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erified rice bran oi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ESTERIFIED RICE BRAN OIL AS AN ALTERNATIVE FUEL IN A DIESEL ENGINE

  • Choi, S.H.;Oh, Y.T.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399-406
    • /
    • 2006
  • The smoke emission of diesel engines is being recognized as one of the major source of the air pollution problem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 of esterified rice bran oil to reduce smoke emission as an alternative fuel for diesel engines. Because the esterified rice bran oil has approximately a 10.5% oxygen content, the combustion of the diesel engine improved and exhaust smoke decreased. Gas chromatography was used to analyze not only the total amount of hydrocarbon but also the amount of hydrocarbon components from $C_1$ to $C_6$ in the exhaust gas to determine an exact source responsible for the remarkable reduction in the smoke emission. The number of individual hydrocarbon($C_1{\sim}C_6$) as well as the total amount of hydrocarbon of esterified rice bran oil reduc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hydrocarbon of diesel fuel.

일반계 및 다수계 미강유의 지방질 함량과 중성지방질 조성 (Comparative Studies on the Lipid Content and Neutral Lipid Composition in Japonica and Indica Rice Bran Oils)

  • 권경순;김현구;안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7-211
    • /
    • 1996
  • 일반계 및 다수게 미강유의 지방질 함량과 중성 지방질 조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지방의 함량은 다수계 미강이 19.5-20,7%로서 일반계 미강보다 약 4-5%높았고, 미강유중의 중성. 당 및 인지방질의 평균 함량비는 일반계 미강유에서는 89.5 : 4.0.6.5%이었고, 다수계 미강유에서는 93.7: 2.6 : 3.7%이었다. 즉, 중성 지방질의 함량은 다수계 미강유가 일반계 미강유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증성 지방질은 주로 esterified sterol,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free sterol, diglyceride및 monoglyceride로 되어 있었다 중성 지방질중에는 triglyceride가 48.7-49.7%. 가장 함량이 많았고, 다음으로는 free fatty acid가 26.7-27.8%로 많은양이 존재하고 있었다. 일반계 및 다수계 미강유의 주요 구성 지방산은 palmitic acid 등 3가지로 총 지방산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은 linoleic, palmitic acid의 순이었다.

  • PDF

알칼리 정제(精製)와 에스테르화에 의한 미강유의 열안정성(熱安定性)의 비교(比較) (Comparison of Thermal Stability of Alkali Refined and Esterified Rice Bran Oils)

  • 김현구;신동화;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0-185
    • /
    • 1985
  • 알칼리 처리와 글리세린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킨 탈산공정에 의하여 정제한 각 미강유의 열안정성을 비교하였다. 가열중 산 값의 변화는 알칼리정제 미강유에서는 가열시간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나, 글리세린처리 미강유의 일부는 완만한 증가추세를, 또 일부는 가열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산 값이 감소하였다. 과산화물 값의 변화는 가열중 증가와 감소의 반복추세를 나타냈으며 알칼리 정제 미강유와 글리세린처리 미강유의 과산화물 값이 13.3 mgq/kg하였다. TBA값의 변화는 가열 10시간까지 급격하게 증가하고 그후 완만한 감소추세를 나타낸다. 가열중 글리세린처리 미강유는 착색현상이 심하였다. 알칼리정제 미강유와 글리세린 미강유의 90시간 가열 후 TG의 감소율은 $150^{\circ}C$에서는 처리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150^{\circ}C$에서는 글리세린처리미강유가 알칼리정제 미강유보다 TC의 감소율이 약 2${\sim}$7% 높았다. AOM 시험에서 알칼리 정제미강유는 글리세린처리미강유보다 약 2배의 산화 안정성이 있었다.

