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stimated Average Glucose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Relationship Between HbA1c and Estimated Average Glucose by Hemoglobin Concentration of Diabetic Patients

  • Kwon, Se-Young;Na, Young-Ak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71-178
    • /
    • 2011
  • Glycated hemoglobin ($HbA_{1c}$) is a most preferably used baseline of diabetes, implicating average blood glucose levels over a 2-3 month period of time. Recently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has recommended the $HbA_{1c}$ assay as one of the criteria for diabetes. Although some studies provide data with "estimated average glucose", by converting the $HbA_{1c}$ results from simple linear regression, the results are not applicable to whole diabetes. We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HbA_{1c}$ and estimated average glucose by anemia degree of diabetic patients in Korea. The data from the 2008~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used. Analysis was done for 1,257 diabetes subjects with $HbA_{1c}$ results. The distribution of subjects was 34.1% in 60's, 25.9% in 70's, 21,6% in 50's, showing that there was more than 80% in over 50's. To take a close look of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anemic degree, we applied WHO criteria (hemoglobin<13.0 in men and hemoglobin<12.0 in women) and divided anemia degree. The regression equation for A1c and estimated average glucose was $eAG_{mg/dL}=24.3{\times}A1c-32.0$ ($R^2=0.54$, p<0.001) in all subjects, $eAG_{mg/dL}=33.1{\times}A1c-96.1$ ($R^2=0.52$, p<0.001) in slight anemia ($11.0{\leq}$Hb<13.0 in men, $10.0{\leq}$Hb<12.0 in women), and $eAG_{mg/dL}=13.5{\times}A1c+34.9$ ($R^2=0.12$, p =0.075) in moderate anemia (Hb<11.0 in men, Hb<10.0 in women). The regression was not significant in moderate anemia. The relationship between HbA1c and eAG was lower correlation than ADAG study, and eAG showed lower value in all ranges among $HbA_{1c}$ 5~13%. Such as a korea where, there are many diabetic patients among the old aged and higher prevalence rate of anemia, we should be extra careful when we reflect eAG using $HbA_{1c}$ and need to establish criteria which can be applicable to koreans.

  • PDF

동물세포의 유가배양 공법에 의한 Erythropoeitin 생산에 관한 동력학적 연구 (Kinetics of Cultivating Mammalian Cells in Fed-Batc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Erythropoeitin)

  • 유호금;최석규;이윤수;신광순;황희구;이현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04-508
    • /
    • 1991
  • 유전자 재조합된 동물 세포의 유가 배양시 $1.85\times 10^{-10}$(mmole/cell/h)의 비 glucose 소비속도와 $4.7\times 10^{-7}(\mu g/ceil/h)$의 erythropoetin (EPO)비 생산속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이같은 배양에서 회분 및 연속배양에서 보다 높은 세포수를 얻었으며 전 배양이 유사 안정상태에 도달하는 배양 후기에는 glutamolysis가 생육 공정에 매우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음이 확이됐다. 유가 배양시 13(mmloe/l)의 glucose 농도에서 생육 제한 현상이 일어났으며, 이같은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glucos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배양시간의 경과와 함께 EPO 생산성이 증가했다.

  • PDF

한국 및 일본산 맥주의 당에 관한 연구 - 1. 당함량 - (Sugars in Korean and Japanese Beer - 1. Sugar Contents -)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3-149
    • /
    • 1998
  • 한국산 맥주 3가지와 일본산 맥주 21가지의 당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당함량은 1.71%∼3.93%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평균 3.15%를 나타냈다. 한국산 맥주는 에탄올 함량 4.5%짜리 뿐으로 평균 당함량은 3.24%, 일본산 에탄올 함량 4.5% 제품은 당함량 2.5%, 에탄올 5% 제품은 당함량 3.2%, 에탄올 5.5% 제품은 당함량 3.15%를 나타냈다. 비발효성 말토올리고당과 한계덱스트린은 평균 2.32%를 나타냈다. 당의 조성은 말토오스 ∼ 말토데카오스, 한계덱스트린까지 균일한 분포를 나타냈다. 그러나 식혜 당화법에서는 말토테트라오스∼말토헵타오스까지의 말토올리고당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식혜당화법을 사용하면 맥주 제조의 당화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 PDF

