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sential Competency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9초

초등 예비교사의 창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경험 및 태도와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분석 (Analysis of the Experiences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ore Competencies of Entrepreneurship)

  • 이수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1호
    • /
    • pp.99-11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대학 재학생인 초등 예비교사의 창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경험 및 태도와 창업가정신 핵심역량의 수준을 살펴보고, 학년과 성별, 그리고 창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태도에 따른 창업가정신 핵심역량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에 응답한 초등 예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창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경험, 태도, 인식, 창업 시도 및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수준을 조사하고 이에 따른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수준의 차이를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은 창업가정신 교육에 대해 이해 수준과 직접 참여 경험은 낮았으나 초등학생과 초등교사 대상의 창업가정신 교육의 필요성과 창업가정신 교육 및 창업에 대한 관심도는 높은 편이었다. 창업가정신 핵심역량군별로 나눠서 볼 때 초등 예비교사의 도전, 집단창의, 자기주도 역량군에 비해 혁신성, 사회적 가치지향, 변화민첩성으로 구성된 가치창출 역량군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다.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수준의 학년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여학생의 역량 수준이 남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초등교사가 갖추어야 할 필수역량으로서의 창업가정신 중요성을 인식하는 집단의 창업가정신 4대 핵심역량군의 평균이 상대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높았고, 대학에서의 창업 관련 교육 참여를 희망하는 집단과 창업 시도 의향이 있는 집단의 가치창출과 도전 역량이 상대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창업가정신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설계 및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Develop and Deliver Essential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 Eisenderg, Michael B.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5-21
    • /
    • 2011
  • There is an explosion of talk about crucial, new literacies for the 21st Century, for example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media literacy, technology literacy, digital literacy, visual literacy. The other day, there was even an article about "gaming literacy!" How does one make sense of it all? The common factor in all these literacies is "information" -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use, information processing, information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valuation. And, these "information" elements come together in information literacy: the ability to engage in effective and efficient information problem-solving. Information literacy is the overarching and unifying literacy, and all libraries have a unique and essential role to play in delivering meaningful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to people of all ages. In this keynote paper and address, Professor and Dean Emeritus Mike Eisenberg will define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library-based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and offer strategie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that are comprehensive(reaching all users), predictable (consistent over time), and accountable(measured and reported).

정보기술역량과 창업태도 및 창업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petence on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최대수;성창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39
    • /
    • 2017
  • Lately, there is a worldwide boom for start-ups. This trends has led to develop many policies for entrepreneurship in Korea, which focused on college education. Also, as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knows no borders, demands of software early education are expanding in line with strong interests in IT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is now an essential competency for all professionals who need creative thinking. And entrepreneurs are a representative job that requires creative thinking. This study suggests IT competencies-IT planning competencies (ITPC) and IT development competencies (ITDC)-as a core factor of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paper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T competenci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o we investigated IT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a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planning competencies have positive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intention. But IT development competencies do not influence directl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entrepreneurial attitude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T planning competenci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o, we need to develop good contents related to the IT planning capabilities when organizing training programs in start-up cours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have a broad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the trends of technology convergence and creating opportunities.

Barriers to Counseling on Advance Directives Based on Counselors' Experiences: Focus Group Interviews

  • Kim, Yejin;Yoo, Shin Hye;Choi, Wonho;Kim, Min Sun;Park, Hye Yoon;Keam, Bhumsuk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3권3호
    • /
    • pp.126-138
    • /
    • 2020
  • Purpose: In Korea, since the Act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was implemented in February 2018, advance directives (ADs) have become legally effective and should be documented after sufficient explanation by a registered counselor. However, little is known regarding the adequacy of current AD counseling. This qualitative study aimed to explore the barriers to AD counseling based on counselors' experiences. Methods: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using purposive sampling. Seven counselors working at hospitals, community health institution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about the challenges and problems they encountered during AD counseling. Results: Three themes emerged from this study; 1) issues regarding consistency in AD counseling, 2) issues regarding AD counselors' competency and work environment, and 3) issues regarding the adequacy of the service system. The interviewees stated that the lack of a manual for standardized service made AD counseling inconsistent. The limited competency and poor work environment of counselors were pointed out as major barriers. The interviewees also stated that a proper service system considering individual circumstances is absent. Conclusion: The goals of AD counseling should be clarified and guidance should be implemented for providing standardized services. Further efforts to enhance the competency of AD counselors and to improve their working conditions are needed. Establishing an integrated framework for an adequate service system is also essential to overcome systematic barriers to AD counseling.

