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ophageal stent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초

식도 재건술후 발생한 식도-위 문합부 협착의 식도스텐트를 이용한 치험 -3례 - (Esophageal Stent Insertion at the Esophagogastrostomy Site Stenosis - Report of 3 cases -)

  • 정성철;배윤숙;유환국;정승혁;이정호;김병열;이명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55-58
    • /
    • 2003
  • 식도 재건술을 시행한 뒤에 발생하는 문합부의 협착은 비교적 드물지만 환자와 의료진에게 반갑지 않은 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풍선확장술, 협착부에 대한 재수술 또는 심한 경우 식이용 장루술이 고려된다. 그러나 풍선확장술의 경우 단기간내 재발의 확률이 높고, 썩 효과적이지 않으며, 협착부에 대한 재수술은 수술적 접근이 쉽지 않고 재협착의 가능성 배제가 어려우며, 식이용 장루술의 경우 경구식이가 불가능하다는 어려운 점들이 있다. 이에 2001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식도스텐트를 이용하여 문합부 협착의 완화를 시도하였다. 1예는 양성협착의 수술이었고 2예는 악성종양이었다 약 1년이상의 추적관찰을 하였고 연하곤란은 개선되었다. 이에 식도 스텐트를 이용한 술후 문합부 협착의 임상적 호전에 대하여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부식성 식도협착 환자에서 식도스텐트 삽입 후 발생한 기관지 식도 누공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Bronchoesophageal Fistula Caused by a Self-Expanding Esophageal Stent)

  • 이재익;우종수;이길수;노미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97-200
    • /
    • 2004
  • 식도와 주위 장기 사이의 누공 형성은 자가 확장성 식도스텐트의 잘 알려진 합병증 중의 하나이지만, 기관지 식도 누공을 수술적으로 치료한 보고는 거의 없다. 양성 식도협착 환자에 스텐트를 사용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이러한 후기 합병증의 빈도도 점점 증가할 것이다. 저자들은 최근 부식성 식도협착 환자에서 식도스텐트 삽입 후 발생한 기관지 식도 누공 1예를 경험하였고, 누공절제술과 Ivor Lewis 술식으로 일차성 교정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국내 문헌상으로는 최초로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Biodegradable sheath-core biphasic monofilament braided stent for bio-functional treatment of esophageal strictures

  • Han, Cheol-Min;Lih, Eugene;Choi, Seul-Ki;Bedair, Tarek M.;Lee, Young-Jae;Park, Wooram;Han, Dong Keun;Son, Jun Sik;Joung, Yoon Ki
    •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 /
    • 제67권
    • /
    • pp.396-406
    • /
    • 2018
  • In this study, a polydioxanone (PDO) and poly(L-lactic acid) (PLLA) sheath-core biphasic monofilament was designed to develop an esophageal stent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controlled biodegradability. The radial force of PDO/PLLA sheath-core stent was 10.24 N, while that of PDO stent was 5.64 N. Deteriorations of tensile strength, elastic modulus and elongation during degradation test were also delayed on PDO/PLLA group. Hyaluronic acid-dopamine conjugate and $BaSO_4/PDO$ conjugate coating layers provided improved tissue adhesion strength and reasonable X-ray contrast, respectively. Taken all together, the sheath-core filaments with tissue adhesive and radiopaque properties will be useful in designing esophageal stents.

폐전절제술후 발생한 식도흉막루 -식도스텐트를 이용한 치험 1례- (Esophageal Stent in Postpneumonectomy Esophagopleural Fistula)

  • 신용철;임용택;정승혁;김병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0호
    • /
    • pp.958-961
    • /
    • 1999
  • A case of esophagopleural fistula after pleuropneumonectomy is reported. A 59 years old male underwent right pleuropneumonectomy due to tuberculous empyema. The postoperative small esophagopleural fistula was confirmed by esophagogram and was initially managed by a conservative treatment. There was a persistent fistula on follow up esophagogram, therefore we planned the next treatment modality for obstruction of the fistula. For poor general conditions and arrhythmia, an esophageal stent was applied as a non-surgical method. At first, a covered-form stent was inserted, but it migrated to the stomach after 3 months. By using an uncovered-form stent, a complete obstruction of the esophagopleural fistula was achieved.

