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ophageal Reconstruction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초

기관삽관과 관련된 경부 기관의 기관식도루 (Tracheoesophageal Fistula Associated with Endotracheal Intubation)

  • 하정훈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1-44
    • /
    • 2012
  • Acquired tracheoesophageal fistula (TEF) can occur rarely from various causes. Recently, cuff-related tracheal injury after endotracheal intubation with the orotracheal tube and tracheostomy cannula is the most common etiology of nonmalignant TEF. Since cuff-related TEF is usually preventable with proper selection of the cuffed tube and close monitoring of cuff pressure. Although most patients present increased secretions, recurrent pneumonia, or coughing after swallowing, a high index of suspicion is required in patients at risk for developing a TEF. Surgical correction for the defectis required. In most cases, primary closure of the esophageal defect and tracheal resection and end-to-end anastomosis give the best results.

  • PDF

식도-결장-위 문합술후 만기 합병증으로 발생한 결장-기관지루 (Colobronchial Fistula as a Late Complication of Esophagocologastrostomy)

  • 이철범;한성호;함시영;지행옥;김혁;정원상;김영학;강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호
    • /
    • pp.77-81
    • /
    • 2002
  • 식도-결장-위 문합술후 발생한 매우 드믄 합병증인 결장-기관지루 1례를 최근 체험하여 이를 보고한다. 환자는 53세 남자로 부식성 식도 및 위 유문부 협착으로 결장을 이용한 식도재건술을 받은 30개월후부터 음식물 섭취시 기침, 고열, 오한, 화농성 객담의 호흡기 증상이 반복되었다. 단순 흉부 X-선 촬영과 전산화 단층 촬영상 흡인성 폐렴과 좌폐하엽이 완전 무기폐 소견을 보였다. 식도내시경과 바륨 식도조영술로 식도-결장 문합부 직하방의 결장과 좌폐하엽 상분절 사이의 누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술은 결장-기관지루의 폐쇄술과 좌폐하엽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식도-결장-위 문합술후 음식 섭취시 반복적인 심한 기침이 발생할 경우 매우 드물지만 만기 합병증으로 결장-기관지루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Nested Case-control Study of Occupational Radiation Exposure and Breast and Esophagus Cancer Risk among Medical Diagnostic X Ray Workers in Jiangsu of China

  • Wang, Fu-Ru;Fang, Qiao-Qiao;Tang, Wei-Ming;Xu, Xiao-San;Mahapatra, Tanmay;Mahapatra, Sanchita;Liu, Yu-Fei;Yu, Ning-Le;Sun, Quan-F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1호
    • /
    • pp.4699-4704
    • /
    • 2015
  • Medical diagnostic X-ray workers are one occupational group that expose to the long-term low-dose external radiation over their working lifetime, and they may under risk of different cancer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pational X-ray radiation exposure and cancer risk among these workers in Jiangsu, China. We conducted Nested case-control study to investigate the occupational X-ray radiation exposure and cancer risk.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but not limits to demographic data, personal behaviors and family history of cancer. Retrospective dose reconstruction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umulative doses of the x-ray workers. Inferential statistics, t-test and 2 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 We used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calculate the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of cancer by adjusting the age, gender. All 34 breast cancer cases and 45 esophageal cancer cases that detected in a cohort conducted among health workers between 1950~2011 were included in this presented study, and 158 cancer-free controls were selected by frequency-matched (1:2). Our study found that the occupational radiation exposure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increased cancer risk compared with the control, especially in breast cancer and esophageal cancer (adjusted OR=2.90, 95% CI: 1.19-7.04 for breast cancer; OR=4.19, 95% CI: 1.87-9.38 for esophageal cancer, and OR=3.43, 95% CI: 1.92-6.12 for total cancer, respectively). The occupational X-ray radiation exposure was associated with increasing cancer risk, which indicates that proper intervention and prevention strategies may be needed in order to bring down the occupational cancer risk.

