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OAc soluble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19초

단풍취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저해 및 라디칼 소거 물질의 동정 (Characterization of Anti-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and Radical Scavenging Constituents from Ainsliaea acerifolia)

  • 정경한;김태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59-764
    • /
    • 2017
  • 당뇨합병증에 효과적인 천연물 유래의 신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여 단풍취 70% 에탄올 추출물의 EtOAc 가용부로부터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능($IC_{50}=5.5{\pm}1.1{\mu}g/mL$)을 확인하였다.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의 동정을 위하여 $C_{18}$겔 등을 활용한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4종의 dicaffeoylquinic acid 유도체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스펙트럼 데이터 해석 및 표품과의 HPLC 직접 비교를 통하여 methyl 3,5-di-O-caffeoyl-epi-quinate(1), 3,5-di-O-caffeoyl-epi-quinic acid(2), 4,5-di-O-caffeoyl-quinic acid(3) 및 methyl 4,5-di-O-caffeoyl-quinate(4)로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에 대해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능을 평가한 결과 4,5-di-O-caffeoyl-quinic acid(3)가 가장 강한 $0.4{\pm}0.1{\mu}M$$IC_{50}$ 값을 나타내었으며, 3,5-di-O-caffeoyl-epi-quinic acid(2)가 $0.6{\pm}0.1{\mu}M$$IC_{50}$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물질에 대해 $ABTS^+$ 소거 활성을 평가하여 4,5-di-O-caffeoyl-quinic acid(3)가 가장 강한 라디칼 소거 활성인 $14.6{\pm}0.4{\mu}M$$IC_{50}$ 값을 나타내었으며, 구조 이성질체인 3,5-di-O-caffeoyl-epi-quinic acid(2)가 $18.8{\pm}0.4{\mu}M$$IC_{50}$ 값을 확인하였다. 단풍취에서 분리한 화합물의 활성은 caffeic acid의 결합방식 및 methyl화 여부에 따른 화합물의 구조에 따라 다름이 시사되었다. 향후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 이들 화합물의 in vivo 실험을 통한 활성기작의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식의약 소재로 활용이 가능한 새로운 천연신소재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제공 및 당뇨합병증에 효과적인 천연 물질의 상업화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GC-MS에 의한 대파의 항산화 물질 동정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Allium fistulosum L. by GC-MS)

  • 서지우;조정용;국주희;위지향;문제학;김성호;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88-993
    • /
    • 2003
  • 대파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을 구명하고자 대파를 3가지 다른 방법으로 추출하여 대파 착즙액, 열수추출물, MeOH 추출물을 얻었다. 이들 추출물을 각각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EtOAc 가용 산성획분을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얻어진 활성획분을 GC-MS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파 착즙액과 열수추출물에서는 succinic acid ,fumaric acid, 4-hydroxybenzoic acid, 4-hydroxy-3-methoxy-benzoic acid, 4-hydroxycinnamic acid 그리고 4-hydroxy-3-methoxycinnamic acid의 6종 화합물이 동정되었으며, MeOH 추출물로부터는 4-hydroxybenzoic acid, 4-hydroxy-3-methoxy-benzoic acid, 4-hydroxycinnamic acid, 4-hydroxy-3-methoxy-cinnamic acid의 4종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이들 화합물을 대상으로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을 검정한 결과, 4-hydroxy-3-methoxycinnamic acid가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각각의 대파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의 함량을 GC에 의해 정량분석한 결과, 대파 착즙액과 열수추출물 및 MeOH 추출물 모두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4-hydroxy-3-methoxycinnam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Compounds Obtained from Sida acuta with the Potential to Induce Quinone Reductase and to Inhibit 7,12-Dimethylbenz-[a]anthracene-Induced Preneoplastic Lesions in a Mouse Mammary Organ Culture Model

  • Jang, Dae-Sik;Park, Eun-Jung;Kang, Young-Hwa;Su, Bao-Ning;Hawthorne, Michael-E.;Vigo, Jose-Schunke;Graham, James-G.;Cabieses, Fernando;Fong, Harry H.S.;Mehta, Rajendra-G.;Pezzuto, John-M.;Kinghorn, A.-Douglas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8호
    • /
    • pp.585-590
    • /
    • 2003
  •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EtOAc-soluble extract of the whole plants of Sida acuta using a bioassay based on the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OR) in cultured Hepa 1c1c7 mouse hepatoma cells, led to the isolation of ten active compounds of previously known structure, quindolinone (1), cryptolepinone (2), 11-methoxyquindoline (3), N-trans-feruloyltyramine (4), vomifoliol (5), loliolide (6), 4-ketopinoresinol (7), scopoletin (8), evofolin-A (9), and evofolin-B (10), along with five inactive compounds of known structure, ferulic acid, sinapic acid, syringic acid, ($\pm$)-syringaresinol, and vanillic acid. These isolates were identified by physical and spectral data measurement. A new derivative of quindolinone, 5,10-dimethylquindolin-11-one (1a) was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spectroscopically. Of the active substances, compounds 1-3 and 1a exhibited the most potent QR activity, with observed CD (concentration required to double induction) values ranging from 0.01 to 0.12 $\mu$ g/mL. Six compounds were then evaluated in a mouse mammary organ culture assay, with cryptolepinone (2), N-trans-feruloyltyramine (4), and 5,10-dimethylquindolin-11-one (1a) found to exhibit 83.3, 75.0, and 66.7% inhibition of 7,12-dimethylbenz[a]anthracene-induced preneoplastic lesions, respectively, at a dose of 10 $\mu\textrm{g}$/mL.

작약 뿌리에서 분리한 폐포 선암 세포주 A549에 대한 세포독성 화합물 (Cytotoxic compounds against adenocarcinoma alveolar epithelial A549 cells from Paeoniae Radix)

  • 박지원;신상은;박해원;김정아;양은주;송경식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272-281
    • /
    • 2023
  • 작약 뿌리는 monoterpene glycoside계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 화합물은 항경련, 항염증, 항바이러스, 신경보호 및 진정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작약 뿌리의 dichloromethane (CH2Cl2) 및 ethyl acetate (EtOAc) 가용성 분획으로부터 세포독성 물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13종의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었으며, 이들의 세포독성 평가를 위해 사람 유래 폐암 선암 세포주인 A549에 처리하여 세포생존율 변화를 관찰하였다. A549에 대한 세포독성은 gallic acid (8) > (2S)-naringenin (9) > methyl gallate (10) > 6'-Obenzoylpaeoniflorin (7) > palmitic acid (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7은 normal cell인 MRC-5에 대한 독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7의 A549 및 MRC-5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는 이번이 처음이다. 향후 7에 대한 세포독성 메커니즘 및 선택성과 관련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