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iva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Regulation of type-1 protein phosphatase in a model of metabolic arrest

  • Ramnanan, Christopher J.;Storey, Kenneth B.
    • BMB Reports
    • /
    • 제42권12호
    • /
    • pp.817-822
    • /
    • 2009
  • Type-1 phosphatase (PP-1) was assessed in foot muscle (FM) and hepatopancreas (HP) of estivating (EST) Otala lactea. Snail PP-1 displayed several conserved traits, including sensitivity to inhibitors, substrate affinity, and reduction in size to a 39 kDa catalytic subunit (PP-1c). During EST, PP-1 activity in FM and HP crude extracts was reduced, though kinetics and protein levels of purified PP-1c isoforms were not altered. PP-1c protein levels increased and decreased in nuclear and glycogen-associated fractions, respectively, during EST. Gel filtration determined that a 257 kDa low $K_m$ PP-1$\alpha$ complex decreased during estivation whereas a 76 kDa high $K_m$ complex increased in EST. Western blotting confirmed that the 76 kDa protein consisted of PP-1$\alpha$ and nuclear inhibitor of PP-1 (NIPP-1). A suppression of PP-1 activity factors in the overall metabolic rate depression in estivating snails and the mechanism is mediated through altered cellular localization and interaction with binding partners.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 따른 알팔파바구미(Hypera postica)의 서식지 분포 변화 예측 (Prediction of Changes in Habitat Distribution of the Alfalfa Weevil (Hypera postica) Using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 김미정;이희조;반영규;이수동;김동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27-135
    • /
    • 2018
  • 기후변화는 곤충의 성장, 발육, 생존, 생식력, 분포범위 등 생활사의 변수들에 영향을 준다. 특히 외래곤충의 경우 생태계 정착 및 확산이 빨라지고 있으며, 생태계 교란, 토착종 감소 등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이다. 알팔파바구미는 1990년대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 후 남부지방에 대량 발생하여 농업해충으로 인식되었다. 최근 하면처로 이동하는 개체에 의한 밭작물의 피해와 여러 시군에서 서식이 확인되며 확산의 우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가 알팔파바구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였다. 미래의 기후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에서 알팔파바구미의 잠재적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MaxEnt 모델을 적용하였다. 모형의 변수는 2015~2017년까지 알팔파바구미의 서식이 확인된 66개 지점과 종의 생태특성 및 예측변수간 상관성을 고려한 6개(bio3, bio6, bio10, bio12, bio14, bio16)의 생물기후를 사용하였다. 예측된 모형의 적합도는 평균 0.765로 잠재력이 의미 있는 값이며, 최고 따뜻한 분기의 평균기온(bio10)이 60~70%로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2050년과 2070년의 시나리오(RCP 4.5, RCP 8.5)에 대한 모형의 결과는 한반도 전역에서 알팔파바구미의 분포 변화를 보여 주었으며, 기온상승에 따른 전국적 확산이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