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ablishment risk

검색결과 512건 처리시간 0.025초

호르몬 및 배지 고형제를 이용한 알스트로메리아 식물체 대량증식 체계 확립 (Establishment of propagation system for Alstroemeria plants by using hormones and gelling agents)

  • 양환래;이상희;김종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167-171
    • /
    • 2018
  • 알스트로메리아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절화 작물 중 하나이다. 그러나 낮은 증식률과 번식기간이 길고 바이러스 질병 감염이 높기 때문에 대량증식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기내 조직배양을 이용한 대량증식 시스템 쳬계 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BA와 NAA 그리고 여러 가지 배지 고형제를 이용하여 알스트로메리아 최적의 생장 효율을 찾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BA 1.0 mg/L 와 NAA 0.1 mg/L를 첨가한 배지에서 무처리구에 비하여 신초 및 뿌리의 개수가 약 1.5배 증가하였고 비대한 신초와 뿌리를 나타내었다. 여러 가지 배지 고형제들 중 gelrite 0.25%를 첨가한 배지에서 타 처리구에 비해 최대 50% 향상된 길이를 나타내었고, 근경 개수 및 생체중 증가량에 있어서도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알스트로메리아 신품종 개발 및 대량증식 시스템 체계 확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프로젝트의 설계안전성 검토에 대한 인식 분석 및 개선방안 (An Awareness Analysis on the Design for Safety of Construction Project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 신원상;손창백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51-359
    • /
    • 2019
  • 정부는 안전사고의 근본원인을 기획 및 설계단계의 안전관리활동 부재라고 인식하고, 2016년 5월 DFS 제도를 의무화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발주자 및 설계자들의 인지도는 매우 낮고, 추가적인 업무수행, 전문인력 부족 등의 다양한 사유로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발주자 및 설계자에게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DFS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업무수행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DFS 업무 수행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은 위험요소 및 대책 발굴이 가능하고, 기관별 정보공유가 가능한 DFS업무 지원시스템의 구축이 가장 시급하다. 이와 동시에 DFS업무를 전담하여 수행할 전담조직의 구축 및 전문 인력의 양성과 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그리고, 설계사무소에서 DFS업무 수행 시 필요한 비용에 대한 적정 대가 산정기준 정립이 시급히 요구된다.

СЕВЕРО-ВОСТОЧНАЯ АЗИЯ В ПОВОРОТЕ РОССИИ НА ВОСТОК (Northeast Asia in Russia's Pivot to the East)

  • Kanaev, Evgeny
    • 분석과 대안
    • /
    • 제1권1호
    • /
    • pp.44-64
    • /
    • 2017
  • Russia's push in the Asia-Pacific region stems from its interests that have the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dimensions. In their turn, the aims of this policy are civilizational, geopolitical, economic and prospective, with a long-term outlook. In the course of their achievement, cooperation with Northeast Asia's countries will play one of the key roles owing to the factors of geographic proximity, Northeast Asia's economic potential, risk hedging and a growing influence Northeast Asia exerts upon the global development. A new cooperation paradigm between Russia and the states of Northeast Asia should be based upon establishing and cementing self-reproducing ties. This is the central aim of Russian initiatives in relations, with Japan, the Republic of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Mongolia and China. However, numerous obstacles ranging from Russia's absence in the regional free trade agreements and supply-production chains of value-added production to the permanent international instability generated by Pyongyang's missile-nuclear developments hamper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is task. Realizing the necessity to give an additional impetus to this new cooperative paradigm, Russia has to develop directions with an apparent consolidating effect. The most promising may be the establishment of a permanent security forum based upon Northeast Asia Peace and Security Mechanism chaired by the Russian Federation. The urgency of this measure and its expected support stem from the necessity to strengthen security in Northeast Asia, a task neither the US-led hub-and-spoke system nor ASE-AN-led multilateral dialogue venues have been able to resolve. The issues addressed at the security forum must include the unification of approaches to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producing a document specifying actions of the claimants on the disputed maritime territories in the "direct contact" situations. At the expert level, Russia has elaborated on the idea to establish such a forum outlining the spectrum of the key directions of cooperation. With the urgency in the establishment of this dialogue venue, its agenda has to be coordinated with the agendas of the existing security systems presented by the US alliances and the ASE-AN-led multilateral negotiations.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is initiative will strengthen security in Northeast Asia as its challenges will be resolved in the pre-emptive way based on coordinated approaches. Therefore, Russia as the Eurasian state will be one of the role players in the advent of the Asian century.