교원 정보화 역량강화 연수 운영 성과분석 연구 (Result Analysis of Training Programs for Stengthening Teacher's ICT Competency)

  • 서순식;김성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111-120
    • /
    • 2011
  • 이 연구는 교원 정보화 역량강화 연수과정 내용 및 운영에 대한 현황조사 및 연수과정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 연수과정 운영자 심층면담 등을 토대로 기존 교원 정보화 역량강화 연수의 운영 성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차세대 교원 정보화 연수개발을 위한 현 연수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행 교원 정보화 역량강화 연수과정은 전체적으로 바람직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사고력 신장을 위한 ICT활용 교육 과정', '미래로 가는 교육 과정', 'ICT활용 문제중심학습 과정'과 같이 보통수준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비교적 높은 과정에 대해서는 운영과정의 효과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목표의 실천가능성, 수준별 고려여부, 연수 장소 및 교통편 등의 접근성, 맞춤형 수준별 전략 등의 하위평가영역은 타 영역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또한 교원 정보화 역량강화 연수운영자에 대한 심층면담 결과, 이들은 교육현장 요구반영에의 필요성, 강사 재훈련 및 자기계발기회 제공, 지역 전달 연수의 질 관리, 해외 연수사례 국내화 과정에서 특성화, 연수기간의 확대, 연수 후 후속지원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가관찰 방법의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assessment using Smartphone Video Recording on Essential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 김현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199-1207
    • /
    • 2018
  • 핵심기본간호술의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가관찰 방법의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핵심간호술기 수행능력, 수행자신감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비동성 대조군 사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P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54명, 대조군 51명이었다. 연구결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군의 사전- 사후점수 차이에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1). 수혈간호, 수술전간호의 핵심간호술기 능력과 수행자신감, 실습 만족도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폰 동영상촬영을 활용한 자가평가 학습법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켜 술기의 정확성과 숙련성을 갖출 수 있는 동기부여에 효과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의 개발 및 예측타당성 검증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igital Literacy Measurement Tool)

  • 정미현;김재현;황하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1-63
    • /
    • 2021
  •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언텍트 시대를 맞아 비대면 소통이 일상화되었고, 온라인상에서의 소통역량이 매우 중요한 역량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의 변화와 요구를 반영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기존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들을 유형화하여 구성 변인들을 도출하였다. 각 변인의 개념에 부합하는 34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 해당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한 후 탐색적, 확증적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 등을 확인하여 5개 하위요인, 25개 문항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를 최종 확정하였다. 이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 요인들의 예측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Effect of the Component of Professionalism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Job Competency

  • Yoo, Je-Bog;Hong, Jae-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2호
    • /
    • pp.285-29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구성요인이 직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간호서비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나아가 전문직업관이 직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비판적 사고성향의 상호작용효과를 구성요인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의 몇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전문직업관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업무 독자성이 직무수행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판적 사고성향 내 체계성과 객관성이 직무수행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 내 구성요인 간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무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구성요인 차원에서 접근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 서비스 종사자들의 직무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 관리에 기여가 있을 것이다.

간호정보역량, 미완료간호, 환자간호의 질이 간호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로분석 (Pathway Analysis on the Effects of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Nursing Care Left Undone, and Nurse Reported Quality of Care on Nursing Productivity among Clinical Nurses)

  • 유미;김세영;류지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36-248
    • /
    • 2023
  • Purpose: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is used to manage and improve the delivery of safe, high-quality, and efficient healthcare services in accordance with best practices and professional and regulatory standard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NIC), nursing care left undone, and nurse reported quality of care (NQoC) and nursing productivity. A path model for their effects on nursing productivity among clinical nurses was also establishe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swered by 192 nurses working in a tertiary hospital located in J city, Korea, and analyzed using SPSS/WIN 23.0 and AMOS 21.0 program. Results: The fit indices of the alternative path model satisfied recommended levels χ2 = .11 (p = .741), normed χ22 /df) = .11, SRMR = .01, RMSEA = .00, GFI = 1.00, NFI = 1.00, AIC = 18.11. Among the variables, NIC (β = .44, p < .001), NQoC (β = .35, p < .001) had a direct effect on nursing productivity. Due to the mediating effect of NQoC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IC and nursing productivity, the effect size was .14 (95% CI .08~.24). Meanwhile, nursing care left undone through NQoC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IC and nursing productivity, has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estimate .01, 95% CI .00~.03). The explanatory power of variables was 44.0%. Conclusi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nhancing NIC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nursing productivity, quality of care and to reduce missed nursing care. Furthermore, monitoring the quality of nursing care and using it as a productivity index is essential.

방사선사 핵심 직무역량 모델의 적합성 및 타당성 검증 (A Goodness of Fit and Validity Study of the Korean Radiological Technologists' Core Job Com petency Model)

  • 임창선;조아라;허예라;최성열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3호
    • /
    • pp.469-484
    • /
    • 2017
  • 방사선사는 사람의 생명을 대상으로 하므로 전문적인 직무역량(job competency)이 요구된다. 그럼에도 현재 한국에서는 방사선사의 직무역량을 밝히고 있는 연구가 이루어진 바 없다. 이에 한국 방사선사의 핵심 직무역량 지표를 정의하고 역량군별 요인모델을 제시하고자 방사선사 직무역량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147명의 응답내용을 취합하였다. 응답 내용은 PASW Statistics Version 18.0와 AMO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전문직업성', '환자관리', '건강 및 안전', '장비의 운영', '절차와 관리'의 5개 핵심 직무역량군과 17개의 하위 역량으로 구성된 모델을 구성하였다. 5개 핵심 직무역량군의 측정 모델 RMSEA 값은 0.1, CFI와 TLI 값이 0.9에 근사하게 나타나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으며, 타당도 분석 결과 평균분산추출 값 0.5이상, 개념신뢰도 값 0.7이상으로 각 하위 역량에 포함된 세부 항목 간에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의료 환경에서 방사선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을 명확히 제시하여 역량 중심의 인적 자원 양성과 관리에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