  • PDF

식도 스텐트 삽입후 발생한 식도 방선균증 - 수술 치험례 - (Esophageal Actinomycosis after Insertion of Esophageal Stent -A Case of Surgical Experience -)

  • 조성례;신현우;장희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7호
    • /
    • pp.601-604
    • /
    • 2000
  • 방선균증은 혐기성 그람 양성균인 Actinomyces israelii의 감염에 의한 만성 육야종성 질환으로 안면부, 폐, 목부에 주로 발생하며 농양, 누공 두터운 반흔의 형성을 특징으로 한다. 식도 방선균증은 매우 드물어 전세계적으로 단지 몇례 보고되어 있으며, 그 대부분이 후천성 면역결핍증 환자에서의 발병이다. 염산의 오연으로 인한 식도협착이 발생한 58세의 여자에서 식도 스텐트 삽입후 흉통, 연하장애, 연하통이 발생하였고 이에 대한 식도절제술후 병리조직학적으로 식도 방선균증으로 확진된 증례를 보고한다.

  • PDF

식도암 치료용 $^{166}Ho$-Stent 개발 (Development of $^{166}Ho$-Stent for the Treatment of Esophageal Cancer)

  • 박경배;김영미;김경화;신병철;박응우;한광희;정영주;최상무;이종두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2-73
    • /
    • 2000
  • 목적: 식도암은 종양자체 혹은 주위조직의 침범으로 인한 식도 내강의 협착으로 음식물 섭취가 곤란하고 이에 따른 영양결핍, 면역력 약화등으로 생존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좁아진 식도 내강을 넓혀줄 뿐만 아니라 종양에 방사선 치료도 병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식도암 치료용 방사성 stent를 개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ulcorner}$하나로${\lrcorner}$ 연구로를 이용하여 금속 stent 외부를 $^{166}Ho$ 동위원소가 함유된 원통형의 방사성슬리브로 덮어 씌운 방사성 stent 어셈블리($^{166}Ho$-SA)를 전 방사능화법과 후 방사능화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결과: 폴리우레탄 :매트릭스 내에 함유되어 있는 $^{165}Ho(NO_3)_3$$^{166}Ho(NO_3)_3$의 분포도를 전자현미경 사진과 자가방사기록법으로 확인한 결과 이들 화합물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도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전산용 기하학적인 모델을 개발하여 식도벽에 전달되는 흡수선량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사성 stent를 황견을 대상으로 식도부위에 삽입한 결과 육안적으로 점막층의 함몰이 일어나 식도내강이 넓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금속 stent 외부에 $^{166}Ho$ 동위원소가 함유된 얇은 원통형 sleeve를 덮어씌워 균일한 방사선을 방출할 수 있는 방사성 stent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좁아진 식도부위에 삽입하면 물리적 압력에 의한 식도 내강의 확장과 함께 서서히 방사선 효과에 의해 종양괴사를 유도함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종양 크기의 증대에 의한 이차적 폐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식도 내 금속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한 대동맥 식도 누공 -치험 1례- (Aorto-Esophageal Fistula Complicated by Esophageal Metalic Stent -A case report-)

  • 윤영철;조광현;김기봉;전희재;최강주;이양행;황윤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6호
    • /
    • pp.479-482
    • /
    • 2002
  • 식도 내 스텐트에 의한 대동맥 식도 누공은 매우 드문 질환이며, 사망률이 높아 생존자에 대한 보고가 아주 가끔 있을 뿐이다. 본 교실에서는 사고로 양잿물 음독 후 발생한 식도 협착 환자에서 식도 내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한 대동맥 식도 누공 환자에 대하여 내시경적 진단과 2단계에 걸친 수술로 성공적인 치료를 경험하였다. 수술은 일차적으로 식도 재거술, 하행 흉부 대동맥 누공 부위의 일차 봉합 그리고 위루술을 실시하였다. 환자가 일차 수술 후 회복된 다음 식도 재건술의 일환으로 우측 대장을 흉골 후면으로 위치시키는 경부 식도-대장-위 문합술을 성공적으로 실시하였다.