외측대퇴 유리피판을 이용한 두경부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the Head and Neck Defects Using Lateral Thigh Free Flap)

  • 이내호;양경무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7권2호
    • /
    • pp.146-156
    • /
    • 1998
  • 저자들은 1997년 1월부터 1998년 7월까지 두경부 악성종양 및 반안면왜소증과 같은 선천성 안면기형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던 환자 9명을 대상으로 하여 9례의 외측대퇴 유리피판술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두경부 재건에 있어서 외측대퇴 유리피판은 다른 유리피판술에 비해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공여부 추형이 노출되지 않는 부위이며 동시에 두팀이 수술에 참여할 수 있어서 수술시간이 단축될 수 있었다. 둘째, 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면 피판의 모발은 사라지지만 모공의 과각화증 및 색조 침착이 증가하므로, 외측대퇴부에 모발이 많은 환자는 술후 방사선치료의 여부와 관계없이 미용적인 금기사항에 해당한다. 셋째, 악성종양 절제후에 발생하는 결손의 재건시 피판의 두께가 문제시 되지 않았으며, 피판의 두께는 피판을 도안할 때의 위치, 성(sex), 피하지방층의 제거정도, 근육의 포함 정도, 술 후 피판의 위축정도에 따라 조절 가능하였다. 넷째, 모든 증례에서 정맥이식없이 혈관문합이 가능하였으므로 두경부 재건시 혈관경의 길이는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가능한 피판을 장축으로 길게 도안하여 두 번째 또는 네 번째 관통동맥을 포함시켜 수술 후 발생할지도 모르는 혈류부전에 대비하는 것도 피판의 생존률을 높이는 좋은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식도암의 외과적 요법에대한 임상적 고찰 (Surgical Results of Esophageal Cancer)

  • 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12호
    • /
    • pp.1530-1536
    • /
    • 1992
  • From January 1984 to December 1991, One hundred sixty five patients with carcinomoa of the esophagus were treated surgically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mong them, hospital records were available in 121 patients an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re were 115 men and 6 women, with ages ranging from 40 years to 79 years[mean age of 59.2 years]. The most frequent preoperative symptoms included dysphagia[72.7%], weight loss[60.3%], chest pain or discomfort[14.9%], general malaise[13.2%]. All were treated surgically: 100 patients were managed by curative or palliative resection with reconstruction, and 6 by palliative bypass surgery. In 15 patients, explorative thoracotomy or laparotomy was only done due to unresectability. [operability: 87.6%, resectability: 82.6%] All specimens[those from resectable 100 cases] were sent to pathology,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s were done; squamous cell carcinomas were found in 95 cases, adenocarcinoma in l. Adenosquamous carcinomas were found in 3, and malignant melanoma in l.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34 cases; anastomotic site leakage[10], which was followed by empyema in 9 of them, wound problem[7], hepatic failure[6], pneumonia [3], post-operative bleeding[3], chylothorax[2], post-operative stricture[2], sepsis[1], and tracheobronchial fistula[1]. Hospital deaths were in 6 cases[Hospital mortality: 5.0%]. During the follow up period, 26 patients were proven to be recurrence of cancer locally or distantly. The one, two, and five-year actuarial survival raf.es were 71.3$\pm$4.5%, 57.4$\pm$5.6%, 34.7$\pm$8.9%, respectively. The data from this study suggested that esophagectomy with reconstruction of gastrointestinal tract could be performed with a low operative mortality and a few seriou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achieved reasonable long term palliation for carcinoma of the esophagus.