젖소에 있어서 분만 후 혈액 및 우유의 성분 변화와 성분간의 상관관계 (Changes of Blood and Milk Components and Correlation among Them after Parturition in Dairy Cows)

  • 이종완;정영채;김창근;김명희;최선호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7-135
    • /
    • 2007
  • 본 연구에서 Holstein 유우 78두로부터 분만 후 9주까지 1주 간격으로 혈액과 우유를 채취하여 cholesterol, glucose, 광물질(selenium, Ca, p), vitamin E 및 혈장내 progesterone을 분석하여, 이들 성분의 변화와 성분간의 상관 관계 및 변화 요인에 관하여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만 후 9주까지의 각 성분별 평균 수준은 혈액에서 cholesterol, glucose, selenium, Ca, P, vitamin E 및 BUN이 각각 78.8 mg/dl, 62.3 mg/dl, 8.9mg/dl, 7.4 mg/dl, 52.2 ng/ml, $10.3{\mu}g/l$ 및 16.3 mg/dl이었으며, MSe와 MUN은 15.3 ng/ml과 15.8 mg/dl이었다. 2. 혈액내 cholesterol, glucose, selenium, Vitamin E 및 MSe는 분만 후 시일 경과에 따라 증가되었다. 3. 성분간의 유의적 상관관계를 보면 cholesterol은 P와 부(-), selenium과 U과는 정(+)의 상관이 었고, glucose는 P, MSe와 정(+), P는 selenium 와 부(-) 상관이었으며 그리고 BUN과 MUN은 정(+) 상관을 나타내었다. 4. 성분 변화의 요인으로서 유우 나이는 glucose와 selenium, 산차는 selenium과 vitamin E, 유량은 glucose와 MSe 수준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청초와 건초 급여간에는 혈액내 Ca와 selenium를 제외 한 성분에서 차이를 보였다. 요소태 질소에서는 MUN에서만 나이와 산차간에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분만 후 급여 사료에 따라 혈액 및 우유의 성분에 차이를 보이며, 특히 혈액 및 우유내의 selenium은 분만 후 젖소에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산 일부 사과 품종의 유리당 함량 (Free Sugars Content of Selected Korean Apple Cultivars)

  • 김천회;황혜정;구자일;박기환;윤광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2-27
    • /
    • 2006
  • 우리나라 사과의 품종별 HPLC법으로 산출한 총당 함량은 쓰가루 평균 9.62%, 후지 11.79%, 홍옥 11.20% 그리고 신흥 11.59%이었다. 전국의 총당 함량분포는 최소 8.91%(대구 산 쓰가루)에서 최고 13.08%(수원 산 후지)이었다. 유리당과 sorbitol의 함량 분포는 전국적으로 sucrose 0.72-3.26%, glucose 1.81-3.54%, fructose 5.08-6.96% 그리고 sorbitol 0.22-0.96%이었다. 개별 유리당의 품종별 평균함량은 fructose는 쓰가루 5.76%, 후지 6.08%, 홍옥 5.76% 그리고 신흥 6.03%, glucose는 쓰가루 2.60%, 후지 2.74%, 홍옥 2.68% 그리고 신흥 2.53%, sucrose는 쓰가루가 0.94%로서 후지 2.33%, 홍옥 2.29% 그리고 신흥 2.53%, sorbitol은 쓰가루 0.31%, 후지 0.64%, 홍옥 0.45%, 신흥 0.44 이었다. 총당 중의 유리당과 sorbitol 분포비율은 네 가지 품종 모두 fructose가 50%이상의 점유율을 보이며 sorbitol은 5% 미만으로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지만 쓰가루는 fructose가 60%를 점유하고 sucrose는 약 10% 정도의 특이한 패턴을 보였다. 품종별 총당(TS+S)에 대한 유리당의 함량비율 sucrose/TS+S는 쓰가루 0.098, 후지 0.198, 홍옥 0.205 그리고 신흥 0.225, fructose/TS+S는 쓰가루 0.600, 후지 0.516, 홍옥 0.515 그리고 신흥 0.521, glucose/TS+S는 쓰가루 0.270, 후지 0.233, 홍옥 0.240 그리고 신흥 0.219이며 이 중 모든 품종의 fructose/TS+S와 glucose/TS+S는 안정적인 지표로 판단되었다. 품종별 총당에 대한 sorbitol의 함유비율(sorbitol/TS+S)은 쓰가루 0.032, 후지0.053, 홍옥 0.041, 신흥, 0.0370로서 품종간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품종 별 fructose와 glucose 함유비율(fructose/glucose)은 쓰가루 2.295, 후지2.244, 홍옥 2.161 그리고 신흥 2.393이었다.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개정: 탄수화물 (The development of the 202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carbohydrate)

