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imation of Distance

검색결과 1,192건 처리시간 0.027초

후미등의 가시광통신을 이용한 이동상황에서의 영상센서 기반 차량 간 거리 추정 기법 (Inter-vehicular Distance Estimation Scheme Based on VLC using Image Sensor and LED Tail Lamps in Moving Situation)

  • 윤수근;전희진;김병욱;정성윤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6권6호
    • /
    • pp.935-941
    • /
    • 2017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estimating the distance betweeen vehicles in a moving situation using the image ratio of the distance between the tail lamps of a front vehicle. The actual distance between the tail lamps of a front vehicle was transmitted by LED tail lamps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changes, it calculates the ratio of the pixel width between the tail lamps of the front vehicle projected on the image. The calculated values are used to derive a distance-mapping function through non-linear regression technique. Then, the distance between vehicles in the moving situation is estimated based on this function.

도심로 주행을 위한 딥러닝 기반 객체 검출 및 거리 추정 알고리즘 적용 (Application of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and Distance Estimation Algorithms for Driving to Urban Area)

  • 서주영;박만복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83-95
    • /
    • 2022
  • 본 논문은 자율주행 차량 적용을 위한 객체 검출과 거리 추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객체 검출은 최근 활발하게 사용되는 딥러닝 모델 YOLOv4의 특성을 이용해서 입력 이미지 비율에 맞춰 분할 grid를 조정하고 자체 데이터셋으로 전이학습된 네트워크로 수행한다. 검출된 객체까지의 거리는 bounding box와 homography를 이용해 추정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에서 전반적인 검출 성능 향상과 실시간에 가까운 처리 속도를 보였다. 기존 YOLOv4 대비 전체 mAP는 4.03% 증가했다. 도심로 주행시 빈출하는 보행자, 차량 및 공사장 고깔(cone), PE드럼(drum) 등의 객체 인식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처리 속도는 약 55 FPS이다. 거리 추정 오차는 X 좌표 평균 약 5.25m, Y 좌표 평균 0.97m으로 나타났다.

깊이 정보를 이용한 줌 움직임 추정 방법 (Zoom Motion Estimation Method by Using Depth Information)

  • 권순각;박유현;권기룡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31-137
    • /
    • 2013
  • 동영상의 줌 움직임 추정은 구현이 아주 복잡하다. 본 논문에서는 줌 움직임 추정을 구현하기 위하여 깊이 카메라와 색상 카메라를 동시에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깊이 카메라로부터 현재블록과 참조블록 사이의 거리 정보를 얻고, 이 거리 정보로부터 두 블록사이의 줌 비율을 계산한다. 줌 비율에 맞게 참조블록을 확대 또는 축소시켜 줌으로서 움직임 추정 차신호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줌 움직임 추정을 위한 복잡도가 크지 않으면서 움직임 추정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모의실험을 바탕으로 제안된 방법의 움직임 추정 정확도를 측정하였으며, 기존 블록정합 방법에 비하여 움직임 추정 오차값이 크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유클리디안 제곱거리를 이용한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정지 시 회전자 위치 추정법 (Estimation of Rotor Position at Standstill of Switched Reluctance Motor Using Squared Euclidean Distance)

  • 양형렬;송진수;유영재;임영철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344-35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새로운 회전자 초기 위치 추정법을 제안한다. 회전자의 위치검출을 하기 위하여 서치 코일을 사용하는 경우 센서비용감소, 부피감소, 강인성 증대, 사용범위의 확대 등 많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모터의 회전자가 초기에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서치코일에 유기되는 기전력이 존재하지 않아 회전자의 초기 위치검출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유클리디안 제곱거리(Squared Euclidean Distance)를 사용하여 초기에 회전자가 정지해 있을 경우에도 회전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실험한 결과 정확한 초기 회전자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Multimodal 분포 데이터를 위한 Bhattacharyya distance 기반 분류 에러예측 기법 (Estimation of Classification Error Based on the Bhattacharyya Distance for Data with Multimodal Distribution)

  • 최의선;이철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 /
    • pp.85-87
    • /
    • 2000
  • In pattern classification, the Bhattacharyya distance has been used as a class separability measure and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feature selection and extra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predict the classification error for multimodal data based on the Bhattacharyya distance. In our approach, we first approximate the pdf of multimodal distribution with a Gaussian mixture model and find the bhattacharyya distance and classification error. Exp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Bhattacharyya distance and the classification error for multimodal data.