  • PDF

기관삽관후 발생한 기관협착증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Postintubation Tracheal Stenosis)

  • 김치경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1-69
    • /
    • 1997
  • A total of 55 patients underwent surgical managements for postintubation tracheal stenosis from July 1975 through March 1997. All but 8 had received ventilatory assistance. The patients had S cuff lesions, 17 stoma lesions, 7 at both levels, 5 at subglottic lesions. Thirty two patients underwent the sleeve tracheal resection and end-to-end anastomosis. Five patients performed a wedge resection and end-to-end anastomosis. Twenty two patients received the Montgomery T-tube for relief of airway obstruction. Simple excision of granulation tissue was done in 7 patients. Rethi procedures(anterior division of cricoid cartilage, partial wedge resection of lower thyroid cartilage and T-tube molding) were performed in 2 subglottic stenosis patients. And the other subglottic patient was received permanent tracheal fenestration at 1975. The tracheoesophageal fistula patient was done sleeve tracheal resection and end-to-end anastomosis with interrupted double layer closure of esophageal fistula site. Cervical approach was used in 49 cases, cervicomediastinal in 13 cases and median stemotomy In 6 cases. Techniques for obtaining tension-free anastomosis included a cervical neck flexion(15-30$^{\circ}$) in all sleeve resection patients and laryngeal release in one. The length of resection was 1.5 to 5.0 on A total of 41 patients(74.5%) had good(24 patients) or satisfactory(17 patients) results. But in ten cases, the restenosis of anastomosis site which i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was developed Two of them underwent a second reconstruction and 8 patients required T-tube insertion for airway maintenance. Three patients(5.4%) died. The causes of death were tracheo-innominate artery fistula(2) and sudden obstruction of airway(1).

  • PDF

흉유돌근골막 피판을 이용한 후두 재건 (EXPERIMENTAL RECONSTRUCTION OF LARYNX WITH STERNOMASTOID MYOPERIOSTEAL FLAP)

  • 조재식;안병현;김선태;이종원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28-28
    • /
    • 1991
  • 후두암의 수직절제 수술후의 후두 재건 목적은 기관절개를 통하지 않고 후두를 통한 호흡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연하시 기도흡인을 피하기 위한 sphincter 능력의 보존, 그리고 발성이 가능하도록 성대진동 mechanism을 재건하는데 있다. 오늘날 수많은 후두학자들에 의해서 고안 개발된 다양한 재건 방법이 있다. 연자는 광범위한 후두절제에 따른 큰 결손을 메우기 위해 bulky하면서도 점막 상피의 재생이 용이한 재건 피판으로 흉유돌근골막 피판을 이용하여 후두 결손부를 재건하여 보았다. 방법은 성견 3마리를 대상으로하여 thiopental sodium 정맥주사로 전신마취를 시행한 후 설골에서부터 흉골상까지 경부 정중앙의 피부를 절개하고 후두를 노출시켜 후두 수직절제술을 시행하였다. 흉유돌근과 흉골에 부착된 골막을 박리하여 흥유돌근골막 피판을 제작한 후 골막이 후두강 안쪽으로 되도록하여 골막연과 후두점막을 봉합하였다. 그리고 3, 5, 9개월에 후두적출술을 시행하여 병리조직학적 및 수술후 경과를 관찰하였다. 3실험견 모두 기관절개술 없이 후두를 통한 호흡이 가능하였고 흡입성 폐렴이나 피하기종등의 합병증없이 창상이 치유되었으며 발성도 양호하였다. 이식된 골막위로 신생혈관의 출현과 함께 점막재생이 잘되 있었다. 단지 봉합사 주위에 소량의 육아종이 관찰되었다. 조직학적으로는 섬유조직위로 편평상피가 재생되었으며 성문하부에서는 일부 섬모가 있는 호흡기 점막도 관찰되고 골막하부에 신생골 형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골막 피판은 그 유연성 때문에 결손부위의 점막연에 맞춰도 tension이 없고 공기 누출이 되지 않게 봉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점막이 재생할 수 있는 frame-work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상과 같은 사실로 미루어 흉유돌근 자체가 견실하고 골막에 혈류공급이 잘되어 창상치유에 좋을 뿐 아니라 큰 후두결손부의 재건이 가능하리라고 사료되었다.로서 몇가지 앞으로의 치료지침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성별 분포는 남자 16(39 %), 여자 25 (61%)이었으며 1 : 1.5의 빈도를 보였다. 2) 연령 분포는 20대와 30대에서 남녀 모두 25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3) 부식제의 종류는 빙초산이 26명 (63.4 %)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염산 7 (17.1 %) Lye 3 (0.7 %) 의 순이었다. 4) 음독후 12시간내에 식도경술을 받은 환자가 3명(0.7 %) 12-24시간에 받은 환자가 17명(41.5 %), 24 - 48시간에 받은 환자가 11명(26. 8%)으로 48시간 내에 시행받은 환자가 전체의 75.6%를 차지하였다. 5) 식도경 검사상 나타난 식도화상은 Grade I 11명 (26.8%) G.ade II 18(43.9%) Grade III 7명(17.1%) 이었으며 Grade II 인 경우가 18명(43.9%)로 가장 많았으며 Grade I 11명(26.8 %), Grade III 7명 (17.1 %) Normal 5명 (12.2 %) 순이었다. 6) 조기 식도경 검사에서 41명중 oral cavity burn이 없었던 경우가 15명(36. 1 %) 이었으며, oral cavity burn이 있었던 26명중 5명(19 .2 %)에서 Esophageal burn이 없었다 특히 Esophageal burn의 Grade II, III 25명 중 9명(29.6 %)에서 oral cavity burn이 없었다. 7) 식도 부식중 환자의 치료 원칙으로 Grade I, II, III에서 항생제 및 보존적 치료를 하였으며 Grade I에선 oral feeding을 시켰고 Steroid는 경우에 따라 투여하였으며 Grade III에선 원칙적으로 사용치 않았다. 식도조영술은 Grade I II III에서 3주 후에 모두 시행하였다. 8) 3주 후 식도조영술을 실