  • PDF

위해성평가에 근거한 농산물 중 22종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설정 (Establishment of 22 Pesticide MRLs in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Risk Assessment)

  • 정형욱;하용근;임무혁;신지은;도정아;오재호;조재호;권기성;박선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6-172
    • /
    • 2011
  • 본 연구를 통해 신규농약인 isotianil의 쌀에 대한 잔류허용기준과, 기준이 확대되는 21종 농약에 대해 26개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제시하였다. Iisotianil의 쌀에 대한 MRL은 0.1 mg/kg으로 설정하였고, ADI대비 TMDI의 비율 1.54%로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기준이 확대되는 21종의 농약의 경우 dinotefuran, idoxacarb, trifumizole을 제외한 나머지 농약은 ADI대비 TMDI의 비율이 50% 미만으로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수준으로 판단된다. Trifumizole은 재평가를 통해 미등록된 작물의 기준을 폐지하면, 현재의 ADI대비 TMDI 비율 절반 수준인 30% 미만으로 감소될 것으로 예측된다.

빅데이터/클라우드 기반 미래 C4I체계 사이버위협 관리체계 적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Cyber Threat Management System to the Future C4I System Based on Big Data/Cloud)

  • 박상준;강정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7-34
    • /
    • 2020
  • 최근 4차 산업혁명 기술은 기술발전을 통해 일상생활을 크게 바꾸고 있을 뿐 아니라 국방정책 수립에 있어서도 주요 키워드가 되어 가고 있다. 특히 ICBMS라 불리는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사이버보안 기술은 인공지능과 더불어 국방정보화정책의 핵심선도기술로 선정되었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가운데 현재 KJCCS, ATCIS, KNCCS, AFCCS 등 합참 및 각 군 기능별로 분리 운용되고 있는 C4I체계를 미래전에 대비하는 하나의 체계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이는 C4I체계를 각 도메인별로 운용함에 따라 정보교환 등 합동작전을 위한 상호운용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종 무기체계들이 초연결 및 초지능화 체계로 개발이 추진되고 있어 이들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고 안전하게 운용하기 위해 통합C4I체계 구축과 미군의 RMF(Risk Management Framework) 같은 체계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클라우드 기반의 미래 C4I체계의 사이버위협 지능화 탐지 및 사용자 정보 접근권한 관리, 사이버위협의 지능화 관리 및 가시화 방안을 제시한다.

마른나무흰개미(가칭)의 국내 기후적합성 평가 (Assessing the Climatic Suitability for the Drywood Termite, Cryptotermes domesticus Haviland (Blattodea: Kalotermitidae), in South Korea)

  • 김민중;이준기;남영우;박용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15-220
    • /
    • 2023
  • 최근 국내에서 외래 곤충인 (가칭)마른나무흰개미(Cryptotermes domesticus)가 서울에 위치한 주택에서 발견되었다. 이 종은 국내에 정착할 경우 잠재적으로 목재나 목조건물에 피해를 줄 수 있어 시급한 국내 발생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종 분포 모델 기법을 활용하여 마른나무흰개미의 정착 가능성과 관련된 기후적합성을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전세계 분포 정보를 수집하고, 생물기후변수를 활용하여 4개의 모델링 알고리즘으로 기후적합성 예측 모델을 구동하였다. 개발한 모델들의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마른나무흰개미의 평균 발생 확률로 표현되는 앙상블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마른나무흰개미는 열대 지방에서에서 해양성 기후를 보이는 연안이나 도서지역에서 기후적합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국내에서는 기후적합성이 전반적으로 낮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하지만, 마른나무흰개미의 정착 및 확산 가능성을 염두해두고, 최근 발생이 보고된 지점을 중심으로 정밀 역학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비음용 지하수 오염물질 기준설정체계 구축 연구: (1) 특정유해물질 (Establishment of Non-Drinking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1) Specific Harmful Substances)

  • 안윤주;남선화;이우미;윤성지;윤진열;정승우;김혜진;김현구;김태승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630-635
    • /
    • 2013
  • 비음용 목적의 지하수에 대한 국내 수질기준은 기준항목 및 기준치설정에 근거가 명시되지 않아 체계적인 기준설정체계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음용 목적의 특정유해물질에 대한 위해성기반 한국 지하수 수질기준 설정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흡입 및 피부접촉 노출경로를 고려한 위해성을 반영하고 있는 선진국의 지하수기준 설정근거를 분석하였으며, 국내 타 수질 관련 매체의 기준 설정 체계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 지하수기준의 설정체계를 제안하였다 모니터링 우선항목 선정, 모니터링 수행, 위해성평가, 지하수 수질기준 후보물질 선정, 특정유해물질 지하수 수질기준 신규항목 선정 및 항목별 기준치 설정 단계로 제안하였다.