  • PDF

알칼리 정제(精製)와 에스테르화에 의한 미강유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의 비교(比較)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lkali Refined and Esterified Rice Bran Oils)

  • 김현구;신동화;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5-179
    • /
    • 1985
  • 알칼리 처리와 글리세린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킨 탈산공정에 의하여 정제한 각 미강유의 이화학적 항수 및 지방질 조성을 비교하였다. 비중 및 굴절율은 글리세린처리미강유가 알칼리정제미강유보다 높았고, 색도는 글리세린처리미강유가 알칼리정제미강유보다 훨씬 진한 황색도를 나타내었으며, 발연점은 알칼리정제미강유가 글리세린처리미강유보다 60${\sim}80^{\circ}C$높았다. 유리지방산의 함량은 알칼리정제미강유(0.05%)보다 글리세린처리미강유(0.88${\sim}$1.36%)가 높았으며, 왁스는 알칼리정제미강유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글리세린처리미강유에서는 soft wax가 0.600${\sim}$0.871%, hard wax가 0.035%${\sim}$0.486% 함유되어 있었다. 알칼리 정제미강유와 글리세린처리미강유의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 지방질의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중성지방질중의 TG 함량은 알칼리정제미강유(96.3%)가 글리세린처리미강유(93.0${\sim}$94.1%)보다 많았으며 MG함량은 알칼리정제미강유(0.11%)가 글리세린처리미강유(0.39${\sim}$0.69%)보다 낮았다. 알칼리 정제미강유와 글리세린처리미강유의 주요지방산은 올레산, 리놀레산, 팔미트산 이었으며 처리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Lipase-catalyzed Production of Solid Fat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 in Binary Models

  • Zhu, Xue-Mei;Alim, Abdul;Hu, Jiang-Ning;Adhikari, Prakash;Lee, Jeung-Hee;Lee, Ki-Tea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803-807
    • /
    • 2009
  • Solid fats were esterified with solid phase of rice bran oil (S-RBO), palm stearin (PS),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t 2 substrate mole ratios (S-RBO:PS:CLA of 1:1:2 and 1:3:4). The major fatty acids were palmitic, oleic, and CLA in 36 hr products. The solid fat content (SFC) of the 1:1:2 product was 12.8% while the SFC of 1:3:4 product was 45.1% at $20^{\circ}C$. The SFCs after $20^{\circ}C$ reduced when the reaction time increased from 1 to 36 hr, suggesting that the change of triacylglycerol species was augmented by extending reaction time.

유리지방산을 많이 함유한 미강유와 글리세린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관한 연구 (Study on Reesterification of Rice Bran Oil Containing High Free Fatty Acids and Glycerol)

  • 문성훈;이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3-199
    • /
    • 1980
  • 유리 지방산을 많이 함유한 미강유(산 값=119.7)와 당량의 글리세린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관한 실험을 시도하였는 바, 실험 결과를 보면 (1) 반응온도를 $170^{\circ}C$에서 $210^{\circ}C$$250^{\circ}C$로 올렸을 때 촉매의 유무 및 반응시간에 관계 없이 평균 산 값은 각각 42.7, 21.5 및 10.0으로 반응이 촉진되었고, (2) 촉매를 사용하였을 때 온도와 시간에 관계없이 반응이 현저히 촉진되었다. 이 때의 평균 산 값은 12.5로써 촉매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평균 산 값 36.9보다 훨씬 적었으며, (3) 반응시간을 3시간에서 6시간으로 증가 시켰을 때도 촉매의 유무 및 반응 속도에 관계없이 평균 산 값은 각각 31.1과 18.3으로 반응이 촉진되었다. 관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트러-글리세리드 및 유리 지방산의 분석 결과를 보면 탈검한 미강유를 $250^{\circ}C$에서 6시간동안 촉매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켰을 때 트리-글리세리드의 경우, 반응 전 미강유의 10.4%로부터 각각 72.9%와 61.1%로 증가하였고 유리 지방산의 경우, 반응전 미강유의 60.2%로 부터 각각 1.4%와 6.1%로 감소하였다. 요드값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중합물을 측정한 결과를 보면 촉매에 의한 중합은 일어나지 않았으며 온도를 $170^{\circ}C$에서 $210^{\circ}C$로 올렸을 때에도 중합은 일어나지 않았으나, $250^{\circ}C$에서 6시간동안 반응을 시켰을 때에는 어느 정도 중합물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에 의하면 미강유의 지방산은 주로 올레산(42.5), 리놀산(29.0%) 및 팔미트산(20.3%)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