  • PDF

Nd-YAG 레이저와 풍선도관을 이용하여 치료한 기관내 삽관 후 발생한 기관협착 1예 (A Case of Postintubation Tracheal Stenosis Treated by Endoscopic Nd-YAG Laser and Balloon Catheter)

  • 박정웅;박상준;서지영;김호철;정만표;김호중;권오정;이종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3호
    • /
    • pp.624-629
    • /
    • 1998
  • 기관내 삽관 후 발생한 기관협착환자의 치료는 아직 완전한 치료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다양한 치료법들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경직성 기관지경이나 풍선도관을 이용한 물리적인 확장, 혹은 레이저시술 후 스텐트 삽입등이 수술적인 치료 전에 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 저자등은 레이저시술에 이은 풍선 도관으로 확장을 시행한 기관내 삽관 후 발생한 기관협착 1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 Novel Technique of Hand-Sewn Purse-String Suturing by Double Ligation Method (DLM) for Intracorporeal Circular Esophagojejunostomy

  • Takayama, Yuichi;Kaneoka, Yuji;Maeda, Atsuyuki;Fukami, Yasuyuki;Takahashi, Takamasa;Uji, Masahit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9권3호
    • /
    • pp.290-300
    • /
    • 2019
  • Purpose: The optimal method for intracorporeal esophagojejunostomy remains unclear because a purse-string suture for fixing the anvil into the esophagus is difficult to perform with a laparoscopic approach.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our novel technique to fix the anvil into the esophagu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202 patients who were treated at our institution with an intracorporeal circular esophagojejunostomy in a laparoscopy-assisted total gastrectomy with a Roux-en-Y reconstruction (166 cases) or a laparoscopy-assisted proximal gastrectomy with jejunal interposition (36 cases). After incising 3/4 of the esophageal wall, a hand-sewn purse-string suture was placed on the esophagus. Next, the anvil head of a circular stapler was introduced into the esophagus. Finally, the circular esophagojejunostomy was performed laparoscopicall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urgical outcome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methods. Results: The average operation time was 200.3 minutes. The average hand-sewn purse-string suturing time was 6.4 minutes. The overall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lavien-Dindo classification grade ${\geq}II$) was 26%.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n anastomotic leakage and stenosis at the esophagojejunostomy site were 4 (2.0%) and 12 (6.0%), respectively. All patients with stenosis were successfully treated by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There was no mortality. Regarding the materials and devices for anvil fixation, only 1 absorbable thread was needed. Conclusions: Our procedure for hand-sewn purse-string suturing with the double ligation method is simple and safe.

