 조사하였다. Malic enzyme의 생성(生成)은 배양(培養) 24시간(時間)에 최대(最大)에 이르렀고 효소반응(酵素反應)의 최적(最適) pH는 10.0, 온도(溫度)는 $25^{\circ}C$였다. 본(本) 효소(酵素)는 pH $7.0{\sim}8.4$에서 안정(安定)하였으며 $60^{\circ}C$, 10분간(分間) 열처리(熱처理)로 50% 실활(失活)되었다. $Mn^{2+}$ 첨가(添加)는 효소활성(酵素活性)을 촉진(促進)시켰으며 유기산(有機酸), 아마노산(酸) 및 ethanol의 첨가(添加)는 효소활성(酵素活性)에 아무런 영향(影響)이 없었다.

  • PDF

NH3-SCR용 나노분산 TiO2 담체상에 제조된 V2O5WO3/TiO2 촉매: TiO2 분산입도와 NOx 최대 분해온도와의 상관성 (V2O5WO3/TiO2 Catalyst Prepared on Nanodispersed TiO2 for NH3-SCR: Relationship between D ispersed Particle Size of TiO2 and Maximum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NOx)

  • 서민채;반세민;허재구;추용식;문경석;김대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496-507
    • /
    • 2022
  • For the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of NOx with ammonia (NH3-SCR), a V2O5WO3/TiO2 (VW/nTi) catalyst was prepared using V2O5 and WO3 on a nanodispersed TiO2 (nTi) support by simple impregnation process. The nTi support was dispersed for 0~3 hrs under controlled bead-milling in ethanol. The average particle size (D50) of nTi was reduced from 582 nm to 93 nm depending on the milling time. The NOx activity of these catalysts with maximum temperature shift was influenced by the dispersion of the TiO2. For the V0.5W2/nTi-0h catalyst, prepared with 582 nm nTi-0h before milling,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with over 94 % NOx conversion had a narrow temperature window, within the range of 365-391 ℃. Similarly, the V0.5W2/nTi-2h catalyst, prepared with 107 nm nTi-2h bead-milled for 2hrs, showed a broad temperature window in the range of 358~450 ℃. However, the V0.5W2/Ti catalyst (D50 = 2.4 ㎛, aqueous, without milling) was observed at 325-385 ℃. Our results could pave the way for the production of effective NOx decomposition catalysts with a higher temperature range. This approach is also better at facilitating the dispersion on the support material. NH3-TPD, H2-TPR, FT-IR, and XP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nTi in the DeNOx cataly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