  • 김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6호
    • /
    • pp.584-593
    • /
    • 2021
  •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탄수화물은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섭취기준으로 총 에너지 섭취량에 대한 탄수화물로부터의 에너지 섭취비율인 에너지적정비율을 1세 이후 모든 연령에서 55-65%로설정하였다. 그리고 2020년에 처음으로 탄수화물의 평균필요량과 권장섭취량을 설정하였다. 인체의 탄수화물 필요량은 뇌에서 하루에 소비되는 포도당량과 케톤체 생성이 나타나지 않는 양을 기준으로 1세 이후 모든 연령에서 1일 100 g을 설정하고, 권장섭취량은 15% 변이계수를 사용하여 두 배의 변이계수를 더한 130 g/일로 설정하였다. 탄수화물의 평균필요량은 최소필요량의 개념이지 에너지원으로서 적절한 섭취량에 대한 개념은 아니므로 탄수화물의 영양소섭취상태를 평가할 경우에는 평균필요량이나 권장섭취량에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고, 에너지적정비율을 활용하여 탄수화물로부터의 에너지 섭취비율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다. 탄수화물은 에너지 적정비율범위에서 섭취할 때 만성질환의 위험을 낮출 수 있으며, 이를 탄수화물의 양뿐만 아니라 급원도 고려하는 식생활에 활용해야 할 것이다.

Zinc status and dietary quality of type 2 diabetic patients: implication of physical activity level

  • Yoon, Jin-So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2권1호
    • /
    • pp.41-4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zinc status, diet quality, glycemic control and self-rated physical activity level of type 2 diabetic patients. Dietary intakes for two non-consecutive days were measured by 24-hour recall method for seventy-six diabetic patients. Fasting blood glucose and HbA1c were measured for the assessment of glycemic control. We evaluated the extent of dietary adequacy by the percentage of subjects with a dietary intake of a nutrient less than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EAR), the dietary diversity score(DDS) and the dietary variety score(DVS). Zinc status was assessed from serum levels and urinary excretion. Dietary inadequacy was serious for five nutrients: riboflavin, calcium, thiamin, zinc and vitamin C. Dietary intakes from the meat, fish, and egg food groups and the milk food group were below the recommended level. We found that subjects with high levels of physical activities had significantly higher DVS and serum zinc levels compared to others (p

Performance of growing lambs supplemented with ground licuri (Syagrus coronata)

  • Daza, Adin;Souza, Jocely G.;Monnerat, Joao Paulo I.S.;Ribeiro, Claudio V.D.M.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6호
    • /
    • pp.1014-1021
    • /
    • 2021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ground licuri on lamb performance. Methods: Forty male lambs were us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o test the effects of 0, 5, 10, and 15 g/kg of ground licuri added to diets. The trial lasted for 75 days. Intake, digestibility, physically effective neutral detergent fiber, and chewing activity were estimated. Blood samples were taken on day 45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of glucose, urea, non-esterified fatty acids, and triglycerides. Average daily gain (ADG) were determined on the last day of the experimental trial. Results: Licuri inclusion markedly increased dietary neutral detergent fiber and ether extract (EE) content, but it decreased dry matter (DM) intake. However, the intake and digestibility of EE linearly increased. The ADG decreased linearly (p<0.05) with licuri inclusion. Licuri had no effect (p>0.05) on the concentrations of blood metabolites; however, blood urea increased (p<0.05), while serum glucose decreased (p<0.05). Conclusion: The physically effective fiber of ground licuri is similar to Tyfton hay and licuri inclusion decreases lamb performance due to a decreased in DM intake.