국소침범한 갑상선암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ies on Locally Invasive Thyroid Cancer)

  • 김영민;이창윤;양경헌;노영수;박영민;임현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36-243
    • /
    • 1998
  • 1991년부터 1997년월까지 7년간 한림대학교 이비인후과학교실에서 국소침범한 갑상선암으로 치료를 받은 10명의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 분포는 남녀비는 1:2.3이었으며 연령별 분포는 60대 이상이 7명으로 노인에 호발함을 알 수 있었다. 2) 임상승상은 애성이 5례(50%)로 가장 많았으며 무증상이면서 경부종괴로 온 경우가 3례 그외에 연하곤란, 호흡곤란 객혈 등이었다. 3) 침범된 구조는 기관 7례, 반회후두신경과 종격동임파절이 각각 5례, 경부식도 3례, 경동맥 3례, 기관주위임파절 3례, 하인두 1례, 미주신경 1례 순이었다. 4) 침범된 구조물들에 대한 수술로는 기관 수상절제술 및 단단문합술이 1례. 기관 수상절제와 윤상기관성형술 1례, 기관 창절제술 및 일차봉합술 1례. 기관 창절제술 및 흉쇄유돌근-근막피판재건술 1례, 기관 면도식절제술 1례, 식도 부분절제술 2례, 식도 면도식절제술 1례, 편측 윤상후두절제술 1례, 윤상연골 부분절제술 및 흉쇄유돌근-근골막피판재건술 1례, 갑상연골 면도식절제술 1례, 반회후두신경절제술이 2례, 미주신경절제술 1례, 경동맥절제술 및 $Gortex^{\circledR}$를 이용한 재건술 2례, 경동맥 면도식절제술 1례 등이었다. 이상에서 국소침범한 갑상선암은 대부분의 경우 가능한 완전절제를 시도하였으나 광범위 절제 후 재건술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대부분이 노인 환자로서 전신상태에 따른 예후가 불량한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각 환자의 나이와 침범 정도에 따른 개별적인 술식으로 치료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하다고 생각된다. 6) 횡문근육종과 골육종의 경우 3례중 2례에서 광범위한 수술적 제거후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였으며, 현재 무병생존 중이고, 1례는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을 시행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육종의 경우 광범위한 수술적 절제가 가장 좋은 치료로 사료되며, 미세잔존암이 남아있는 경우는 방사선 치료의 병합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beta$4-tyrosine phosphorylation site (Clone M)을 얻었다. 암 세포의 부착 및 침투 능력의 기능적 연구로 모노 클로날 항체와 fibronectin, laminin, Matrigel을 단백질 기질로 사용하였으며 결과 비교를 위하여 pRc/CMV 벡터만 주입시켰던 클로운과 방광암 세포주를 $\beta$4 integrin 음성 대조군으로 또한 이 Integrin의 높은 발현을 보이는 두경부 편평상피암 세포주를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결과 : 세포부착능력에 있어서 온전한 $\beta$4 cytoplasmic domain이 존재하는 클로운이 laminin에 강한 부착능력을 보였으나 fibronectin의 부착정도는 $\beta$4 integrin의 표현정도와 관계없이 모든 클로운에서 비슷하였다. Matrigel을 투과하는 암세포 침윤 능력에서는 $\beta$4 integrin의 표현이 존재하는 클로운들이 투과 능력이 높았으나 세포외 리간드가 없는 control membrane을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투과능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유전자 주입(transfection) 방법으로

  • PDF