  • PDF

The Effects of Recording Interval on the Estimation of Grazing Behavior of Cattle in a Daytime Grazing System

  • Hirata, M.;Iwamoto, T.;Otozu, W.;Kiyota,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5호
    • /
    • pp.745-750
    • /
    • 2002
  • The effects of recording interval (1, 2, 3, 4, 5, 10, 15, 20 and 30 min) on the estimation of some grazing behavior variables in beef cows and calves (<4 months old) were investigated in a daytime grazing (7 h) system utilizing a bahiagrass (Paspalum notatum Flugge) pasture (a 1.1 ha paddock and a 0.4 ha resting area). Recording intervals of 10-30 min tended to underestimate the time spent grazing and ruminating and overestimate the time spent resting by animals, whereas intervals of 1-5 min resulted in almost constant estimates. In all grazing activities, the errors of estimation became larger when the recording interval exceeded 5 min. The accuracy of estimation was higher for grazing time>rumination time>resting time. An increase in recording interval always decreased estimates of the distance walked by animals. It was concluded that recording intervals of 1-5 min provide reliable estimates of the time spent grazing, ruminating and resting. It was also concluded that positioning of animals at 1 min intervals may provide estimates of walking distance with acceptable bias toward underestimation.

Data Pattern Estimation with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 Ahn Tae-Chon;Jang Kyung-Won;Shin Dong-Du;Kang Hak-Soo;Yoon Yang-Wo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6권3호
    • /
    • pp.210-216
    • /
    • 2006
  • In the rule based modeling, data partitioning plays crucial role be cause partitioned sub data set implies particular information of the given data set or system.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mpirical study result of the data pattern estimation to find underlying data patterns of the given data. Presented method performs crisp type clustering with given n number of data samples by means of the sequential agglomerative hierarchical nested model (SAHN). In each sequence, the average value of the sum of all inter-distance between centroid and data point. In the sequel, compute the derivation of the weighted average distance to observe a pattern distribution. For the final step, after overall clustering process is completed, weighted average distance value is applied to estimate range of the number of clusters in given dataset. The proposed estimation method and its result are considered with the use of FCM demo data set in MATLAB fuzzy logic toolbox and Box and Jenkins's gas furnace data.

마찰에너지율을 이용한 타이어 제동거리 예측 (Braking Distance Estimation using Frictional Energy Rate)

  • 전도형;최주형;조진래;김기전;우종식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19-524
    • /
    • 2004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braking distance estimation using frictional energy rate. First, steady state rolling analysis is performed, and using this result, the braking distance is estimated. Dynamic rolling analysis during entire braking time period is impratical, so that this study divides the vehicle velocity by 10km/h to reduce the analysis time. The multiplication of the slip rate and the shear stress provides the frictional energy rate. Using frictional energy rate, total braking distance is estimated, In addition, ABS(Anti-lock Brake System) is considered, and two type of slip ratios are compared, One is 15% slip ratio for the ABS condition, and the other is 100% slip ratio which leads lo the almost same braking distance as the elementary kinematic theory. A slip ratio is controlled by angular velocity in ABAQUS/Explicit, A 15% slip ratio gives the real vehicle's braking distance when the frictional energy occurred al disk pad is included. Disk pad's frictional energy rate is calculated by the theoretical approach.

  • PDF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두 노드간 거리 추정 기법 (Distance Estimation Method between Two Nod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권오흠;김숙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09-216
    • /
    • 2005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인접성 정보만 가지고 두 흡 이내의 노드간의 거리를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인접성 정보만 가지고 노드들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존의 알고리즘들의 성능의 한계를 대폭 극복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두 흡 떨어진 노드간의 거리를 추정하게 해주는 최초의 방법이기도 하다. 공통 이웃의 개수를 헤아림으로써 두 노드간의 거리를 추정하는데, 이는 두 노드를 중점으로 하는 두 단위디스크의 공통면적에 공통 이웃의 개수가 비례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분석한 결과 거리추정 오차율은 10$\%$에서 20$\%$정도이다. 한편 본 방법을 분산 알고리즘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메시지 개수는 겨우 노드 개수의 두 배이다

  • PDF

비콘 삼변측량을 이용한 실내 환경에서의 사용자 위치 추정 (A Study on User Location Estimation using Beacon Trilateration in Indoor Environment)

  • 임수종;성민관;윤상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0-182
    • /
    • 2021
  • 본 논문은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를 대상으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비콘을 이용해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저전력 비콘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비콘이 가지는 RSSI 값에 가우시안 필터를 적용하였고, 필터링한 RSSI 값을 통해 거리변환 함수를 구하여 삼변측량으로 태그 위치를 추정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다수의 비콘이 설치된 실내 공간에서 3개의 비콘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는 8곳에 대한 위치 추정 정밀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거리오차 0.242 표준편차 ±0.097를 가지는 사용자의 위치 추정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