Self-expandable metallic stent-induced esophagorespiratory fistulas in patients with advanced esophageal cancer

  • Iatagan R. Josino;Bruno C. Martins;Andressa A. Machado;Gustavo R. de A. Lima;Martin A. C. Cordero;Amanda A. M. Pombo;Rubens A. A. Sallum;Ulysses Ribeiro Jr;Todd H. Baron;Fauze Maluf-Filho
    • Clinical Endoscopy
    • /
    • 제56권6호
    • /
    • pp.761-768
    • /
    • 2023
  • Background/Aims: Self-expandable metallic stents (SEMSs) are widely adopted for the palliation of dysphagia in patients with malignant esophageal strictures. An important adverse event is the development of SEMS-induced esophagorespiratory fistulas (SEMS-ERF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risk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SEMS-ERF after SEMS placement in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at the Instituto do Cancer do Estado de São Paulo. All patients with malignant esophageal strictures who underwent esophageal SEMS placement between 2009 and 2019 were included in the study. Results: Of the 335 patients, 37 (11.0%) developed SEMS-ERF, with a median time of 129 days after SEMS placement. Stent flare of 28 mm (hazard ratio [HR], 2.05; 95% confidence interval [CI], 1.15-5.51; p=0.02) and post-stent chemotherapy (HR, 2.0; 95% CI, 1.01-4.00; p=0.05)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SEMS-ERF, while lower-third tumors were a protective factor (HR, 0.5; 95% CI, 0.26-0.85; p=0.01).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overall survival.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SEMS-ERFs was 11%, with a median time of 129 days after SEMS placement. Post-stent chemotherapy and a 28 mm stent flare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SEMS-ERF.

강직형식도경술을 이용하여 치료한 이물에 대한 임상적 고찰 (Treatments of esophageal foreign body treated using Rigid esophagoscopy)

  • 정필상;정승완;김윤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9-163
    • /
    • 1999
  • OBJECTIVE : To study the management (diagnostic and therapeutic) of esophageal foreign bodies with rigid esophagoscopy. MATERIAL AND METHODS : All 100 patients admitted to the Dankook University Hospital for ingestion of foreign bodies between May 1994 and July 1999. The outcome for each patient was determined by examining hospital records of demographic information, identification of the foreign body and the removal procedure used. RESULTS : Rigid esophagoscopy was performed for suspected foreign bodies in 100 cases an impacted. The most frequent location was the upper third of the esophagus (68%). The most common type of foreign body was fish bones in adult(61%) and coins in children(70%). In 12 patients. flexible endoscopy had failed previously to remove the foreign body and 4 cases were migrated esophageal metal stent in esophageal stenosis. CONCLUSIONS : The rigid esophagoscopy is appropriate techniques for managing esophageal foreign bodies.

  • PDF

양성 기관, 기관지 질환에서 확장성 금속 스텐트 사용에 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expandble metallic stent in benign tracheal & bronchial disease)

  • 이성수;김도형;백효채;이두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21
    • /
    • 2004
  • Background Insertion of tracheal stent in the treatment of benign tracheal & bronchial disease has increa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expandable metallic stent. Material & Methods : Between Jan, 1995 and Feb. 2004, eight patients who had benign tracheo-bronchial disease underwent insertion of expandable metallic tracheal stent. We retrospectively analyzed stent insertion indications, complications, and following the result. Results : Surgical indications were post-intubation tracheal stenosis (1 case), tracheal stenosis following tracheal surgery (2 cases), tracheo-esophageal fistula (2 cases), broncho-pleural fistula(1 case), left main bronchus stenosis following bronchoplasty (1 case), and left main bronchus stenosis due to mediastinal repositioning (1 case). Expandable metallic tracheal stent was inserted in five patients to resolve dyspnea caused by airway obstruction, and to prevent recurrent pneumonia in three patients. The complication developed in 6 patients $75\%$; 3 cases of distal stenosis due to growth of granulation tissue, and one case each of tearing of posterior membrane, aggravation of tracheo-esophageal fistula, and airway partial obstruction due to stent migration. The stent was removed in 5 patients and tracheal surgery (tracheal resection and end to end anastomosis with primary repair of esophagus, pericardial patch tracheo-bronchoplasty, tracheal repair and omental wrapping) was performed in 3 patients. Conclusion Insertion of self expandable metallic stent in benign tracheo-bronchial disease is an effective means of relieving dyspnea for only a short period, and it did not increase the long term survival. Better means of treatment of benign tracheo-bronchial stenosis in necessa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