경북 농촌지역 여성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계절별 영양소섭취 비교 (Seasonal Nutrient Intake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s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Family in the Gyeongpuk Rural Area)

  • 임영지;최영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8-67
    • /
    • 2007
  • For the rapidly growing elderly population, the achievement and maintenance of good nutritional status is critical to health,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Elderly women living alone have been identified as a group associated with poor nutr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dietary intake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s compared to those of elderly women living with family in a rural area and to examine seasonal variation. The subjects are 49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41 elderly women living with family who reside in Goryeong-gun, Gyeongbuk, and their food intakes were assessed once each time in summer 2005, winter 2005-2006, and spring 2006. The average ages were 74.7 years for living alone and 72.8 years for living with family. Education level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and fasting blood gluco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verage intakes of major nutrients, nutrient adequacy ratio, mean adequacy ratio and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were lower in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compared with the elderly women living with family in summer, but the differences in intakes of most nutrients became insignificant both in winter and in spring. High carbohydrate and low fat diet was prevalent and intakes of carbohydrate and fat in summer deviated from macronutrient acceptable distribution ranges. Percentages of the subjects who consumed energy less than 75% of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and nutrients less than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were higher than those reported by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summer, the percentage of the subjects who consumed energy less than both 75% of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and 4 nutrients less than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was 58.5% of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which was higher than 26.5% of the elderly women living with family and that of National Nutrition Survey. Therefore, nutrition policies including nutrition education and support are necessary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especially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should reflect regional and seasonal characteristics.

복수 개의 광파장에 대한 상대적 흡광 특성을 이용한 글루코스 농도 측정 (Prediction of the Glucose Concentration Based on Its Optical Absorbance at Multiple Discrete Wavelengths)

  • 김기도;손근식;임성수;이상신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16-42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복수 개의 측정 광파장 대역에서의 글루코스 수용액의 상대적인 흡광 특성을 이용한 글루코스 농도 예측 방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각 측정 파장에서의 상대적인 흡광도는 기준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기준하여 얻어진다. 선정된 기준 파장(1310 nm)과 네 개의 측정 파장(1064, 1550, 1685, 1798 nm) 대역에서는 글루코스에 대한 흡광도가 서로 반대의 부호를 갖도록 하였으며, 이 특성은 측정 정확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최종적인 글루코스 수용액의 예측 농도는 각 측정 파장에서 얻어진 예측 값의 평균으로 결정된다. 5 mm의 광경로와 $0{\sim}1000mg/dL$ 농도 범위에서 실제로 측정된 글루코스의 흡광도를 살펴보면, 기준 파장 1310 nm에서는 $-1.42{\times}10^{-6}\;AU$/(mg/dL), 측정 파장 1685 nm에서는 $+8.12{\times}10^{-6}\;AU$/(mg/dL)로 최대였다. 그리고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글루코스 용액의 농도를 예측할 경우 얻어진 표준예측오차(SEP: standard error of prediction)는 ${\sim}28\;mg/dL$였다. 또한, 온도와 지방층이 글루코스 농도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26{\sim}40^{\circ}C$ 온도 범위에서 측정된 흡수량 변화율은 기준 파장 1310 nm에서 $-9.1{\times}10^{-5}\;AU/^{\circ}C$였고, 측정 파장 1550 nm에서 $-2.08{\times}10^{-2}\;AU/^{\circ}C$였다. 그리고 글루코스 수용액에 존재하는 지방층 두께에 따른 흡수량 변화율은 1685 nm 파장 대역에서 +1.093 AU/mm로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