강원도 원주지역 초,중,고등학생의 식습관 및 섭식행동에 관한 단면연구 (A Cross-Sectional Study of Dietary Habits and Eating Behavior amongs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Wonju City)

  • 허혜경;박소미;김기연;김춘배;안정숙;송희영;김기경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9-172
    • /
    • 200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dietary habits of students in order to identify risk groups according to their Body Mass Index (BMI), and to compare the eating behavior of students in the normal range (19${\le}$24) and those in risk groups (BMI${\le}$19, 24${\le}$27, BMI>27). Method : 1176 elementary school students, 850 middle school students and 672 high school students in Wonju City, were the participants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included demographic data as well as dietary habits, and the eating behavior instrument developed by Stunkard & Messick(1985) and revised by Kim & Kim (1997). Result : 1) As students moved up ingrade level their dietary habits became more irregular and the degree that students chewed food was reduced 2) As students moved up in grade level, a greater number of the student did not eat breakfast. The reasons given were that there were not enough time before classes started(40.4%) and a lack of appetite in the morning(10.6%) in high school students. 3) As for supper, from 67.8 to 81.9% of subjects reported having regular supper. However the rest of the subjects did not eat supper because of anorexia and fear of weight gain. 4) The results identified risk groups according to their BMI showed tha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55.9% were in the low weight group, 5.5% in the overweight group, and 0.9% in the obese group.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40.6% and 35.5% respectively were in the low weight group, 7.4% and 6.3% in the overweight group, and 4.1% and 2.5% the obese group. 5) Comparisons of the eating behavior of students in the normal weight group with that of those in the three risk groups showed that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nger' and cognitive restraint of eat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restraint of eat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anagement of diet in school health should be addressed from both the aspect of lack of nutrition and that of excess nutrition. In other words, good diet is as important for students in the low weight group as it is for those in the overweight and obese groups. The establishment of good dietary habits and eating behavior in students, by nurses and dieticians should be done by providing repeated diet education and involvement in diet counseling.

융복합적인 웰니스를 위한 교양체육 수업의 효과 - 체력, 비만 및 대사증후군 지표 중심으로- (Effects of Fitness Management Class for Wellness Convergence - Based on Fitness, Obese Indices, Metabolic Syndrome Factors -)

  • 이지영;김명수;이신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329-336
    • /
    • 2015
  • 본 연구는 저항성 운동과 유산소 운동의 복합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체력관리 수업과 일반 교양체육 수업 간에 비만도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개선 및 체력 향상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내어 융복합적인 웰니스를 위한 체력관리 수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본교 체력관리 수강 남학생 113명, 본교 교양체육 실기과목 수강 남학생 67명, 타 대학의 운동과 다이어트 및 건강관리 수업 수강 남학생 40명 총 22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비만지표,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건강 기술관련 체력 변인들은 세 집단 간 수업 전후의 상호작용을 검정하기 위해 이원변량분석(Repeated 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체력관리 수업이 본교 교양체육 수업과 타 대학 교양체육 수업보다 개인의 비만도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개선시키고 체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력관리 교양수업은 기존의 스포츠 실기 및 이론 교양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건강과 체력을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교과목인 것으로 사료된다.

노거수의 건강성 평가체계 정립을 위한 위험 지표인자의 검증 (Determination of Risk Indicators for Establishing the Health Evaluation System of Old Trees)

  • 장종펑;시아티엔티엔;강호철;강태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9-60
    • /
    • 2018
  • 노거수에 대한 보호 및 관리 강화는 유적의 보존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노거수의 건강성 평가체계정립을 위한 위험 지표인자를 검증하여 위험에 처해 있는 노거수의 보호 및 관리에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지표와 상대적 중요도를 토대로 100점을 기준으로 변환점수를 계산하여 평가점수표를 작성하였고, 평가 점수표의 합계에 따라 5등급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실증을 위해 양동마을의 노거수를 사례대상으로 현장조사와 실내 측정을 통해 각 지표의 실제 위험도를 평가하고, 위험등급을 산출하였다. 양동마을 내 노거수의 건강성 평가 결과는 약 70%가 C등급으로 나타나 세심한 보호 관리가 필요하다. 연구결과, 5등급 점수표에 의한 등급별 판단 기준 설정 및 건강성 평가체계 수립은 양동마을의 실제상황을 반영할 수 있어 실용성과 과학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